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런 김영한님의 스프링 강의를 듣고 정리한 내용입니다. 출처
스프링부트는 정적 컨텐츠 기능을 자동으로 제공해준다. (resources/static 폴더)
스프링은 요청이 들어오면 컨트롤러가 우선순위를 가지기때문에 관련 컨트롤러가 있는지 찾고 없다면 정적 컨텐츠를 찾는다.
resources/static/hello-static.html
<!DOCTYPE HTML>
<html>
<head>
<title>static content</title>
<meta http-equiv="Content-Type" content="text/html; charset=UTF-8" />
</head>
<body>
정적 컨텐츠 입니다.
</body>
</html>
이전에는 View와 Controller를 따로 분리하지 않고 View로 모든걸 하는 Model1 구조를 주로사용했고 현재는 MVC패턴을 주로 사용한다.
Controller
@Controller
public class HelloController {
@GetMapping("hello-mvc")
public String helloMvc(@RequestParam("name") String name, Model model) {
model.addAttribute("name", name);
return "hello-template";
}
}
View
<html xmlns:th="http://www.thymeleaf.org">
<body>
<p th:text="'hello ' + ${name}">hello! empty</p>
</body>
@ResponseBody 문자 반환
@Controller
public class HelloController {
@GetMapping("hello-string")
@ResponseBody
public String helloString(@RequestParam("name") String name) {
return "hello " + name;
}
}
@ResponseBody를 사용하면 ViewResolver를 사용하지 않고 HTTP의 Body에 문자 내용을 직접 반환함.
@ResponseBody 객체 반환
@GetMapping("hello-api")
@ResponseBody
public Hello helloApi(@RequestParam("name") String name) {
Hello hello = new Hello();
hello.setName(name);
return hello;
}
static class Hello{
private String name;
public String getName() {
return name;
}
public void setName(String name) {
this.name = name;
}
}
@ResponseBody를 사용하고 객체를 반환하면 객체가 JSON으로 변환됨.
@ResponseBody 사용원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