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DD, JUnit

gyehwan·2023년 6월 19일
0

SpringBoot

목록 보기
2/3

이번에는 요즘 유행하는 TDD(테스트 주도 개발) 방법에 대해 소개하려고 한다. 실제로 TDD를 사용해서 개발해본 경험은 없기 때문에 이번 포스팅을 통해 TDD에 대해 간략히 알아보고 실제 개발에 적용해보고자 한다.

⛑ TDD란?

TDD란 Test Driven Development의 약자로 테스트 주도 개발이라고 한다.
반복 테스트를 이용한 소프트웨어 방법론으로, 작은 단위의 테스트 케이스를 작성하고 이를 통과하는 코드를 추가하는 단계를 반복하여 구현한다.
짧은 개발 주기의 반복에 의존하는 개발 프로세스이며 애자일 방법론과 잘 어울린다.

TDD에 대한 개발자들의 의견은 엇갈린다. TDD 의실효성을 업무로 경험한 사람들은 TDD를 더 효과적으로 실무에 적용하기 위해 고민한다.
반면, 회사마다 일하는 방식이나 처한 업무 환경에 편차가 있다보니 일각에서는 실무에서 TDD를 사용하는 건 사실상 현실과 괴리감이 크다는 의견도 있다.


일반적인 개발 vs TDD 개발

일반적인 개발

요구사항 분석 -> 설계 -> 개발 -> 테스트 -> 배포 형태의 개발 주기를 갖는데, 이러한 방식은 소프트웨어 개발을 느리게 하는 잠재적 위험이 존재한다.
1. 고객의 요구사항이 처음부터 명확하지 않을 수 있다. -> 완벽한 설계는 어렵다.
2. 자체 버그 검출 능력 저하 또는 소스코드의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3. 자체 테스트 비용이 증가할 수 있다.

TDD 개발

테스트 코드를 작성한 뒤에 실제 코드 작성
1.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는 도중에 발생하는 예외 사항들은 테스트 케이스에 추가하고 설계를 개선한다.
2. 테스트가 통과된 코드만을 코드 개발 단계에서 실제 코드로 작성한다.


TDD의 장단점

장점

  1. 디버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데이터가 잘못 나온다면 DB의 문제인지, 비즈니스 로직의 문제인지, UI의 문제인지 모두 디버깅 해야하지만, TDD의 경우 자동회 된 유닛테스팅을 전재하므로 특정 버그를 손 쉽게 찾아낼 수 있다.
  2. 작성한 코드가 가지는 불안정성을 개선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3. 재설계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4. 추가 구현이 용이하다.

단점

  1. 생산성의 저하
    처음부터 2개의 코드를 짜야하고, 중간중간 테스트를 하면서 고쳐나가야 하기 때문에 TDD 방식의 개발 시간은 일반적인 개발 방식에 비해 10~30% 정도 늘어난다.
  2. 개발 방식 변경의 어려움
  3. 구조에 얽매인다.

⛑ JUnit - Java 단위 테스트 코드 작성

필요한 라이브러리

  • JUnit5: 자바 단위 테스트를 위한 테스팅 프레임워크
  • AssertJ: 자바 테스트를 돕기 위해 다양한 문법을 지원하는 라이브러리

JUnit만으로도 단위 테스트를 충분히 작성할 수 있지만 AssertJ를 사용하면 가독성이 좋아진다. 따라서 JUnit5와 AssertJ 조합이 많이 사용된다.

// JUnit
assertEquals(expected, actual); 
//AssertJ
assertThat(actual).isEqualTo(expected);

AssertJ를 활용한 밑의 코드가 더 가독성이 좋은 것을 알 수 있다.

given/when/then 패턴

요즘 단위 테스트는 given/when/then 패턴으로 작성하는 추세이다.
1개의 단위 테스트를 다음과 같이 3가지 단계로 나눈다.

  • given(준비): 어떤 데이터가 준비되었을 때
  • when(실행): 어떤 함수를 실행하면
  • then(검증): 어떤 결과가 나와야한다.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