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2-22 (2일차)
01 : 하나의 패키지-하나의 클래스 리턴X 입력X 메서드선언 및 호출
02 : 하나의 패키지-하나의 클래스 리턴X 입력O 메서드선언 및 호출
객체(object)를 이루는 것은 데이터와 기능이다.
객체 생성에 앞서 객체생성을 위한 틀을 만들어야 한다.
클래스
객체 생성을 위한 틀
패키지
비슷한 성격의 자바클래스들을 모아놓은 디렉토리(폴더)
메서드
클래스 내 함수를 말함
- 매개변수 - 메소드에 입력으로 전달된 값을 받는 변수
- 인수 - 메소드를 호출할 때 전달하는 입력값
메서드의 입력값과 리턴값
입력값 -> 메소드 -> 리턴값
메서드의 구조
메소드는 입출력 유무에 따라 4가지로 분류한다.
- 입력과 출력(리턴)이 모두 있는 메소드
- 입력과 출력(리턴)이 모두 없는 메소드
- 입력은 없고 출력(리턴)은 있는 메소드
- 입력은 있고 출력(리턴)은 없는 메소드
public 접근제어자 : 외부에서 접근할 수 있음
private > default > protected > public
전체접근 가능 > 같은패키지 > 없는상태 > 같은 클래스
static 정적 함수
void 리턴 값 X
String 문자열
src -> new -> pakage
패키지 이름을 적을 때 . 으로 폴더가 나눠진다.
메인메서드를 체크 하고 생성한다.
Build 파일을 확인해서 파일이 대치가되었는지 확인한다.
📌작성 순서 : 메서드 선언 후 메서드 호출
📌실행 순서 : 메서드 호출 하면 선언된 메서드가 실행된다.
+ 메서드 하나 선언하고 여러개 호출하기
👉다음 블록에 다른 메서드를 선언해서 여러개 호출할 수도 있다.
package hong.hwi.yeon;
public class AA01 { //하나의 패키지 하나의 클래스 리턴없고 입력없는 메서드 선언 및 호출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TODO Auto-generated method stub
a();
a();
b();
}
public static void a() {
System.out.println("a 메서드 실행");
}
public static void b() {
System.out.println("b");
}
}
실행 결과값!
여기까지는 리턴없고, 입력이 없는 메서드선언 및 호출이었다.
이제 리턴없고, 입력은 있는 메서드 선언 및 호출을 해보자!
a 라는 메소드에
(String 이라는 '문자열' 데이터타입에 name 매개변수)
01. 데이터타입을 다르게 하고 하나씩 호출하기
package hong.hwi.yeon;
public class AA123test1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a("홍휘연");
b('여');
c(26);
}
public static void a(String name) {
System.out.println("01 홍휘연 이름 메소드실행");
System.out.println(name + "<-이름");
}
public static void b(char gender) {
System.out.println("01 홍휘연 성별 메소드실행");
System.out.println(gender + "<-성별");
}
public static void c(int age) {
System.out.println("01 홍휘연 나이 메소드실행");
System.out.println(age + "<--나이");
}
}
쓰인 데이터 타입종류 + 매개변수
02. 메소드명을 다르게 하고 같이 호출하기
package hong.hwi.yeon;
public class AA123test2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TODO Auto-generated method stub
insert("홍휘연", '여', 26);
}
public static void insert(String name, char gender, int age) {
System.out.println(name + "<--name");
System.out.println(gender + "<--gender");
System.out.println(age + "<--age");
}
}
메서드명 : insert
return data type : void = 리턴 없다!
03. primitive(기본형) data type 호출하기
package hong.hwi.yeon;
public class Primitive {
// 자바 데이터타입에는 Primitive Type (기본형)과
// reference Type (참조형) 이 있다.
// 기본형은 반드시 사용 전 미리 선언되어야 한다.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Primitive data type 선언 및 호출
a((byte) 100);
z((byte) 1, (short) 2, 123, 1234, 3.14f, 4.3, '김', "홍길동", false);
}
public static void a(byte aa) {
System.out.println(aa);
}
// primitive 8개와 String 1개 입력받는 메소드 선언
public static void z(byte aa, short bb, int cc, long dd, float ee, double ff, char gg, String hh, boolean ii) {
System.out.println(aa);
System.out.println(bb);
System.out.println(cc);
System.out.println(dd);
System.out.println(ee);
System.out.println(ff);
System.out.println(gg);
System.out.println(hh);
System.out.println(ii);
}
}
04. total. 여러개 호출하기
package hong.hwi.yeon;
public class Study0226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02-26-4조스터디-예제연습
a("홍휘연", 26, '여', 8.30);
b();
c();
d();
}
public static void a(String name, int age, char gender, double date) {
System.out.println("이름 : " + name + " 입니다.");
System.out.println("나이 : " + age + "살 입니다.");
System.out.println("성별 : " + gender + " 입니다.");
System.out.println("생일 : " + date + " 입니다.");
}
public static void b() {
System.out.println("이름은 홍휘연, 성별은 여자입니다.");
}
public static void c() {
System.out.println("이름은 홍휘연,\r" + "사는 곳은 효자동입니다.");
}
public static void d() {
System.out.println("이름은 홍휘연이고\r" + "개발공부를 시작했으며,\r" + "학원을 다니고있습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