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버/클라이언트 구조를 왜 사용하는가?
- 인터넷이란?
- 프로토콜의 역할
- IP, MAC address
- DNS server
- 웹서버, WAS
데이터를 일원화하여 관리하도록 하는것이 한가지 이유다. 데이터를 일원화하여 관리하면, 여러개의 원본을 가진 경우와 비교했을때, 수정이나 조회에 있어서 동기화 이슈 등이 발생할 우려가 적어진다. 따라서 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적어져, 보다 신뢰성 있는 데이터가 서비스 전반에 흐르게 된다.
It is a network of networks that consists of private, public, academic, business, and government networks of local to global scope, linked by a broad array of electronic, wireless, and optical networking technologies.
네트워크들의 네트워크. LAN (local area network) 과 같은 네트워크들을 연결해준다. TCP/I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리소스를 원하는 위치에 신뢰성 있게 전달한다.
프로토콜이 갖고 있는 역할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캡슐화와 캡슐 해제화 입니다. 네트워크 통신에서는 OSI 참조 모델의 계층을 넘어설 때마다 데이터를 용기에 넣고 꺼냅니다.
OSI 7 Layer 의 각 층은 관심사가 각기 다르다. 예를 들어 제 4 계층에 해당하는 프로토콜들의 관심사는 데이터를 통신상대에게 확실하게 전달하는 것에 있다. 따라서, 해당 관심사에 따라 데이터는 통신상대에게 올바르게 전달되었는지 여부라는 부가정보 필요로 하게 된다. 4 계층에서 데이터가 전달되기 위해 캡슐화를 하면, 이러한 정보들을 헤더에 담아서 함께 전달하게 된다.
인터넷 상에서 리소스를 얻기 위해서는 해당 리소스의 위치를 전달해야 한다. 리소스의 위치는 IP 주소를 이용하여 명시한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브라우저에서 웹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을 생각해보면, IP 주소를 직접 입력하지 않는 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사용자는 단지, IP 의 alias 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여 자원을 요청한다. 이러한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에 대응시켜 돌려주는 일을 하는것이 도메인 주소서버이다.
이더넷은, 물리계층과 이를 이용한 데이터 전달이 주된 관심사인 기술 규격이다. 컴퓨터를 식별하기 위해 48 비트의 식별자를 사용하는데, 이를 MAC 주소라고 한다. MAC 주소는 기기고유이다. 따라서 네트워크 상에서 할당되는 IP 주소와는 다르다. IP 주소는 네트워크 상에서 할당되는 값으로 기기가 같아도 상황에따라서 , 달라지는 경우도 생긴다. 하지만 MAC 는 기기고유이므로 기기가 같다면 달라지는 일이 없다.
결국 리소스를 특정 기기에 전달한다는 것은 해당 기기의 MAC Address 를 알고 있는 말이다. 따라서 MAC 과 IP 를 테이블에 담아 매핑 시키는 작업이 필요하다. 대응 관계가 테이블에 기록되지않은 경우에는 모든 가능한 곳에 데이터를 전달하는 브로드 캐스팅 방법이 사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