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cky Linux - 실습 환경 구축

전설의용사·2023년 10월 26일
1

Linux

목록 보기
1/1
post-thumbnail

서론

우재남, 이것이 리눅스다(3판)

해당 강의를 들으면서 혼자서 정리한 글입니다.

이 글에서는 VMware를 사용합니다

추후에 업데이트 될 수 있습니다.

Last Update: 231027


가상 머신

가상 머신의 개념

  • 호스트 OS 안에 가상의 컴퓨터를 만들고, 그 안에 게스트 OS를 설치 및 운영할 수 있도록 제작된 프로그램
    • 호스트 OS: PC에 이미 설치된 운영체제
    • 게스트 OS: 가상 머신에 설치할 또 다른 운영체제
  • 멀티부팅(Multi-Booting)과는 개념이 다르다

다운로드 링크

  • VMware
    • 다운로드
    • Pro를 설치하면 무료 버전인 Player도 같이 설치된다
    • Pro로 30일 체험판 쓰면 된다
    • Pro는 스냅샷 기능만 쓸거고 어차피 Player가 남으니까 상관 없음!

가상 머신 생성

  • 키보드 왼쪽 Ctrl, Alt를 같이 누르면 가상 머신의 화면 밖으로 마우스 커서를 빼낼 수 있다

  • 총 4대의 가상 머신을 생성할 것이다

    ServerServer(B)ClientWinClient
    주 용도서버 전용서버 전용(텍스트 모드)클라이언트 전용Windows
    클라이언트 전용
    Guest OST 종류Red Hat Enterprise
    Linux 9 64-bit
    Red Hat Enterprise
    Linux 9 64-bit
    Red Hat Enterprise
    Linux 9 64-bit
    Windows 10
    설치할 ISORocky Linux 9Rocky Linux 9Rocky Linux 9Windows 10
    평가판(64비트)
    가상머신 이름ServerServer(B)ClientWinClient
    저장 폴더C:\Rocky9\ServerC:\Rocky9\Server(B)C:\Rocky9\ClientC:\Rocky9\WinClient
    하드 용량80GB40GB40GB60GB
    하드 타입SCSISCSISCSI 또는 NVMe
    또는 SATA
    SCSI 또는 NVMe
    또는 SATA
    메모리 할당
    (16GB 기준)
    4GB2GB2GB2GB
    네트워크 타입NATNATNATNAT
    CD/DVD 장치OOOO
    Floppy 장치XXOX
    Audio 장치XXOX
    USB 장치XXOX
    Printer 장치XXOX

생성 과정

  • 가상 머신들을 모아둘 폴더를 생성한다
    • C:에 Rocky9 폴더 생성
  • 4개의 폴더를 생성한다
    Client, Server, Server(B), WinClient
    Imgur
  • Player에서 Create a New Virtual Machine 클릭
  • I will isntall the operating system later 옵션 선택
    Imgur
  • Linux 선택 후 Red Hat Enterprise Linux 9 64-bit 선택
    Untitled
  • 위에서 만들었던 폴더 위치를 지정하고 가상 머신 이름을 지정한다
    Untitled
  • 하드 디스크 설정은 기본으로 두고 넘어간다
    Untitled
  • Finish를 누르면 생성된다
    Untitled
    Untitled
  • Edit virtual machine setting을 누르면 가상 머신의 하드웨어를 커스텀할 수 있다
    • 예를 들어 호스트 PC의 RAM이 8GB라면 메모리를 2GB로 변경한다
    • 프로세서는 가상이기 때문에 성능의 차이가 없다. 1로 변경한다
    • 하드디스크는 80GB로 변경
      • Remove로 제거 후 Add로 추가
      • 디스크 타입 : SCSI
      • Create a new virtual disk
      • Maximum disk size: 80GB
      • Store virtual disk as a single file
        • multiple files 옵션은 성능이 좋아지지만 귀찮아진다
      • Finish
        Untitled
  • USB Controller 제거
  • Sound Card 제거
  • 결과
    Untitled
  • 나머지 Server(B), Client, WinClient도 비슷하게 생성한다

