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dern JS Deep Dive] - 5장 . 표현식과 문

유선향·2025년 1월 18일
0

<modern_JS_Deep_Dive>

목록 보기
6/44

용어의 정확한 이해

  • 식(표현식) 이 평가 되어 생성된 결과
    • 평가 : 식을 해석해서 값을 생성하거나 참조하는 것을 의미

리터럴

  •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문자 또는 약속된 기호를 사용해 값을 생성하는 표기법을 말한다
  •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코드가 실행되는 런타임에 리터럴을 평가해 값을 생성한다.
  • 즉, 리터럴은 값을 생성하기 위해 미리 약속한 표기법이라고 할 수 있다

표현식 과 문

표현식

  • 값으로 평가될 수 있는 모든 문
  • 즉 표현식이 평가되면 새로운 값을 생성하거나 기존값을 참조한다.
  • 위에서 살펴본 리터럴 또한 값으로 평가되기에 표현식이다

  •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기본 단위이자 최소 실행 단위 이다.

  • 문의 집합으로 이루어진것이 바로 프로그램이며, 문을 작성하고 순서에 맞게 나열하는 것이 프로그래밍이다.

  • 문은 여러 토큰 으로 구성된다

    • 토큰 : 문법적인 의미를 가지며, 문법적으로 더이상 나눌 수 없는 코드의 기본요소

  • 문의 구분

    • 선언문 변수 선언문 실행 → 변수가 선언
    • 할당문 실행 → 값이 할당
    • 조건문 → 지정한 조건에 따라 코드블록이 결정되어 실행
    • 반복문 → 특정 코드 블록이 반복 실행된다.

세미콜론과 세미콜론 자동삽입

  • 세미콜론은 문의 종료를 나타낸다
  •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세미콜론으로 문이 종료한 위치를 파악하고 순차적으로 하나씩 문을 실행한다.
  • 단, 코드블록 뒤에는 붙이지 않는다, 코드블록은 언제나 문의 종료를 의미하는 자체 종결성을 갖기 때문이다.

표현식인 문과 표현식이 아닌 문

표현식과 문의 구별

  • 표현식인 문과 표현식이 아닌 문을 구별하는 가장 간단하고 명료한 방법은 변수에 할당 해보는것이다.
  • 표현식인 문은 값으로 평가되므로 변수에 할당 할 수 있지만, 표현식이 아닌 문은 값으로 평가 할 수 없으므로 변수에 할당하면 에러가 발생한다.
  • e.g.) 변수 선언문을 변수에 할당해보기
let foo = let x ; //syntaxError
  • 할당문은 그 자체가 표현식이지만 완전한 문이기도 하다. 즉 , 할당문은 표현식인 문이다.
  • 즉, 값처럼 사용할 수 있다.
let x ; //변수 선언문은 표현식이 아닌 문
x=100; //할당문은 그 자체가 표현식이지만 완전한 문이기도 하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