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열은 값(element)가 연속되어 저장되어 있느 것이다.
여러가지 값들을 하나에 묶는다는 점은 배열과 유사하다고 할 수 있으나
배열을 index라는 것으로 객체는 속성이름으로 값들을 저장한다는 점이 다르다!!!
var arr = [];
var arr2 = [1,2,3,4,5];//배열은 대괄호로 묶어 선언할 수 있다!!!
var mixed_arr = [1, true, 3.14, "string", {name: "object"}, [1,2,3]];
// 서로 다른 자료형도 연속으로 저장할 수 있다!!!
mixed_arr.length == 6 // true 배열의 길이도 접근이 가능하다!!!
arr2[1] // 배열에 원하는 값에 접근시 값에 해당하는 인덱스로 접근이 가능하다!!!
arr2[7] // 잘못된 접근은 undefined 출력!!!
길이가 5인 배열 arr을 만들고 원하는 값으로 초기화 해 보세요.
강의에서 배운 배열의 선언법을 이용해서 해당하는 값들을 arr에 저장한다!!!
var arr = [1,2,3,4,5];
console.log(arr);
함수 solution을 수정해서 인자로 받는 배열 arr의 첫번째 엘리먼트를 return하도록 만들어 보세요.
강의에서 배운 배열의 접근법을 이용해서 해당하는 값들을 함수로 반환한다!!!
function solution(arr){
return arr[0]
}
var result = solution([1,2,3,4,5])
console.log(result)
var arr =[1,2,3,4,5]
arr.pop();//마지막 값인 5가 반환되고 제거됨!!!
arr.shift(); //처음 값인 1이 반횐되고 제거됨!!
arr.push(6); //arr 마지막위치에 6이라는 값이 들어가고 배열의 길이인 4가 봔환됨!!
arr.unshift(0); // arr 처음위치에 6이라는 값이 들어가고 배열의 길이인 5가 봔환됨!!
arr.reverse(); //뒤집어진 arr가 반환됨!!
arr.sort(); //arr안의 값들을 오름차순으로 정렬함!!
var arr2=[4,5,6];
var arr1=[1,2,3];
arr1.concat(arr2); // [1,2,3,4,5,6] concat명령어도 사용가능하다!!!
var str="1,2,3,4,5";
str.split(",");
console.log(str) // ["1", "2", "3", "4", "5"] 배열의 str값들이 순서대로 들어간다!!
배열 arr의 앞에 "begin", 뒤에 "end" 문자열을 엘리먼트로 추가하세요.
강의에서 배운 배열의 키워드 명령어를 이용해서 해당하는 값들을 arr로 저장한다!!!
var arr=[1,2,3];
//arr의 앞에 "begin", 뒤에 "end"를 엘리먼트로 추가하세요.
//push, unshift를 이용하세요.
arr.unshift("begin")
arr.push("end")
console.log(arr);
: 주석은 프로그램의 동작과는 관련이 없는 코드이지만 편의와 가독성을 위해 사용한다!!
여러줄은
/*
이안에
여러줄의 주석을
작성하면 된다!!!
*/
한줄은
// 이 뒤에 주석을 작성해주면 된다!!!
다음 코드의 첫번째 줄을 주석으로 처리해서 코드가 정상적으로 실행되도록 만들어 보세요.
강의에서 배운 주석 사용방법 이용해서 해당하는 값들을 주석처리한다!!!
// Hello World를 출력하는 코드입니다.
console.log("Hello World");
if문의 format은 아래와 같고!!
if (boolean type 조건){
//조건이 참일때만
//코드 실행
if문은 특정조건일때만 작동하는 코드가 필요할 때 사용할 수 있다!!
if(true){
console.log("이 구문은 실행됩니다.");
}
if(false){
console.log("이 구문은 실행되지 않습니다");
}
if구문과 같이 사용하며 if문이 작동안했을 때 작동하는 코드이다!!
예시)
if(True){
console.log("1");
}
else{
console.log("2");
}
if(true){
console.log("1");
}
else if(true){
console.log("2");
}else if(true){
console.log("2");
}
else{
console.log("4");
}
//위에서 부터 참이 아니라면 밑에 구문들을 하나하나 검사후 참이라면 구문 안에 있는 코드가 작동한다!!
if문에 따라오는 괄호에는 true/false라는 값을 직접 넣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대신 관계연산자를 많이 사용하는데요.
