오늘은 오라클 선생님이 거의 교수님 강의해주신 날...
DBA입장에서 단순히 오라클뿐만이 아니라, 아키텍처, 디스크, 네트워크, 스토리지 등등 전체를 다 고려할 수 있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고 해주셨다.
논리 단위 번호, 논리적인 디스크 단위를 말한다.
논리적인 단위이기 때문에, 물리적인 디스크 1개가 하나의 LUN이 될 수도 있고, 여러 개의 디스크가 하나의 LUN이 될 수도 있다.
구성하기 나름이다.
Oracle ASM에서 DG(Disk Group) 구성 시, 물리적인 디스크 파티션을 사용하는 경우, 별로 신경쓸 게 없지만 LUN을 사용하는 경우, ASM DG 구성을 위해 LUN 크기는 얼마로 잡아야 할지, LUN 개수는 얼마로 잡아야 할지 고민이 된다.
LUN 개수가 너무 많아지지 않도록 하라는 정도이다.
원래 ASM에서는 DG를 구성하는 모든 디스크 유닛에 대해 스트라이핑(Striping, I/O 분산)을 하기 때문에 디스크 개수가 많을 수록 Disk I/O 성능이 좋아지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LUN을 사용하게 되면 LUN은 논리적인 단위이고, 물리적인 디스크와 1:1 매핑이 되지 않기 때문에 LUN 개수와 성능의 인과관계를 찾는게 어려워진다.
ASM이 데이터분산하는 기준은 디스크 용량을 기준으로 한다.
DG를 구성하는 LUN들의 크기들은 모두 같은 용량으로 구성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CPU를 장착하는 물리적인 슬롯을 말한다.
하나의 서버 메인보드에 여러 개의 소켓이 있을 수 있으며, 각각의 소켓에 하나의 CPU가 장착된다.
예를 들어, 2소켓 서버는 2개의 CPU를 장착할 수 있어 각 CPU가 8코어라면, 총 16코어의 성능을 발휘하게 된다.
L2 스위치는 데이터 링크 계층(Layer 2)에서 동작하는 장비로, MAC 주소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트래픽을 전달한다.
주로 LAN(Local Area Network) 내에서 장비 간의 통신을 관리하며, VLAN(가상 LAN) 구성을 통해 트래픽을 분리하고 관리할 수 있다.
서버 간의 빠른 통신 보장
VLAN을 통한 네트워크 분리 및 보안 강화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구성 시의 중요성
컴퓨터의 확장 카드 슬롯에 장치를 연결할 수 있도록 설계된 하드웨어 인터페이스
주변 장치 연결, 줄여서 PCI
HDML 같은 그래픽이나, USB 포트를 추가로 장착할 경우에, 메인보드에 기능 확장을 위한 장치들을 연결할 때 사용되는 데이터 전송 규격을 PCI라고 합니다.
주로 네트워크 카드, 그래픽 카드, 사운드 카드, RAID 컨트롤러 등 다양한 장치를 메인보드에 연결하는 데 사용됩니다.
IBM에서 개발한 시스템 성능 모니터링 도구
주로 AIX와 Linux 시스템에서 사용됩니다.
CPU, 메모리, 네트워크, 디스크 I/O, 프로세스 상태 등 다양한 성능 지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다.
Nmon은 간편한 인터페이스로 시스템 상태를 즉시 확인하거나,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하는 데 유용하다.
- 오픈소스
- 실시간 모니터링
- 경량 도구
- 데이터 수집 및 로그 파일 생성
인터랙티브 모드 : nmon
데이터 수집 모드: 특정 시간동안 데이터를 수집하고, 로그파일로 저장하는 모드.
nmon -f -s 30 -c 120
-f: 로그 파일 형식으로 저장
-s 30: 30초 간격으로 데이터 수집
-c 120: 총 120번 데이터 수집(총 1시간 동안 수집)
#!/bin/bash
# 날짜와 시간을 형식에 맞게 저장
DATE=$(date +"%Y%m%d_%H%M%S")
# 로그 파일을 저장할 디렉토리 설정
LOG_DIR="/var/log/nmon_logs"
# 로그 파일 이름 설정
LOG_FILE="${LOG_DIR}/nmon_${DATE}.nmon"
# 로그 디렉토리가 없으면 생성
if [ ! -d "$LOG_DIR" ]; then
mkdir -p "$LOG_DIR"
fi
# Nmon을 실행하여 데이터를 수집
# -f: 파일로 저장, -s 60: 60초 간격으로 수집, -c 60: 60번 수집 (즉, 1시간 동안 수집)
nmon -f -s 60 -c 60 -m "$LOG_DIR" -F "$LOG_FILE"
echo "Nmon data collected and saved to $LOG_FI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