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개 이상의 테이블이나 데이터베이스를 연결하여 데이터를 검색하는 방법
--> 테이블을 연결하려면 , 적어도 하나의 칼럼을 서로 공유하고 있어야 하므로
이를 이용하여 데이터 검색에 활용한다.
두 테이블을 연결할 때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이 INNER JOIN 이라고한다.

1.
SELECT 조회할 컬럼
FROM TABLE 1 , TABLE 2
[WHERE 조건문]
2.
SELECT 조회 컬럼
FROM TABLE1
(INNER) JOIN TABLE 2
ON TABLE 1 .컬럼 = TABLE 2.컬럼
[WHERE 추가조건 ]
INNER JOIN은 두 테이블에 모두 데이터가 존재해야 결과가 나오지만 , 외부조인은 한쪽에만 데이터가 있어도 결과가 나옵니다.

SELECT <열 목록>
FROM <첫 번쨰 테이블(LEFT TABLE)>
<LEFT | RIGHT | FULL> OUTER JOIN <두 번째 TABLE(RIGHT 테이블)>
ON <조인 조건>
[WHERE 검색 조건]
한쪽 테이블의 모든 행과 다른 쪽 테이블의 모든 행을 조인시키는 기능입니다.
상호 조인 결과의 전체 행 개수는 두 테이블의 각 행의 개수를 곱한 수만큼 됩니다. 카티션 곱(CARTESIAN PRODUCT)이라고도 합니다.

SELECT *
FROM <첫 번째 TABLE>
CROSS JOIN <두 번째 TABLE>
SELF JOIN은 자기 자신과 조인하므로 1개의 TABLE만 사용한다
별도의 문법이 있는건 아니고 1개로 조인하면 자체 조인한다.

SELECT <열 목록>
FROM <TABLE> 별칭A
INNER JOIN <테이블> 별칭B
[WHERE 검색 조건]
😄정리
1. INNER JOIN = 기준 테이블과 조인 테이블에 모두에 조인 컬럼 데이터가 존재해야 조회된다
2. OUTER JOIN = 두 테이블을 조인할 때, 1개의 테이블에만 데이터가 있어도 결과가 나온다.
3.CROSS JOIN = 한쪽 테이블의 모든 행과 다른 쪽 테이블의 모든 행을 조인하는 기능이다.
4. SELF JOIN = 자신이 자신과 조인한다는 의미로, 1개의 테이블을 사용한다.
예시가 쿼리와 그림으로 돼있어서 이해가 잘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