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자료: https://m.boostcourse.org/
https://leverageedu.com/blog/be-computer-science/
IT개발자를 희망하지만 기본적인 지식이 부족해 공부해
정리 할 필요성을 느꼈다. 기본을 탄탄하게 하고 언어를
더 열심히 공부해보자.


위와같이 101이라는 숫자가 있다고 보자 일반적으로 '백일'으로 읽을 것이다.
우리가 '백일'이라고 읽는 이유는 1을 백의자리 ,0을 십의자리 .1을 일의자리로 보기 때문이다.
이것을 표현하면 '1x100 + 0x10 + 1x1 = 101'이 된다.
이것을 쉽게 말하면 2진법에서 11은 2x1 + 1x1 = 3이된다
이와 같은 2진법은 전기를 통해 연산하는 , 즉 전기를 켜고 끄는 방식으로 작동하는 컴퓨터에게 적합한 방법이다.
하나의 비트는 0과 1 , 이 두가지의 값만 저장할 수 있습니다.
컴퓨터 내부에서 물리적 표현될 때는, 켜고 끌 수 있는 스위치라고 생각하면된다.( 켜짐 = 1, 꺼짐 = 0 )
하지만 비트 하나로는 수많은 데이터를 나타내기에 부족하기때문에
우리는 비트열을 사용한다. 그 모아진 비트들의 집합체를 우리는
비트의 개수마다 다르게 말한다.
다음과 같은 표를 보면 알 수 있다.

더 큰 데이터 단위는 좀 더 복잡한 유형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제를 보면, 1KB는 문자를 몇 문단의 문자를 나타낼 수 있고,
1MB는 1분 가량의 노래 파일의 크기와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