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격 = float(input('가격?'))
부가세율 =0.1
부가세 = 가격* 부가세율
print(부가세)
Python은 직접제어, 나머지(Html, css, JavaScript)는 웹브라우저 제어
파이썬은 인터프린터의 터미널에서 명령어를 이용해 컴퓨터를 제어하며 따라서 명령 시스템이 많이 있다.
conditional
조건에 따라 다른 코드가 실행되도록 하는 제어문
if True:
print(a)
print(b)
True or False의 첫머리는 대문자를 사용해야 하며
if False:
print(a)
print(b)
else:
print(c)
print(d)
if, else 뒤에는 :가 붙는다. (else는 조건이 참이 아닐 때 샐행될 코드를 정의)또한 들여쓰기Tab을 넣으면 If의 일원이 되는 것이며 넣지 안으면 if절에서 제외된 것
이를 지난시간에 한 input과 결합시키면 아래와 같다.
input_id = input('ID를 입력하세요')
if input_id=='guya' :
print('hi!')
else:
print('wru?')
기본형식 : 조건을 만족하는 동안 반복하는 코드
members = ['ego', 'ruru']
for member in members:
print('member', member)
다차원의 리스트에 대한 반복문은
members2 = [
['ego', 'daegu', 'programmer'],
['ruru', 'busan', 'designer']
]
print(members2[0] [0])
for member in members2:
print(member[0], member[1])
딕셔너리 데이터타입 : list data type은 순서대로 데이터를 정리 할 때 사용, dictionary data type은 데이터에 이름을 붙여서 정리하고 싶을 때 사용.
같은 성격의 순서유무에 상관없을 때 사용이 가능하며 리스트데이서 형식은 데이터의 성격이 다르면 사용이 불가능.
ego = ['ego', 'busan', 'grogrammer']
ego = {'name':'ego', 'city':'busan', 'job':'programmer'}
print(ego['city'])
for name in ego:
print(name)
서로 연관된 코드를 모아서 이름을 붙인 것
def sum(left, right):
return left+right
print(sum(10,20))
30
def : define function
return : 함수 연산의 결과 값을 표현하는 방법
리턴 구문의 값이 함수의 값
리턴이 실행되면 함수는 종료
javascript를 할 때와 동일하게 loop에서 이해가 잘 안되었다. 또한 javascript와 달리 python에서는 for( ; ; )가 아니라 for in을 사용해야 되고 이 for in안에 어떤 순서로 값을 대입해야 할지 감이 잘 잡히지 않았다. 계속해서 수업은 자바스크립트와 비교하며 진행되고 그러면서 차이점을 더 명확하게 알게 되지만 더 혼란스러운 점도 있었다.
for in에 대해 수업이후 추가적으로 찾아보았다. 이 구문은
for 변수 in 리스트(또는 튜플, 문자열):
수행할 문장1
수행할 문장2
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용할 변수를 앞에 리스트를 뒤에라는 순서를 명확히 기억해야 겠다고 생각했다.
javascript와 헷갈리는 부분에서는 먼저 배운 자바스크립트를 정리한 후 python을 정리하는 방식을 사용해 보려고 한다. 명확히 무엇인지 정리되지 않은 상황이라 깔끔한 정리가 필요해 보인다.
오늘도 숨가쁘게 달렸다.
배워가는 것은 늘어나고 그러면서 앞서 배운 html, css가 가물가물해질 것 같다. 파이썬을 배우면 배울수록 javascript보다 편리하다는 생각이 많이 든다. 필수적인 틀이 필요하지 않으며 ;과 같은 것들이 불필요 하다는 점에서 깔끔하다는 느낌을 받았다.
사용하는 방식이 유사하면서 다른 이 프로그램들이 아직 익숙하지 않지만 점점 흥미가 생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