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seudocode
- 시간(time)복잡도(complexity)
- 몇 가지 알고리즘 개념
- greedy(탐욕)
- 구현, 시뮬레이션
- 완전(exhaustive) 탐색(search)/brute force
- 이진 탐색- 알고리즘 예제 풀이
- 의사코드가 필요한 이유
- 문제 해결을 위한 의사코드 작성
문제 풀이 시간이 조금 더 소요되더라도 자세하게 작성하는 습관 들이기
e.g. 1시간 문제 풀이 중 2/3 정도 pseudocode 작성해도 괜찮음
cf. 문제 유형 및 풀이에 익숙해지는 과정 필요
- 시간복잡도 표기법 3가지
- 구현된 코드의 시간복잡도 유추
- 코딩테스트 문제에서 시간복잡도의 중요성
- 각 알고리즘의 동작 원리, 한계, 활용 예시
- 각 알고리즘을 사용해야(필요한)/하지 말아야 하는 상황
- 문제 풀이/해결 과정
- DFS와 BFS의 장/단점
- 그래프가 굉장히 크다면(=depth가 깊다면?) 어떤 탐색 기법을 고려해야 할까?
- (뱐대로)그래프의 규모가 작고 depth가 얕다면 어떤 탐색 기법을 고려해야 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