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머스] LEVEL2 프린터 파이썬

그린·2023년 2월 21일
0

프로그래머스

목록 보기
16/28
post-thumbnail

[프로그래머스] LEVEL2 프린터


✔️문제

문제 설명

일반적인 프린터는 인쇄 요청이 들어온 순서대로 인쇄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중요한 문서가 나중에 인쇄될 수 있습니다. 이런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중요도가 높은 문서를 먼저 인쇄하는 프린터를 개발했습니다. 이 새롭게 개발한 프린터는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인쇄 작업을 수행합니다.

  1. 인쇄 대기목록의 가장 앞에 있는 문서(J)를 대기목록에서 꺼냅니다.
  2. 나머지 인쇄 대기목록에서 J보다 중요도가 높은 문서가 한 개라도 존재하면 J를 대기목록의 가장 마지막에 넣습니다.
  3. 그렇지 않으면 J를 인쇄합니다.
    예를 들어, 4개의 문서(A, B, C, D)가 순서대로 인쇄 대기목록에 있고 중요도가 2 1 3 2 라면 C D A B 순으로 인쇄하게 됩니다.

내가 인쇄를 요청한 문서가 몇 번째로 인쇄되는지 알고 싶습니다. 위의 예에서 C는 1번째로, A는 3번째로 인쇄됩니다.

현재 대기목록에 있는 문서의 중요도가 순서대로 담긴 배열 priorities와 내가 인쇄를 요청한 문서가 현재 대기목록의 어떤 위치에 있는지를 알려주는 location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내가 인쇄를 요청한 문서가 몇 번째로 인쇄되는지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현재 대기목록에는 1개 이상 100개 이하의 문서가 있습니다.
  • 인쇄 작업의 중요도는 1~9로 표현하며 숫자가 클수록 중요하다는 뜻입니다.
  • location은 0 이상 (현재 대기목록에 있는 작업 수 - 1) 이하의 값을 가지며 대기목록의 가장 앞에 있으면 0, 두 번째에 있으면 1로 표현합니다.

입출력 예

prioritieslocationreturn
[2, 1, 3, 2]21
[1, 1, 9, 1, 1, 1]05

✔️풀이

🙋‍♀️내 풀이

def solution(priorities, location):
    prio = [] ## 인덱스와 우선순위를 같이 저장하기 위한 배열
    answer = 0
    for i,p in enumerate(priorities):
        prio.append([i, p])
    
    while len(prio)>0:
        if prio[0][1] == max([x[1] for x in prio]) :
            answer += 1
            if prio[0][0] == location:
                break
            prio.remove(prio[0])
        else :
            prio.append([prio[0][0], prio[0][1]])
            prio.remove(prio[0])
            
    return answer
  1. 인덱스와 우선순위를 같이 저장한 prio 배열을 생성한다.
  2. 제일 앞에 있는 문서의 우선순위를 기준으로 뒤로 보내거나 인쇄한다.
    2-1. 제일 앞에 있는 문서의 우선순위가 가장 높으면 인쇄했다는 뜻으로 answer의 갚을 1 높여준다.
    2-2. 우선순위가 제일 높지 않으면 뒤에 추가하고, 제일 앞에서 삭제한다.
  3. 인쇄한 문서의 인덱스가 location과 같다면 반복문을 멈추고 지금까지 인쇄한 문서의 개수 즉, 현재 문서가 인쇄될 순서인 answer을 반환한다.

🤔다른 사람의 풀이

def solution(priorities, location):
    queue =  [(i,p) for i,p in enumerate(priorities)]
    answer = 0
    while True:
        cur = queue.pop(0)
        if any(cur[1] < q[1] for q in queue):
            queue.append(cur)
        else:
            answer += 1
            if cur[0] == location:
                return answer

max() 함수가 아닌 any() 함수를 이용해서 풀이했다.

pop(0)으로 제일 앞에 있는 값을 꺼내고,
queue에 들어있는 우선순위 중 하나라도 큰 것이 있다면 다시 맨 뒤에 추가해줬다.
pop()을 사용하여 remove() 함수를 각 경우마다 넣어주지 않아도 된다.


👍오늘의 배운 점

💡any() 함수

파이썬의 내장 함수, all() any()

  • all() 함수
    all() 함수는 인자로 받은 반복 가능한 자료형의 모든 요소가 참이면 참을 반환하는 함수이다. 즉, and의 특징을 가진 함수라고 생각할 수 있다.
    중간에 0이나 비어있는 값이 있으면 False를 반환한다. 또한, 들어온 인자가 비어있으면 True를 반환한다.

  • any() 함수
    any() 함수는 인자로 받은 반복가능한 자료형 중 단 하나라도 참이 있으면 참을 반환하는 함수이다. 반대로 모든 요소가 거짓인 경우에만 거짓을 반환한다. 즉, or의 특징을 가진 함수라고 생각할 수 있다.
    인자로 받은 요소 중 하나라도 True이면 True 반환한다. 또한 들어온 인자가 비어있는 경우 False를 반환한다.

💡pop() 함수

pop() 함수는 지정한 위치에 값을 취득한 후 삭제한다.

다만, pop()은 시간 복잡도가 O(N)이고 deque를 이용해 popleft() 함수를 사용하면 시간복잡도가 O(1)이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