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면서 mock 함수에 대해 알게 되었는데, 뭐가 다른건지 왜 사용하는지 어떻게 사용하는 건지 헷갈리고 알기 어려워서, 하나하나 사용법을 정리해보았다. Mocking 단위 테스트를 작성할 때 해당 코드가 의존하는 부분을 가짜로 대체하는 기법. 일반적으로 테스트하려는 코드가 의존하는 부분을 직접 생성하기 부담스러울 경우 많이 사용한다. 실제 객체를 사용하는 것보다 훨씬 가볍고 빠르게 실행되면서도, 항상 동일한 결과를 내는 테스트를 작성할 수 있다. jest.fn() Jest에서는 가짜함수 즉 Mock function을 생성할 수 있도록 jest.fn()메서드를 제공한다. 이 함수는 일반 자바스크립트 함수와 동일하게 인자를 전달해 호출할 수 있다. 함께 사용할 수 있는 메서드들도 보자. mockReturnValue mock 함수가 어떤 값을 리턴해야 할지 설정해줄 수 있다. mockResolvedValue `mo
Unit Test를 진행하던 중 오류가 발생했다. 이 상태로 테스트를 진행했더니, serializes to the same string이라는 에러가 떴다. 무슨 말일까? Jest 공식 깃허브의 issue 탭을 확인해보았다. 그 중 한 답변을 참고했다. >toBe does physical comparison (referential identity, ie. that they are the same, not just look the same) on com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