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4_After팀 머신러닝 프로젝트 KPT회고

정형빈·2022년 10월 21일
0

B4_After 팀 KPT 회고

1. 프로젝트 진행

  • 프로젝트 명 : 구글 포토 클론코딩 프로젝트
  • 프로젝트 내용 :
    • python package 중 Tensorflow 또는 Pytorch를 사용하여 이미지를 분류하는 웹서비스 구현
    • 인식하려는 객체와 제공 서비스 목적에 따라 전이학습, 튜닝해서 모델을 학습

2. KPT 회고

1) Keep

  • 프론트보다 백엔드, 추가기능보다 기본기능, 목표가 선명해서 좋았다.
  • 코딩부분 뿐만 아니라 기획부터 GIT관리, 협업 관련 업무도 잘 이루어져서 좋았음
  • 팀원들과의 지속적인 목표 공유와 확인, 그에 따른 행동 계획을 원활히 소통하면서 진행한 것이 좋았다.
  • 모르는 것이 있으면 튜터님께 적극적으로 질문을 한 점이 좋았다.(튜터님들 고생하셨습니다)

2) Problem

  • 역할을 분담해서 하다보니 머신러닝 구현을 해보지 못한 팀원이 있었다.
  • 전체적으로 Git을 활용하는데에 아직까지 어려움을 겪고 있는 팀원이 많아서 PR하기전 체크가 부족했고 PR내용에 대한 코멘트 평가 피드백 또한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했다.
  • 각자에 업무에만 집중하다보니 다른사람이 작성한 코드에 대한 이해도가 부족한 점이 아쉬웠다.
  • 대략적인 역할 분담은 있었지만 상세한 기능들을 나눠서 작업할때 원활한 소통이 이루어지지 않아 우선순위가 어긋나고 같은 기능을 두명 이상씩 작업하는 상황이 발생했다.

3) Try

  • S.A. 제출 이후에도 프로젝트 제출마감일까지 해야 할 일들에 대해, 세부적인 업무 분담과 수행 계획을 수립한다.
  • 각자 어떤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대시보드를 이용한다(ex. 노션, to-do list 등)
  • 중간에 각자 작성한 코드를 보면서, M-V-T 패턴(Model-Views-Templates)에 따른 작업의 흐름을 이해하는 시간을 가지면 좋을 것 같다.
  • 작업하다가 에러코드를 만나게 되면 단순히 해결하고 끝내는 것이 아니라 코드와 해결법을 팀원들과 공유하면 좋을 것 같다.(깃허브의 이슈 기능을 활용하면 좋을 듯함)
  • 기능구현도 좋지만 부가요소들(깃허브,TIL,발표준비자료,트러블슈팅 등)에도 신경을 쓰도록 노력한다.

3. 느낀 점

정형빈

앞선 프로젝트들 보다 개인적인 실력은 늘었지만 아직까지 튜터님 의존도가 많이 높은 것 같아 스스로 하는 비중을 늘려야 할 것 같고 기능구현에 정신이 팔려 부가적 요소들을 놓치는 것이 많아서 다음부터는 잘 챙겨보겠다.

고은혜

처음으로 프로젝트에서 기능을 구현해봐서 좋았고, 문제가 있을 때마다 팀원들이 도와줘서 감사했다.

김명지

초기 기획안 수립부터, 중간 회의때마다 성과와 해야할 일들을 평가하면서 필수 구현 기능을 완성하는 과정이 팀원들의 협력으로 원활히 진행되어 좋았다.
가상환경 구성 등 가장 기본적인 것들에서 문제가 생겨서 프로젝트에 더 많이 기여하지 못한 것 같아 아쉽다. 이에 대해 더욱 탄탄히 다져야겠다.

전다솔

팀원 분들이 서로 모르는 것을 물어보고 또 알려주고 하면서 프로젝트를 열심히 하는 모습에 나도 같이 마지막까지 열심히 할 수 있었던 것 같다. 또한 프로젝트를 하면서 내가 모르는 부분이 무엇인지 알 수 있어서 좋았다.

최동근

프로젝트를 통해 장고 기능을 계속해서 다루면서 프로세스가 조금씩 이해되기 시작해서 좋았고 팀플이다보니 몰랐던 부분에 대해 서로 공유하면서 더 성장하는 계기가 됨

profile
스파르타 내일배움캠프 3기 수강생 정형빈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