VMware 특징 or 장점

  • 1대의 컴퓨터만으로 실무 환경과 거의 비슷한 네트워크 컴퓨터 환경의 구성이 가능하다
  • 운영체제의 특정 시점을 저장하는 스냅샷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 하드디스크 등의 하드웨어를 내 맘대로 여러 개 장착헤서 테스트할 수 있다
  • Suspend 기능
    • 노트북 뚜껑을 그냥 덮는 느낌
    • 현재 컴퓨터 상태를 그대로 저장해 놓고, 다음 사용할 때 현재 상태를 이어서 구동할 수 있다
    • Power Off 와는 다른다

기능

  • 전체 화면: 왼쪽 Ctrl + Alt + Enter
  • 여러 개의 가상 머신을 한 번에 돌리고 싶으면 Player를 한 번 더 실행하면 늘어난다

네트워크 환경 구축

  • 호스트 OS에서 IP 정보 확인
    • cmd에서 ipconfig /all 입력
    • VMnet8이 우리가 사용할 항목
      Untitled
  • IPv4 주소 변경
    • IPv4주소: 192.168.XXX.X에서 대부분은 세 번 째 칸이 111이 아닐 것이다. 이를 11로 바꿔주어야 한다
    • 강의와 동일한 네트워크 환경을 만드는 것이 목적
    • 해당 기능은 Player가 아닌 Pro에 있다
    • Edit ⇒ Virtual Network Editor ⇒ 오른쪽 아래 Change Setting 클릭
    • Subnet IP를 192.168.111.0으로 변경 후 Apply ⇒ cmd에 ipconfig /all 입력해서 체크
      Untitled
      Untitled

호스트 OS와 게스트 OS 사이의 파일 전송

  • C:\Windows\Media\ 폴더를 통째로 ISO파일로 만든 후, 게스트 OS로 전송한다
  • Free ISO Creator
  • 물리적인 CD/DVD 대신에 ISO 파일을 사용한다
  • 예를 들어 C:\Windows\Media 폴더를 보내보자! Untitled
    Untitled

OS 세팅

Server(Rocky Linux)

가상 머신 설치

  • Rocky Linux 9 DVD ISO 파일을 이용한다
  • 설치 목적지 Untitled Untitled Untitled Untitled Untitled Untitled
  • root 비밀번호 설정
    • 완료를 2번 눌러야 한다
      Untitled
  • 설치 시작 전 화면 Untitled

초기 설정하기

  • 시작 화면
    Untitled
  • 최소 하나의 사용자 계정은 만들어주어야 한다 ex) id: rocky / pw: rocky Untitled

가상 머신 관련 설정

로그인

  • 로그인은 관리자 계정인 root로 접속한다
  • 목록에 없습니까? 클릭 Untitled Untitled

화면 잠금 관련

  • 화면
    Untitled

자동 업데이트 기능 끄기

  • clear: 터미널 창 정리하기
  • exit: 터미널에서 나오기
    gsettings set org.gnome.software download-updates false
    systemctl disable dnf-makecache.service
    systemctl disable dnf-makecache.timer

dnf 설정

[root@localhost ~]# cd /etc/yum.repos.d/
[root@localhost yum.repos.d]# mkdir backup
[root@localhost yum.repos.d]# ls
[root@localhost yum.repos.d]# mv *.repo backup
[root@localhost yum.repos.d]# gedit This.repo
  • This.repo에 아래 내용 붙여넣기
[baseos]
name=Rocky Linux $releasever - BaseOS
baseurl=https://dl.rockylinux.org/vault/rocky/9.0/BaseOS/x86_64/os/
gpgcheck=0

[appstream]
name=Rocky Linux $releasever - AppStream
baseurl=https://dl.rockylinux.org/vault/rocky/9.0/AppStream/x86_64/os/
gpgcheck=0

[extras]
name= Rocky Linux $releasever - Extras
baseurl=https://dl.rockylinux.org/vault/rocky/9.0/extras/x86_64/os/
gpgcheck=0

[plus]
name= Rocky Linux $releasever - Plus
baseurl=https://dl.rockylinux.org/vault/rocky/9.0/plus/x86_64/os/
gpgcheck=0

[crb]
name=Rocky Linux $releasever - CRB
baseurl=https://dl.rockylinux.org/vault/rocky/9.0/CRB/x86_64/os/
gpgcheck=0

