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리눅스 역사
- 디렉토리 생성, 이동, 복사, 삭제
- vim 편집기
- Git & Github
커널은 HW와 응용프로그램을 연결해주고, 사용자는 shell을 통해 커널을 제어한다. 즉,
Applications
|
OS(Kernal) <-- Shell <-- User
|
Hardware
흐름을 가진다.
터미널에서 커서 앞 특수문자($)는 사용자의 명령을 받을 준비가 되었다는 의미이다.
운영체제가 접근할 수 있는 최상위 폴더는 ' / '
' / ' 아래에는 수많은 시스템 파일들이 존재한다.
/home에 들어가면 로그인 가능한 user를 확인할 수 있다.
명령어에 옵션을 넣을 때는 ' - ' (플래그)로 표기한다.
Git은 VCS(Version Control System)이며, SCM(Source Code Management)이기도 하다.
이는 더 큰 개념의 SCM(Software Configuration Management)에 포함된다.
Git은 툴이고 Github은 웹서비스이다!!
주요 특징은,
Blob
파일 하나의 내용에 대한 정보(파일에 대한 수정사항).
Tree
Blob이나 subtree의 메타데이터(디렉토리 위치, 속성, 이름 등).
Commit
커밋 순간의 스냅샷 (Blob+Tree).
/* bash */
ls //list segment
cd //change directory
mkdir //make directory
pwd //print working directory
touch //파일 생성
mv //이동
cp //복사
rm //삭제
cat //내용 보기
/* vim */
//visual mode(v), normal mode(esc), insert mode(i)
//해당 단축키로 각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wq! //write, quit, overide
hjkl //arrow keys
o,O //open line
d //delete
y //yank(copy)
p //paste
a,A //append, append at the end of the line
u //undo
/* Git 전역 설정 */
//수정이 필요한 경우 vi ~/.gitconfig 에서 수정
git config --list
git config --global user.name "myname"
git config --global user.email "myemail@email.com"
git config --global core.editor "vim"
git config --global core.pager "cat"
git config --global --unset user.name //설정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