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est g resource 명령어로 movie폴더와 같은 리소스를 만들 수 있다.


프로젝트의 메인 모듈이 되는 app.module.ts 인데 joi를 사용해서 환경변수를 validation하였고,
참고로 환경변수 셋팅시에 fotRoot대신 forRootAsync를 통해 비동기적으로 환경변수를 셋팅할 수 있다고 한다.
GPT는 외부 API 연동 시에 유용하다고 하는데 강의를 좀 더 봐야할 듯 하다.
참고로 nest.js는 ioc 컨테이너를 통해 인스턴스 생성과 injection을 자동으로 해준다는데 이론적인 내용이라 필요할 때 다시 이해해봐야할 듯.

custom validator를 만들 수도 있고, class transformer를 통해 expose, exclude, 응답값 변환도 가능하니 필요할 때 코드 참고하면 될 듯 하다.
필요할 때 찾아쓰자.



id값으로 특정 영화가져오는 코드인데 repository 메서드들은 필요할 때 찾아보자.
참고로 NotFoundException은 @nestjs/common에서 제공하는 기능인데 이거 안쓰면 id와 일치하는 영화 없어도 200 ok 떨어진다. 에러처리를 위해 꼭 필요한 곳에 사용해줘야 한다.
강의 꽤 본 것 같은데 정리해보니 많지않다.
포스트맨과 postgres 사용해 보니 신기하고 api 어떻게 만드는지 감이 조금씩 오는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