Untitled

가상 머신의 IP 설정

  • 설정값 표

    ServerServer(B)ClientWinClient
    IP 주소192.168.111.100(고정)192.168.111.200(고정)자동 할당(DHCP)자동 할당(DHCP)
    서브넷 마스크255.255.255.0(직접 입력)255.255.255.0(직접 입력)자동 할당(DHCP)자동 할당(DHCP)
    게이트웨이192.168.111.2(직접 입력)192.168.111.2(직접 입력)자동 할당(DHCP)자동 할당(DHCP)
    DNS 서버192.168.111.2(직접 입력)192.168.111.2(직접 입력)자동 할당(DHCP)자동 할당(DHCP)
[root@localhost ~]# cd /etc/NetworkManager/system-connections/
[root@localhost system-connections]# ls
[root@localhost system-connections]# gedit ens160.nmconnection
  • 변경 전
    Untitled

  • ipv4 부분 변경 후
    Untitled

[root@localhost system-connections]# cd
[root@localhost ~]# nmcli connection down ens160 
'ens160' 연결이 성공적으로 비활성화되었습니다 (D-Bus 활성 경로: /org/freedesktop/NetworkManager/ActiveConnection/2)
[root@localhost ~]# nmcli connection up ens160 
연결이 성공적으로 활성화되었습니다 (D-버스 활성 경로: /org/freedesktop/NetworkManager/ActiveConnection/3)
[root@localhost ~]# reboot
  • IP주소가 잘 변경되었는지, 파이어폭스를 켜서 인터넷이 잘 되는지 확인
[root@localhost ~]# ifconfig ens160
ens160: flags=4163<UP,BROADCAST,RUNNING,MULTICAST>  mtu 1500
inet 192.168.111.129  netmask 255.255.255.0  broadcast 192.168.111.255
inet6 fe80::434e:8154:ef94:6d6c  prefixlen 64  scopeid 0x20<link>
ether 00:0c:29:96:45:c2  txqueuelen 1000  (Ethernet)
RX packets 33  bytes 4052 (3.9 KiB)
RX errors 0  dropped 0  overruns 0  frame 0
TX packets 66  bytes 7129 (6.9 KiB)
TX errors 0  dropped 0 overruns 0  carrier 0  collisions 0

Untitled

SELinux 끄기

  • (보안에 취약해지지만 학습용으론 불편하기 때문)
  • SELinux 현재 상태 확인
[root@localhost ~]# sestatus 
SELinux status:                 enabled
SELinuxfs mount:                /sys/fs/selinux
SELinux root directory:         /etc/selinux
Loaded policy name:             targeted
Current mode:                   enforcing
Mode from config file:          enforcing
Policy MLS status:              enabled
Policy deny_unknown status:     allowed
Memory protection checking:     actual (secure)
Max kernel policy version:      33
  • SELinux 끄기
[root@localhost ~]# grubby --update-kernel ALL --args selinux=0
[root@localhost ~]# reboot

한글 입력 설정

Untitled

  • 키보드 전환: 윈도우키 + Space
  • 한/영 전환: Shift + Space

방화벽 설정 관련 설치

[root@localhost ~]# dnf -y install firewall-config

자동 업데이트 끄기

Untitled

해상도 고정

[root@localhost ~]# gedit /etc/default/grub
  • vga=773 넣는 것으로 1028 x 768 고정 Untitled
    [root@localhost ~]# grub2-mkconfig -o /boot/grub2/grub.cfg
    Generating grub configuration file ...
    Adding boot menu entry for UEFI Firmware Settings ...
    done
    [root@localhost ~]# reboot

리눅스 CD 빼기

  • Connect at power on 해제
  • Use Physical drive 선택
    Untitled

스냅샷

  • Player를 완전히 종료한 후, Pro를 켠다
  • 가상 머신 열기 Untitled
  • VM - Snapshot - Snapshot Manager - Take Snapshot - 이름 설정 Untitled

가상 머신 초기화

  • Player를 완전히 종료한 후, Pro를 실행한다
    • 둘 다 실행하면 충돌이 일어날 수 있다
  • VM-Snapshot-Snapshot Manager
  • Go To 클릭 Untitled
  • Pro 종료 후 Player로 다시 부팅해보면 스냅샷 시점으로 돌아가있다 Untitled

