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basic
이 글은 자바의 정석 basic(기초편)이며 기본적인 부분이
부족할때 보면 좋은 글이다.
화면에 글자를 출력할 때는 System.out.print()를 사용한다
괄호()안에 출력하고자 하는 내용을 넣으면 된다.
public class Hello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System.out.println("Hello , world");
}
위처럼 System.out.println()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Hello,world를 출력할 수 있다.😊
🔎
근데 왜 ln를 쓰는걸까?
- 그 이유를 말하자면 System.out.print()은 괄호안을 출력하고 줄바꿈을 하지않는다.
- System.out.println()은 괄호안을 출력하고 줄바꿈까지 하는 역할을한다.
public class Hello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System.out.println("Hello , world"); // hello,world 출력 후 줄바꿈을 한다.
System.out.print("Hello"); //()을 출력하고 줄바꿈 안한다.
System.out.println("world"); //()를 출력하고 줄바꿈을 한다.
}
}
이런식으로 println()과 print()를 사용하여 출력하면된다.👍
사칙연산(+,-,*,/)를 이용하여 앞서 배운 것과 같이 괄호 안에 식을 넣어보자
public class Hello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ystem.out.println(5+3);
System.out.println(5-3);
System.out.println(5*3);
System.out.println(5/3);
}
}
위처럼 가벼운 사칙연산은 저런식으로 코드를 작성하여 출력이 가능하다
그리고 결과값 중에 '5/3'은 결과가 왜 1인지 의아할 것이다.
추후 다음에 자세히 설명할 것이니 지금은 정수/정수의 결과가
정수라는 정도만 알고가자!😁
갑자기 하는거지만 만약 Eclipse을 사용하고있다면 이런 가벼운 단축키는 외워보자!
1. ctrl+shift+L 단축키 전체 목록
2. ctrl+ +. -
3. ctrl+D 한 줄 삭제
4. ctrl+alt+down 행단위 복사
5. alt+shift+a 멀티컬럼 편집 (커서모양이 +로 변함)
6. alt+up, down 행단위 이동
7. ctrl+i 자동 들여쓰기
8. ctrl+/ 주석(토글) -> 한줄 주석
9. /* */ 여러줄 주석
10. ctrl+space 자동완성
더 자세한건 구글링을 해보자..!
변수: 하나의 값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공간
예: 변수타입 변수이름;
번수의 타입은 변수에 저장할 값이 어던 것이냐에 따라 다라지며,
변수의 이름은 저장공간이 서로 구별될 수 있어야하 하기 때문에 필요하다.
예를들어 정ㅇ수를 저장할 공간이 필요하다면 다음과 같이 변수를 선언한다.
int x; // 정수 (integer)를 저장하기 위한 변수 x를 선언
위에 문장이 수행되면 ,x라는 이름의 변수가 생긴다 그림으로 그리면 다음과 같다.
수학에서는 '='가 같음을 의미하지만, 자바에서는 오른쪽의 값을 왼쪽에
저장하라는 의미의 '대입 연산자'이다.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하자.
int x;
x = 5; // 이런식으로도 표현이 가능하나
int x = 5; 한줄로 간단히 표현이 가능하다.
public class variable{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int x = 5;
int y = 3;
System.out.println(x+y);
System.out.println(x-y);
System.out.println(x*y);
System.out.println(x/y);
}
}
이처럼 변수를 이용해 한결 편리하게 코드를 작성할 수 있다.
이것만으로도 변수가 왜 필요한지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변수를 선언할 때, 변수에 저장할 값의 종류에 따라 변수의 타입을 선택해야한다.
변수의 타입은 참조형과 8개의 기본형이 있는데. 일단 자주 쓰이는 타입만 소개한다.
1.숫자
1-1 int , long
1-2 float , double
2.문자
2-1 char , String
이 중에서도 아래 4개의 타입만 알아도 프로그래밍을 배우는데 큰 지장은 없다
int x = 100; // 정수(integer)를 변수의 타입은 int로 한디.
double pi = 3.14; // 실수를 저장할 변수의 타입은 double로한다
char ch = 'a'; // 문자(1개)를 저장할 변수의 타입은 char로 한다
String str = "abc"; // 여러 문자(0~n)를 저장할 변수의 타입은 String이다.
class Ex2_6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x = 100;
double pi = 3.14;
char ch = 'a';
String str = "abc";
System.out.println(x);
System.out.println(pi);
System.out.println(ch);
System.out.println(str);
}
}
이렇게 변수의 타입으로 다양한 값을 얻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