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ck DBD 리뷰

Gyus·2021년 10월 15일
0
  1. ERD (Entity Relationship Diagram)
    개발자들은 다른 사람들과 협업하려면 머리 속에 있는 시스템을 눈으로 이해할 수 있는 자료가 있어야한다.
    ERD란 말 그대로 데이터(Entity)들의 관계(Relationship)를 그림으로 표현한 것이다.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한 눈에 알아보기 위해 그려놓는 다이어그램이라고 보면 된다. ER Diagram이라고도 부른다.

각 도형의 의미를 먼저 알아보면 이러하다.

ERD의 활용
데이터 베이스 모델링
관계형 DB에서 주로 사용된다. 엔티티와 속성들을 테이블과 컬럼들로 변환할 수 있다. 테이블과 관계들을 시각화할 수 있기 때문에 설계 문제점을 파악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소프트웨어 계획 단계에서 사용된다. 서로 다른 시스템 요소와 서로 간의 관계를 식별하는데 도움이 된다. data flow diagram의 기초로써도 사용된다.

ERD 기호들과 표기법
entity
어떤 시스템인지에 따라 사람, 장소, 사건(이벤트), 오브젝트가 될 수 있다.

Weak Entity
존재하는 다른 엔티티에 의존적인 엔티티를 weak entity라 한다. 그 자시의 속성들에 의해 식별할 수 없는 엔티티이다.

Attribute
attribute는 특성, 엔티티의 성격, 관계, 또다른 속성이다.

Mulivalued Attribute
한 값 이상의 값을 가진 attribute이다.

Derived Attribute
다른 속성에 기초한 속성이다.

Relationship
관계는 엔티티 간의 상호작용을 표현한다.

Cadinality and Ordinality
엔티티들 간의 관계에 대한 추가 정보이다. one to many, many to many 관계를 나타낼 수 있다.

ERD 작성법
모든 엔티티들을 정의한다.
엔티티 간의 관계들을 정의한다.
속성들을 추가한다.
2. Quick DBD 사용방법
3. Quick DBD 1년 free 권한받기
Quick DBD pricing 페이지에 Pro 버전을 무료로 이용하는 방법이 자세히 쓰여 있어서 참고한다.
1. Quick DBD를 사용해 본 후, 블로그에 리뷰를 작성한다.
리뷰는 최소 500 단어 이상!
2. promo@quickdbd.com 으로 free 권한을 원한다는 메일을 보낸다.
리뷰 작성한 블로그 링크와 함께!
3. 확인 메일을 받으면 해당 이메일로 QuickDBD에 로그인하여 등록한 후확인 email을 받는다.
4. Account 버튼을 누른 후 pro plan : Yes 로 표시되면 승인 완료된 상태이다.

  1. Quick DBD 사용후기
    Quick DBD 1년 free 권한을 받기 위해 우선 무료 체험을 해보았다. 제일 처음 이용할 때 사용법을 간단히 소개해준다. 하지만 사용법을 알지 못해도 알아보기 쉬운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우선 소개를 하자면, QuickDBD는 매우 유익한 다이어그램 기능을 제공하는 무료 온라인 브라우저 기반 다이어그램 작성 도구이다. 사용자는 이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작업 및 데이터를 쉽고 적절하게 가져오고 내보낼 수 있다.
QuickDBD 다이어그램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면 스키마만 입력하여 데이터베이스 다이어그램을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 드래그 앤 드롭 기능은 경험이 부족한 사용자도 쉽게 도표를 작성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 소프트웨어는 실시간으로 여러 사람이 단일 다이어그램 또는 흐름도를 온라인으로 동시에 편집할 수 있는 다중 사용자 협업을 지원하기도 한다.
또한, 템플릿을 사용하여 도표를 작성할 때 편리하다. QuickDBD을 통해 조직 차트 작성, 마인드 맵 및 흐름도를 이용할 수 있다.

Modify this code to update the DB schema diagram.

To reset the sample schema, replace everything with

two dots ('..' - without quotes).

Customer

CustomerID PK int
Name string INDEX
Address1 string
Address2 NULL string
Address3 NULL string

Order

OrderID PK int
CustomerID int FK >- Customer.CustomerID
TotalAmount money
OrderStatusID int FK >- os.OrderStatusID

OrderLine as ol

OrderLineID PK int
OrderID int FK >- Order.OrderID
ProductID int FK >- p.ProductID
Quantity int

Table documentation comment 1 (try the PDF/RTF export)

Product as p # Table documentation comment 2

ProductID PK int

Field documentation comment 1

Field documentation comment 2

Name varchar(200) UNIQUE # Field documentation comment 3
Price money

OrderStatus as os

OrderStatusID PK int
Name UNIQUE string
제일 처음 사용할 때 이렇듯 예시를 볼 수 있다.

예시로 나와 있는 것에서 수정을 조금 해보자. 수정을 하려면 아래쪽 캡쳐에 표시한 영역인 좌측의 부분을 수정하면 된다. 만일 처음부터 ERD를 작성하고자 한다면 전부 지우고 작성하면 된다.

왼쪽 테이블에 정의한 테이블이 오른쪽에 시각화 되어서 데이터의 구조를 바로 확인할 수 있다. 데이터를 시각할 뿐만 아니라 표의 위치도 자율적으로 변경할 수 있어서 의도하지 않은 구조가 되었을 때 쉽게 수정 가능하다. 또한, 위에서 보다시피 private한 정보를 PK(private key) 로 간편하게 설정할 수 있는 점이 좋은 것 같다. 아직 데이터 베이스를 설계하고 서버를 구축한 프로젝트를 해본 적이 없지만, 무료 체험을 해보면서 QuickDBD를 활용해서 ERD를 만들 때 매우 큰 도움이 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생겼다.
작성한 ERD에 대해 SQL 파일로 추출하고 싶다면, EXPORT 탭에서 원하는 DB(ANSI SQL, MySQL/MariaDB, Oracle, PostgreSQL, SQL Server)에 맞춰 추출이 가능하다. 물론, SQL 파일 뿐만 아니라 PDF Documentation, RTF (Word) Documentation 같은 문서로도 내보내기가 가능하며, PNG Image, SVG File 같은 이미지로도 내보내기가 가능하다.
로그인이 되어 있는 상태에선 링크를 외부로 공유까지 가능하다.
File -> Private 버튼을 누르면 가능하다.

profile
푸로구래머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