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시적
으로 사용해야 합니다.스프링 IoC 컨테이너는 애플리케이션 시작 시 설정 정보를 바탕으로 빈을 생성하고 초기화합니다. 각 빈의 라이프사이클은 다음 단계로 이루어집니다:
- 빈(Bean) 인스턴스 생성
- 의존성 주입 (생성자, 세터, 필드 주입 등을 통해)
- 초기화 메서드 호출 (필요 시)
- 빈 사용
- 소멸 메서드 호출 (필요 시)
스프링 프레임워크에서 관리되는 자바 객체
스프링 빈(Spring Bean)은 스프링 프레임워크에서 관리되는 자바 객체를 의미합니다. 스프링 빈은 스프링 IoC(Inversion of Control) 컨테이너
에 의해 생성되고, 관리되며, 필요할 때 다른 객체에 주입됩니다. 스프링 빈을 사용하면 객체의 생명 주기를 스프링 컨테이너가 관리하기 때문에, 개발자는 객체의 생성, 초기화, 의존성 설정, 소멸 등을 신경 쓸 필요가 없어집니다.
스프링 컨테이너에 스프링 빈을 등록할 때, 기본으로 싱글톤으로 등록한다.(유일하게 하나만 등록해서 공유한다). 따라서 같은 스프링 빈이면 모두 같은 인스턴스다.
객체가 다른 객체에 대한 의존성을 외부에서 주입받는 방식이다.
주입의 종류
스프링에서는 다양한 방식으로 의존성을 주입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생성자 주입, 세터 주입, 필드 주입이 있습니다.
참고로, 실무에서는 주로 정형화된 컨트롤러, 서비스, 리포지토리 같은 코드는 컴포넌트 스캔을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