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emon, 멀티태스킹 운영 체제에서 데몬은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제어하지 않고, 백그라운드에서 돌면서 여러 작업을 하는 프로그램을 말한다.
즉 윈도우의 서비스 같은 개념이라 볼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프로세스의 형식으로 실행되며 데몬이라는 표시를 위해 뒤에는 d가 붙는다고 한다(syslogd, httpd 등). 서버 같은 경우에서는 네트워크 서비스를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데몬이라 칭한다고 하는 것을 미루어보아 서비스라는 표현은 적절한 것 같다. 출처
HTTP 데몬(Hypertext Transfer Protocol Daemon), 즉 httpd는 웹 서버의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어, 들어오는 서버 요청을 대기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다.
CentOS(linux)에서 yum 명령어를 통해 httpd를 설치하면 아파치 서버를 설치하게 된다.
HTTPd = 아파치 Daemon 프로그램라고 생각하면 될 것 같다.
> yum install -y httpd
> systemctl start httpd
> systemctl enable httpd
> systemctl status httpd
yum을 통해 httpd를 설치하고 systemctl로 http daemon을 실행시켜줘야한다. VM이 재부팅 되어도 실행된 상태로 두고 싶으면 enable 명령어를 추가로 사용한다.
위에서 systemctl start와 enable명령어를 한 줄로 표현하고 싶으면 아래 명령어를 쓴다.
systemctl enable --now httpd
이 명령어는 '지금 바로 실행시키고, 재부팅 시에도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한다'는 의미다.
추가로 Apache 웹 서버의 정적파일 경로는 /var/www/html이다.
linux에서 기본적으로 방화벽이 켜져있기 때문에 설치가 끝났으면 방화벽을 해제해줘야 한다.
[설정방법]
이제 포트포워딩을 설정하여 Host컴퓨터의 IP로 접속할 시 VM의 Apache서버에 연결되도록 만들어준다.
[설정방법]
포트포워딩까지 끝났으면 Host의 IP주소로 접속했을 시 브라우저에서 Apache서버의 default 화면이 나오게 된다.
[본인은 윈도우10이 Host컴퓨터이며, 아래 사진은 Window에서 크롬으로 접속한 화면이다.]
Host의 주소를 알아내는 방법은 cmd창에서 ipconfig로 알아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