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를 더 자세히 알기위해 어셈블리어를 공부한 내용을 작성CPU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이다. 전기 신호를 0과 1로 표현한 것이다.예시 이 표현을 MIPS라는 아키텍처의 기계어로 옮기면 다음과 같다. 보통은 4자리씩 끊어서 16진수로 표현한다. 그래서 그렇게 써보자면

https://www.ollydbg.de/version2.html ollydbg 2.01을 통해서 실습인텔 32bit assembly에 대해 다룸(IA-32)인텔 32bit 아키텍처로 만들어진 어셈블리어문법도 여러가지가 존재한다.(intel, atnt)그 중

어셈블리어란 CPU와 직접 대화할 수 있는 언어 어셈블리어의 구성 명령어 (operation) 피연산자 (operand) 피연산자는 목적어, 명령어는 동사, 주어는 CPU이다.
기본적으로 위에서부터 아래로 실행된다.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는다.어셈블리어는 기계의 움직임을 정하는 언어이기 때문에 size를 정확히 써야한다. (size가 틀릴 경우 아예 실행이 안된다.)값을 또 넣으면 덮어 씌울 수 있다.레지스터의 값으로 값을 덮어쓴다.ex) m
인텔 32비트에서는 주소 값을 32비트로 표현 할 수 있다.어셈블리어어에서는 메모리에 \[]를 통해서 접근할 수 있다.ex) address가 00420000 이라면 420000으로 접근 할 수있다.(앞의 00은 생략)어셈블리어의 숫자는 10진수가 아닌 16진수를 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