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은 무수히 많은 프로토콜과 많은 실행 환경 속에서 동작이 되고 있기 때문에 웹 성능 최적화 위한 방법들을 단순히 정의하는게 쉽지 않다. 웹 어플리케이션은 복합적인 환경에 따라 비슷한 듯 다른 듯 동작하며 같은 데이터를 이용해도 빠를수도 느릴 수도 있다. 또 사용자가 인지적으로 느끼는 성능 향상은 상당히 주관적이다. 지표 상으로 구체적인 성능 향상을 보여도 사용자는 인지 하지 못할 수도 있다.
성능 최적화는 단순히 각종 비용을 줄이는 측면에서 볼 수 있다. 프로그램은 컴퓨터의 리소스를 소모하면서 동작한다. 소모하는 리소스에는 메모리 사용량, 처리 시간 등이 있다. 처리해야 될 작업이 복잡 하고 클수록 리소스를 더 많이 소모하게 되고 이는 성능 저하로 이어 진다. 웹 프론트앤드 환경에서는 각종 파일들을 주고 받으며 화면을 띄우고 화면을 업데이트하는 과정속에서 비용을 소모한다. 웹 프론트앤드 성능 개선을 위해서 웹 개발자는 최소한의 데이터로 가장 빠른 시간에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끼지 않는 최적의 화면을 띄워야 한다. 성능 최적화를 하게 되면 곧 사용자 경험의 개선으로 이어지고 기업의 실적으로도 이어진다.
고전적으로는 DOMContentLoaded 이벤트 이나 Load 이벤트 의 시점이 빠르다거나 DOMContentLoaded이벤트 와 Load 이벤트 사이의 시간이 짧은 것을 처리시간이 빠르므로 웹 프론트엔드 성능이 좋다고 여겼다.
현대의 웹 브라우저 환경은 앞선 로드 이벤트와 상관 없이 DOM 생성을 최대한 빨리하고 블로킹을 일으키는 복잡한 스크립트 로직은 비동기적으로 처리하고 있다. SPA 라이브러리 같은 경우도 상당히 연산이 심하기 때문에 비동기적으로 스크립트가 실행 된다
FP(First Paint) : 처음 뭔가 그리기 시작
FCP(First Contentful Paint) : 텍스트나 이미지 그리기 시작
FMP(First Meaningful Paint) : 의미 있는 데이터 그리기 시작
TTI(Time to Interactive) : 사용자가 행동을 취할수 있는 시점
같은 혹은 더 빠른 DOMContentLoaded, load 이벤트 시점이라도 사용자는 위에서처럼 점차적으로 보이는 화면을 더 빠르다고 판단한다.
점진적 향상은 가능한 많은 사용자에게 필수 콘텐츠와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설계 철학이다. 또, 기능 실행이 되는 최신 브라우저 사용자에게는 더 나은 최상의 경험을 제공한다. 일단 코어 기능들 부터 만든 후에 구형 브라우저에서도 빠르게 동작은 되도록 한다. 그후 추가 기능은 최신 브라우저 대상으로 개발되며 더 빠르고 더 좋은 사용자 경험을 만들도록 한다.
핵심 기능과 세부 기능이 분리가 잘 되어 있다면 번들도 두 가지로 만들어서 구형 브라우저와 최신 브라우저에게 선별적으로 제공하는 전략도 가능하다. 또, 최신 브라우저에 babel 로 변환 안된 번들을 분별해서 전달하는 것도 성능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다. babel은 유용하지만 최신 브라우저의 API 도 구형 코드로 변환 하기 때문에 변환전 코드를 쓰는 최신 브라우저의 동작이 구형으로 변환된 코드에서는 조금 더 느리게 동작 할 수 있다.
모든 프로젝트에 프레임워크와 SPA 라이브러리가 필요로 되는 건 아니고 한번 선택되면 바꾸기 어렵기 때문에 선택을 신중히 해야한다. 접근성, 안정성, 프로젝트 적합도, 러닝커브, Document, 관련 생태계 등 많은 고려 할 점이 있다.
