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ginx

김효준·2023년 12월 17일
0
post-thumbnail
#가상화된 서버의 8021포트와 가상화 컨테이너의 80포트를 연결설정해서 nginx실행
## 도커 게스트(컨테이너) 1 실행, 외부(도커 호스트) 8021 포트를 내부 80 포트로 연결된 상태로 실행
docker run -p 8021:80 -d nginx
## 도커 게스트(컨테이너) 2 실행, 외부(도커 호스트) 8022 포트를 내부 80 포트로 연결된 상태로 실행
docker run -p 8022:80 -d nginx

#root는 도커를 돌리는 도커 host다 

#도커 호스트의 80포트로 가는거(본인 요청)
curl localhost
#도커 게스트 1의 80포트로 가는거
## 도커 호스트의 8021 포트로 요청을 하지만 그것이 도커 컨테이너 1의 80 포트로 연결되어 있고, 그것이 내부의 nginx 에게 연결되어 있어서, 응답을 받을 수 있다.
curl localhost:8021
#도커 게스트 2의 80포트로 가는거
curl localhost:8022

#이렇게 포트포워딩을 안하면 안쪽에 한번에 들어갈수있는 방법은 없다.

ls -al # 도커 호스트에서 실행됨
docker exec -it confident_bouman ls -al # 도커 게스트(confident_bouman 컨테이너)에서 실행됨
docker exec -it confident_bouman
 bash # 도커 게스트로 bash 접속
exit # 도커 게스트에서 빠져나감, 다시 도커 호스트로 이동

만약에 docker exec -it confident_bouman bash 가 안되면
bash 대신에
/bin/bash
sh
/bin/sh
등을 시도

잘되는것을 볼수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