다음 예는 age의 값을 판정해서 20세 미만인지를 확인하고 있습니다.
조건식을 확인하고 [실행]을 눌러서 결과를 확인해 보세요.
if문 안에는 특정한 조건이 참인지 거짓인지에 따라서 중괄호 안에 있는 코드가 작동되고 if문이
참이 아니라면 else문이 작동한다!!!
var age = 25;
if(age < 20){
console.log("20세 미만입니다.");
}
else{
console.log("20세 이상입니다.");
}
두 개의 조건을 합치고 싶을 때는 논리연산자를 이용합니다. 코드의 solution이라는 함수는 age가 20대인지를 확인하는 함수인데요. age가 20대라면 true를 그렇지 않으면 false를 return합니다. 코드 3번째 줄에서 20대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20세 이상이면서 30세 미만인지를 체크하려고 합니다. 빈칸에 알맞는 논리연산자를 적어 보세요.
if문이 문제에서 주어진 조건에만 작동하기 위해 논리연산자 '&&'를 추가 해준다!!!!!!
function solution(age){
//age가 20이상, 30미만이면 20대
if(20 <= age &&age < 30){
return true;
}
인자 year가 윤년인지 아닌지를 true, false로 반환하는 solution함수를 완성하세요.
(편의상, 4의 배수인 해는 모두 윤년으로 생각하세요.)
if문이 문제에서 주어진 조건에만 작동하기 위해 if문을 작성 해준다!!!!!!
function solution( year ){
//if 문을 추가하세요
if (year % 4 == 0){
return true;
}
//else 문을 추가하세요
else{
return false;
}
}
console.log("Menu");
console.log("1. Ice Americano");
console.log("2. Cafe Latte");
console.log("3. Cappuccino");
console.log("4. Tea");
var choice = parseInt(prompt("메뉴를 선택해 주세요"));
console.log(choice + "번 메뉴 선택하셨습니다.");
if (choice == 1){
console.log("아이스 아메리카노는 1500원 입니다.");
}
else if(choice == 2){
console.log("카페 라떼는 1800원 입니다.");
}
else if(choice == 3){
console.log("카푸치노는 2000원 입니다.");
}
else if(choce == 4){
console.log("홍차는 1300원 입니다.");
}
else{
console.log("죄송합니다. 그런메뉴는 없습니다.");
}
// if else문으로 매번 swithc의 값을 확인하게 된다 하지만 이때!!!
// switch문을 사용하면 효율적으로 코드를 짤 수 있다!!
console.log("Menu");
console.log("1. Ice Americano");
console.log("2. Cafe Latte");
console.log("3. Cappuccino");
console.log("4. Tea");
var choice = parseInt(prompt("메뉴를 선택해 주세요"));
console.log(choice + "번 메뉴 선택하셨습니다.");
switch(choice){
case 1:
console.log("아이스 아메리카노는 1500원 입니다.");
break;
case 2:
console.log("카페 라떼는 1800원 입니다.");
break;
case 3:
console.log("카푸치노는 2000원 입니다.");
break;
case 4:
console.log("홍차는 1300원 입니다.");
break;
default: //else 구문과 유사
console.log("죄송합니다. 그런 메뉴는 없습니다.");
break;
이 때 break를 명시하지 않게 되면 밑에 case들의 코드들도 작동하게된다!!!
각 달을 month라는 인자로 받아 그 달이 몇일까지 있는 반환하는 함수 solution함수를 완성하세요.
(2월은 28일까지 있다고 가정하세요.)
문제의 조건에 맞게 switch문을 작성한다
function solution( month ){
// 여기에 switch를 이용해 각 달의 날짜수를 반환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세요.
switch (month){
case 1:
return 31
case 2:
return 28
case 3:
return 31
case 4:
return 30
case 5:
return 31
case 6:
return 30
case 7:
return 31
case 8:
return 31
case 9:
return 30
case 10:
return 31
case 11:
return 30
case 12:
return 3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