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컴퓨팅 개요와 IAM

Gyuri hwang·2024년 4월 8일
0

클라우드 컴퓨팅

  • ‘공유 컴퓨팅’ 클라우드 → 공유 자원처럼 사용
  • AWS → 컴퓨터 환경을 제공해주는 사업자

AWS IAM

= Identity and Access

AWS 리소스를 안전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AWS 계정과 리소스 권한을 관리하는 서비스

*리소스: 사용할 수 있는 엔터티

→ 계정 체계와 리소스 권한을 부여하는 서비스

  • user = 사람 한 명에게 주는 단위
  • group = 여러 명의 user를 포함 (여러 명의 유저에 같은 권한 주고 싶으면 그룹으로 묶어 그룹에 권한을 주면 됨)
  • Root user vs IAM user Root user는 AWS에 가입하는 것으로 생성 / IAM user는 업무 시 사용자 1명 당 부여하는 개념 → Root user는 보안 취약 / IAM user 사용을 권장함
  • IAM Role = 다양한 엔터티에 부여할 수 있는 / 자원에 어떤 엑세스를 할 수 있는지 정의하는 개념 ex) 컴퓨팅 서비스가 데이터베이스 서비스에 접근하고자 함 -> 데이터베이스 읽기/쓰기 권한 필요함 → 이때 Role을 만들어 부여한다
  • IAM Role vs User
    • 권한 얻고자 하는 주체가 실제 사람 → 임시 권한이면 Role, 아니면 User / physical person이 아니면 바로 role 부여하게 되어 있음

참고) https://docs.aws.amazon.com/ko_kr/IAM/latest/UserGuide/introduction.html#intro-features

IAM POLICY

  • Json 문서로 정의 (*Json: 사람이 읽을 수 있는 텍스트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고 전송하는 데이터 공유를 위한 개방형 표준 파일 형식)
  • deny가 allow보다 항상 우선함
  • 허용 여부 결정 우선순위 → 아무런 정책이 없으면 무조건 deny
  • IAM 엔티티에 권한을 부여한다는 것은? policy를 attach, 즉 붙이는 것 -> 유저, 그룹, 롤에 정책을 붙였다 떼었다 할 수 있음
  • AWS managed policies(AWS 관리형 정책) -> 많이 쓰이는 권한 AWS가 정의해놓은 것 -> 빠르고 편하게 권한 부여 가능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