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설정
![](https://velog.velcdn.com/images/gustjr123/post/ddf30f86-434f-4b5e-ab57-84e63f0187f7/image.PNG)
VirtualBox에서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방법은 왼쪽에 가상머신을 선택한 후에 위 그림과 같은 경로를 통해서 설정하게 된다.
이 중에 몇가지만 소개한다.
- NAT : NAT 방식, Network Address Transfer 방식으로 가상의 NAT이 존재하여 Vbox 자체에서 지원하는 기능.
- 어댑터에 브릿지 : Bridge 방식, 실제 Host의 네트워크에 직접 연결한 것처럼 사용.
- 호스트 전용 어댑터 : Host-Only 방식, Host와 연결하는 전용 네트워크. 인터넷에 연결 불가.
- NAT 네트워크 : 특정 네트워크의 NAT 방식, 특정 네트워크를 설정하고 해당 네트워크 상의 NAT로써 사용한다.
NAT 네트워크의 특정 네트워크 지정하는 것은 밑에 포트포워딩에서 소개한다.
Vbox 포트포워딩
![](https://velog.velcdn.com/images/gustjr123/post/fc90540f-dd74-47bb-b199-44f3c7d6f994/image.PNG)
위의 경로를 타서 포트포워딩을 하게 된다.
위에서 VBox 환경설정 > 네트워크 부분에서 NAT 네트워크를 추가한다.
- 이름 : 포트포워딩 설정 이름 (원하는 대로 작명)
- 프로토콜 : TCP, UDP 선택
- 호스트 IP : 실제 Host가 되는 컴퓨터의 IP, 실제 인터넷과 연결되는 컴퓨터의 ip주소
- 호스트 포트 : Host에서 접속했을때 어떤 포트를 VM으로 보내줄지 설정
- 게스트 IP : VM의 NAT주소
- 게스트 포트 : VM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의 포트번호
주의할 점
포트포워딩은 NAT방식으로 했을 때 의미가 있다. NAT이나 NAT network로 설정하여 진행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