Server(B)(Rocky Linux / 텍스트 모드)

  • 텍스트 모드에서는 한글이 깨지기 때문에 영어로 설정한다

Software Selection: Minimal Install

Installation Destination

Untitled

Untitled

Root Password

Untitled

설치 후 재부팅 결과 화면

Untitled

필수 패키지 설치

dnf -y install nano bind-utils net-tools wget unzip bzip2
cd /etc/yum.repos.d/
rm -f *.repo
wget http://download.hanbit.co.kr/rocky/9/This.repo
dnf clean all

IP 주소 설정

cd /etc/NetworkManager/system-connections/
nano ens160.nmconnection

Untitled

  • 저장은 Ctrl + X ⇒ Enter
nmcli connection down ens160
nmcli connection up ens160
reboot 

Untitled

세팅 안 되면 여기 방법으로 시도해본다

  • 세팅이 제대로 안되면 위의 링크의 방법으로 시도한다

    • 인터넷이 되는지 체크
    ping -c 5 www.google.com
          

Untitled

SELinux 끄기

grubby --update-kernel ALL --args selinux=0
reboot
# 체크
    
sestatus

해상도 변경

  • 큰 화면이 필요 없음
    nano /etc/default/grub
  • selinux=0 뒤에 한 칸 띄우고 vga=771 삽입 후 저장
  • 변경값 적용
    grub2-mkconfig -o /boot/grub2/grub.cfg

스냅샷을 찍는다

  • 컴퓨터 종료 명령어
    halt -p

Client(Rocky Linux)

설치 요약

Untitled

설정

[root@localhost ~]# gsettings set org.gnome.software download-updates false
[root@localhost ~]# systemctl disable dnf-makecache.service
[root@localhost ~]# systemctl disable dnf-makecache.timer
[root@localhost ~]# gsettings set org.gnome.software download-updates false
[root@localhost ~]# systemctl disable dnf-makecache.service
[root@localhost ~]# systemctl disable dnf-makecache.timer
[root@localhost ~]# cd /etc/yum.repos.d/
[root@localhost yum.repos.d]# rm -f *.repo
[root@localhost yum.repos.d]# wget http://download.hanbit.co.kr/rocky/9/This.repo
[root@localhost yum.repos.d]# dnf clean all
[root@localhost yum.repos.d]# gedit /etc/default/grub
    
  • vga = 773 기입
[root@localhost yum.repos.d]# grub2-mkconfig -o /boot/grub2/grub.cfg
[root@localhost yum.repos.d]#reboot
  • 재부팅 후 설정에서 자동 업데이트 알림 비활성화

root 사용자 접속 막기

  • 일반 사용자로 들어가서 필요할 때마다 root의 권한을 얻는 식으로 쓸 예정
    [root@localhost ~]# gedit /etc/pam.d/gdm-password
    Untitled

화면 잠금 관련 설정

Untitled

Server와 구분될 수 있게 배경화면 바꿔놓을 것

자동 로그인 설정

  • su: root 권한을 얻는다
  • $: 일반 사용자
  • #: root 사용

Untitled

[root@localhost rocky]# gedit /etc/gdm/custom.conf
  • 자동으로 rocky로 로그인되게 설정하기

Untitled

  • Pro에 들어가서 스냅샷 설정하기

WinClient(Windows 10)

다운로드 링크

  • 윈도우10 평가판 쓸 예정
  • 기본값으로 계속 진행

설치 과정

  • 설치 유형: 사용자 지정 선택 Untitled
  • 마이크로소프트 입력기 선택 Untitled
  • 두 번째 키보드 레이아웃 추가: 건너뛰기
  • 대신 도메인 가입 클릭 Untitled
  • ID: WinUser
  • 비밀번호는 만들지 않아도 넘어갈 수 있다
  • 이후는 계속 기본값 선택하면서 넘어가도 된다
  • 설치 결과 화면 Untitled

VMware Tools 설치

  • VMware는 가상 머신 화면에 갇히는데 이를 자유롭게 해준다

Untitled
Untitled

스냅샷 찍기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