SPA 라이브러리 같은 경우에는 SSR 이나 Pre-rendering 지원되는지 알아보면 좋다. SEO나 FCP, TTI 향상을 위해서 다양한 렌더 방법이 고려 될 수 있는데 내가 선택한 라이브러리가 이를 지원 하지 않는다면 애초에 성능 개선을 위한 렌더 방법 선택을 못할 수도 있다. (참고 : Web Rendering)
바닥부터 시작하는 프로젝트라면 한번의 호출로 원하는 데이터를 쏙쏙 빼올 수 있는 GraphQL 도 매력적인 선택이다. GraphQL은 최소한의 요청으로 최적의 최소 데이터를 가져오기 때문에 성능 개선을 위한 강력한 무기가 될 수 있다. (참고 : GraphQL과 REST의 차이점)
script 로드를 위한 script 태그는 DOM 생성 블로킹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HTML 최하단에 배치 되어야 하며 비동기적인 로드를 위해서 async defer 속성 사용도 고려 할 수 있다. ( 참고 : defer, async 스크립트)
Bundling 대부분 Webpack, Parcel 같은 번들러가 제공하는 기능을 이용해서 파일 사이즈를 줄일수 있다. 번들러를 이용해서 하나의 번들로 만들면 되면 한번의 호출로 여러 자바스크립트 파일을 사용 할 수 있다. minify 기능을 이용하면 자바스크립트를 공백을 최소한 해서 코드 라인수를 줄이게 되서 파일 크기가 줄어 들게 된다. 트리 쉐이킹 기능을 이용하면 쓰지 않는 코드는 번들에 추가하지 않는다 (참고 : 트리 쉐이킹으로 자바스크립트 페이로드 줄이기). 라이브러리를 사용할 때 트리 쉐이킹 사용의 이점을 극대화 할수 있는데
// 모든 배열 유틸리티들을 가져온다.
import arrayUtils from 'array-utils'; // bad
// 유틸의 일부만 가져온다.
import {unique, implode, explode} from 'array-utils'; // good
전자의 경우 모듈 전부를 다 가져오지만 후자의 경우 트리 쉐이킹 기능을 사용하면 필요한 메서드들 만 번들링 되어서 번들 크기를 많이 줄일 수 있게 된다. ( ES6 구문이 제대로 적용 안된 라이브러리 경우는 예외도 있다. 위의 참고글을 확인하자 )
Import On Interaction 패턴 초기 로드하는 JS 파일 크기 를 줄이기 위해서 Import On Interaction 패턴을 사용 할수 있다. (참고 : The Import On Interaction Pattern) 사용자가 특정 동작을 했을 시에 해당 쪼개진 필요한 JS 파일을 LazyLoad 하고 실행한다. 특정 동작 에는 스크롤 이벤트, 라우팅, 클릭 등 다양한 상황이 해당 될 수 있다. ES6에서 제공하는 모듈 기능을 이용해서 Code Splitting 방법을 쓴다. SPA 라이브러리 내부에서 기능적으로 제공하는 경우도 많다. (참고 : 코드 분할 )
기본적으로 CSS는 렌더링 차단 리소스 이다.
DOM은 CSSOM이 있어야 렌더 트리가 구상되기 때문에 CSS는 항상 html 최상단 head 태그에 배치하도록 한다.
<head>
<link href="style.css" rel="stylesheet" />
</head>
특정 조건에서만 필요한 CSS가 있을 때 미디어 쿼리를 사용하면 불필요한 블로킹을 방지 가능하다.
차단이든 비차단이든 일단 다 받아온다 (참고 : 렌더링 차단 CSS)
<link href="style.css" rel="stylesheet" />
<link href="print.css" rel="stylesheet" media="print" />
<link href="portrait.css" rel="stylesheet" media="orientation:portrait" />
외부 스타일시트를 가져올 때 사용하는 @import 사용은 피한다
/* foo.css */
@import url('bar.css');
JS 파일과 마찬가지로 번들러를 이용해서 상당부분 크기 를 줄일 수 있다.
JPEG 대신 WebP 사용하면 평균 20 30 프로 정도 크기 감소를 시킬 수 있다. (참고 : 나무위키 WebP) WebP 를 지원 안하는 구버전 브라우저도 있기 때문에 점진적으로 대응하는게 좋다.
웹 페이지에서 사용하는 아이콘 이미지 개수가 적은 경우, 다운로드한 이미지를 사용하는 대신 이미지를 Base64로 변환해서 HTML, CSS에 포함해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브라우저 캐싱이 안되므로 주의하도록 하자.
.btn {
background: url('data:image/png;base64,iVBORw0KGgoAAAANSUhEUgAAAAwAAAAOCAYAAAAbvf3sAAAAAXNSR0IArs4c6QAAAHBJREFUKBVjYBimICwsLAaEsXmPGV0QqnAeUNxfW1v7/tWrVy8hq0HRgKQ4CahoIxDPQ9cE14CseNWqVUtAJoMUo2tiBFkXGRmp9/fv3zNAZhJIMUgMBmAGMTMzmyxfvhzhPJAmmCJ0Gp8cutqhwAcASWgwk+79LiQAAAAASUVORK5CYII=')
no-repeat 0 0;
}
Html의 loading 옵션을 이용하거나 Intersection Observer를 활용해서 적시에 이미지를 로드 하도록 해서 초기 데이터 비용을 아낄 수 있다
참고 블로그 https://www.stevy.dev/frontend-web-performance-guide-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