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RI는 오직 ASCII 인코딩만 지원하지만, IRI(International Resource Identifirer)는 UTF-8을 통해 전 세계의 문자셋을 지원하다 IRI는 URI의 상위개념이라고 할 수도 있다
axios는 너무 쉽고 일반적이라서 따로 공부를 한적이 없다 강의에서 사용하는 것만 보고 따라치면서 별다른 정리없이도 너무 쉽게 사용이 가능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생각보다 좋은 기능들이 많이 있는 것 같다 이번에 다 다루진 못하겠지만 이 페이지에 axios관련 팁들
브라우저(프론트)랑 백엔드랑 도메인이 다른경우(포트가 달라도 도메인이 다른 것으로 인식함)CORS 문제가 생김cors 모듈 - access control allow origin 헤더를 추가해서 해결쿠키도 전달이 안됨백엔드에서 요청을 누가 보낸 것인지 확인 불가능방법1.
메모리 기반의 '키-값' 구조 데이터 관리 시스템모든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조회하기에 빠른 Read, Write 속도를 보장하는 NoSQLSprout(구 인프런클론) 백엔드에 세션 클러스터링을 위한 외부 서버로 사용 중https://github.com/T
브라우저엔 HTML을 내려준 웹서버(Origin- 동일 도메인, 동일 Port, 동일 프로토콜)에게만 AJAX 요청을 보낼 수 있다그렇지 않는 경우엔 브라우저에서 차단 함CORS는 추가 HTTP헤더를 사용하여, 하나의 출처(origin)에서 실행 중인 웹앱이 다른 출처
tinyMCE로 이미지를 전송하면 서버에 base64로 전송이 되는 것은 알고 있었는데 텍스트 에디터엔 blob형태로 추가되어서 실제로 base64로 인코딩되어서 전송이 되는지 눈으로 확인해보았다.아이콘을 통해 이미지를 추가 하거나 이미지를 에디터에 직접 붙여넣기 해서
이미지 파일을 웹 텍스트 에디터에서 어떻게 업로드하는지 알아보자.이미지 버튼을 누르면 업로드용 모달창 같은 것이 나온다.업로드 아이콘을 클릭 후 이미지를 업로드를 하면다음의 순서대로 업로드가 진행된다.method: POSTcontent-type: multipart/fo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은 WWW(Word Wide Web)에서 통신하는 데 사용하는 프로토콜 프로그램이다.hypertext : 사용자에게 내용의 비순차적 검색이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텍스트. 문서 내의 특정한 단어가 다른 단어나 데이
이 글은 https://blog.hubspot.com/website/best-wysiwyg-html-editor 를 번역해서 정리한 내용으로 오역이나 의역, 개인 의견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코드 에디터CSS, PHP, XHTML, JSP, JavaScr
명세 정의 언어서버와 클라이언트가 정보를 주고 받는 규칙이 프로토콜(HTTP)이라면,IDL은 정보를 저장하는 규칙이다.대표적인 IDL의 예 : XML, JSON, Protocol buffers(proto)XML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IDL이며, XML보다 월
회원 가입을 하면 API가 발급된다.e.g., asdfasdf발급된 API를 이용해서 tinyMCE WYSIWIG를 사용할 수 있다.사용 전에 tiny 웹사이트에서 등록한 도메인만 사용이 가능하다.
inflearn에서 tinymce 에디터를 사용 중인 것 같다.무료 에디터인지 가격정책을 찾아보니 등급별로 제공되는 혜택이 달랐다.무료버전 등급을 사용하려 하는데 LGPL 라이센스로 되어 있었고그것이 무엇인지 찾아보았다.GNU LGPL 위키피디아공개 SW 라이센스 GP
자바스크립트로 브라우저 종료 시점에 발생하는 이벤트 콜백함수에 세션을 없애라는 요청을 보내는 것이 아니면서버에 세션의 만료시점까진 세션이 유지되었다가 삭제되는 것 같다.https://forums.asp.net/t/1772291.aspx?Clear+session
예전에 웹을 처음 배울 때 PHP로 배웠었는데 WAS라는 말을 잠깐 들어봤으나 제대로 알지 못 해서 이번기회에 정리해보려 한다.그리고 node.js환경에선 WAS는 무엇인지도 정리해보자.클라이언트로 HTTP 요청을 받아 HTML 문서나 각종 리소스(Resource)를
오늘 Ark 회의 중에 쿼리스트링이라는 말을 들었다.사실 처음 보는 단어는 아니었다.회사에서 formdata(썸네일)를 보내서 서버에서 쿼리스트링에서 값을 가져오는 것을 봤었다.그 당시 어렴풋이 추측만 했었는데 오늘 명확하게 그 의미가 전달이 되고 이것을 기록하고자 한
서론 이 간단해 보이는 drag and drop animation을 만들어 보려했지만 생각보다 쉽지 않았다. 개인적인 생각으론 인프런에서도 sortable js 라이브러리를 사용한 것으로 생각된다. 왜냐하면 선택 후 드래그로 움직임을 바꿀 때 현재 선택된 elemen
form 안의 input에 name이 key 이고 value가 value인데 이것을 form 태그를 사용해서 전송을 하면 Content-Type:application/x-www-form-urlencoded 방식으로 전달이 된다.둘다 body로 가는 것은 같지만 서버에서
프론트에서 DB에 값을 저장하려 할 때 POST 방식으로 전송을 하게 된다.form으로 전송하는 경우,file이 포함되지 않았다면,enctype이 application/x-www-form-urlencodedfile이 포함되었다면,multipart/form-data로 지
많은 노드를 추가해야 한다면 innerHTML하나씩 추가할 경우 appendChild참고 문헌https://m.blog.naver.com/tmondev/221070295102
서버와 이용자 사이의 물리적 거리를 줄여 웹 페이지 콘텐츠 로드 지연을 최소화 하는, 촘촘히 분산된 서버로 이루어진 플랫폼지역에 따라 느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CDN은 PoP(Points of Presence)라고 하는 전 세계의 여러 지역에 캐시된 버전의 웹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