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에서 WebRTC를 이용한 음성 통화방 기능을 담당하게 되었다. 이번 포스트는 WebRTC 개념, 그 구조에 대한 내용 위주로 다룬다. (P2P, SFU, MCU)
WebRTC 유튜브 예제를 따라하며 android studio 최신 버전(iguana)의 library 추가 방법에 대해 배웠다.
WebRTC p2p 방식 구현에 필요한 개념에 대해 정리했다. peer간 연결을 최적의 성능으로 하기 위해 ICE framework가 필요하다. 이때 NAT 연결을 위해 STUN 서버 및 TURN 서버가 사용된다.
SFU 서버(미디어 중계 서버)+Socket 서버와 통신하는 client application 코드를 작성 중이다. 이 글은 Socket과의 connect를 중점으로 다룬다. socket.io-client library java 버전을 사용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