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Byzantine Generals Problem - Leslie Lamport 리뷰(3)

SungJunEun·2021년 11월 11일
0

Papers

목록 보기
3/3
post-thumbnail

이 포스트는 The Byzantine Generals Problem - Leslie Lamport을 읽고 저만의 방식으로 정리한 글입니다.

이 떄까지 우리는 장군들이 서로 다른 장군들에게 자유롭게 직접적으로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고 가정해왔다. 이번에는 이 가정을 없애고, 대신에 물리적 장애물이 존재하여서 보낼 수 있는 장군에 제한이 있는 상황을 고려해보자.

그래프

꼭짓점이 장군이고, 선으로 이어져 있는 장군끼리는 서로 메시지를 전할 수 있다.

용어들

  1. 이웃(neighbors)
    선으로 이어져 있는 두 장군을 이웃 관계라 한다.

  2. p 정규 그래프(p-regular graph)
    각 꼭짓점이 동일한 p개의 갯수에 이웃을 가지는 그래프이다.

왼쪽 그래프는 3-정규 그래프이고, 오른쪽 그래프는 중앙의 꼭짓점이 4개의 이웃한 점을 가져서 정규 그래프가 아니다.

OM(m) & 3m-정규 그래프

앞서 살펴본 OM(m) 알고리즘을 확장하여서 우리는 이 알고리즘을 통해 장군들의 그래프가 3m-정규 그래프이고, 최대 배신자가 m명인 비잔틴 장군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증명은 생략한다.


믿을 수 있는 시스템

믿을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결과를 위해 서로 다른 프로세서를 이용해서 그 값들 중에 과반수인 값을 고르면 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과정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조건을 먼저 만족해야 한다.

만족해야하는 조건들

  1. 모든 이상 없는(nonfaulty) 프로세서는 같은 인풋값을 사용해야한다. 그래야 프로세서들이 같은 아웃풋을 도출하기 때문이다.

  2. 만약 인풋을 내는 장치에 이상이 없다면, 모든 이상 없는 프로세서는 해당 값을 인풋으로 사용해야 한다. 그래야 올바른 아웃풋을 내기 때문이다.

앞서 우리가 비잔틴 장군 문제를 해결할 때 만족해야 하는 IC1 & IC2와 동일하다.

  • 사령관 <-> 인풋을 내는 장치
  • 장교 <-> 프로세서
  • 이상 없는 <-> 충실한

가정들

앞서 OM & SM 알고리즘에서 당연시 했던 가정 A1 ~A4 역시 실제 시스템을 구축할 때는 당연시 할 수 없다.

  1. A1; 모든 이상없는 프로세서가 보낸 메시지는 올바르게 전달되어야 한다.
    실제 시스템에서는 커뮤니케이션이 실패할 수 있다.

  2. A2; 프로세서는 해당 메시지를 누가 보냈는지 알 수 있다.
    이 말은 이상이 있는 프로세서가 이상 없는 프로세서를 흉내내지 못한다는 이야기이다.

  3. A3; 메시지의 부재는 탐지 가능하다.
    메시지가 도착하는 시간의 제한을 걸면 메시지의 부재를 탐지 가능하다. 만약에 해당 시간 제한보다 늦게 프로세서가 보낸다면, 우리는 그 프로세서를 이상이 있다고(faulty) 간주한다.

  4. A4; 이상 없는 프로세서들이 자신의 메시지를 사인하고, 다른 프로세서들은 이 사인을 위조하지 못한다.
    사인이라는 것은 데이터이기 때문에 A4를 완전히 100% 보장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하지만, 암호학을 적용시킨다면, A4가 보장되지 않을 확률을 거의 0에 가깝게 만들 수 있다.


결론

이 논문에서는 여러가지 가정과 상황에서 비잔틴 장군 문제의 해결을 다루고 있다. 해당 알고리즘들은 모두 시간과 메시지양의 측면에서 매우 비싸다.

profile
블록체인 개발자(진)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