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를 사용할 때 두 개의 헤더를 사용합니다.
해당 헤더들이 어떻게 사용되는지 예제를 통해 알아보겠습니다.
실생활의 예제를 통해 조금 더 쉽게 접근해보겠습니다.
네이버에 로그인 한다고 가정해봅시다. 우리는 네이버는 한 번 로그인 하면 그 다음부터 일정 시간 동안은 다시 로그인을 할 필요가 없습니다. 이는 서버가 클라이언트가 로그인을 완료한 것을 기억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 때 쿠키의 개념이 사용됩니다.
쿠키가 없다면 어떻게 될까요? 모든 요청에 사용자 정보를 포함해야 할 것입니다. HTTP로 돌아가 봅시다.
HTTP는 많이들 알고 있다 싶이 무상태 (stateless) 프로토콜입니다. 무상태 (stateless) 프로토콜은 각각의 요청을 독립적인 트랜섹션으로 취급합니다. 즉, 클라이언트와 서버는 요청과 응답을 마친 뒤 연결이 끊기고, 또 다른 요청이 들어온다면 해당 요청은 이전의 요청과는 독립적인 트랜섹션으로서 서버는 클라이언트와의 연결을 기억하지 못하는 것이죠.
때문에 우리가 로그인을 했더라도 다음 요청에서 서버는 우리가 로그인 한 것을 기억하지 못합니다. 만약 쿠키를 사용하지 않은 채 로그인을 계속 유지하고 싶다면 서버에게 로그인 요청을 계속해서 보내야 합니다.
하지만 모든 요청과 링크에 사용자의 정보를 포함한 로그인 요청을 보낸다면 심각한 부하와 문제를 발생시킬 것입니다.
클라이언트가 서버로 로그인 요청을 하면 서버는 Set-Cookie
라는 쿠키 헤더를 사용하여 로그인 요청을 넣어 반환합니다.
웹 브라우저는 반환 받은 쿠키의 정보를 내부의 쿠키 저장소에 저장합니다.
이후에 클라이언트가 웹 브라우저로 다시 들어가게 되면 웹 브라우저는 내부의 쿠키 저장소를 다 뒤져 쿠키 정보를 찾아냅니다. 현재 내부의 쿠키 저장소에는 로그인 정보가 있겠네요!
그리고 해당 정보를 Cookie
헤더에 넣어 요청을 보냅니다.
쿠키는 보통 사용자의 로그인 세션을 관리하거나 광고 정보를 트래킹하는데 사용됩니다. 쿠키의 정보를 항상 서버에 전송되는데 이 때 네트워크 트래픽을 추가 유발합니다. 따라서 최소한의 정보만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로그인 한 클라이언트의 세션 id 혹은 인증 토큰에 관련된 정보만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외에도 웹 스토리지를 사용해서 클라이언트에 쿠키 정보를 보관하고 있다가 필요할 때 마다 서버에 전송하는 로직 또한 존재합니다.
주의 할 점은 보안에 민감한 데이터는 절대 쿠키에 저장하면 안된다는 것입니다.
쿠키의 종류
쿠키의 도메인
쿠키는 도메인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도메인을 명시하게 되면 명시한 문서 기준 도메인과 서브 도메인에게 쿠키를 전송합니다
예를 들어 domain = exampla.org를 지정한다면 example.org 뿐만 아니라 dev.example.org도 쿠키를 접근할 수 있습니다.
또한 만약 생략한다면 현재 문서만 도메인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쿠키의 경로
도메인으로 1차 필터를 하고 경로로 2차 필터를 할 수 있습니다.
path=/ 를 사용해서 해당 경로를 포함한 하위 경로 페이지만 쿠키를 접근하게 허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path=/home 로 지정했다면 /home/member, /home/list 모두 쿠키로 접근 가능합니다
쿠키의 보안
쿠키와 관련된 보안은 세 가지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