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
주기억장치 :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장치
주요 역할
- 데이터 저장 : CPU가 실행할 명령어와 처리할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함
- 빠른 접근 시도 : 저장된 데이터에 빠르게 접근 가능
- 휘발성 : 전원이 꺼지면 주기억장치에 저장된 데이터는 사라짐
- 용량 : CPU캐시보다 용량은 크지만 보지기억장치보자 용량이 적음
- 속도 : 보조기억장치보다 속도는 빠르지만 CPU캐시보단 느림
구성 요소
- RAM : 휘발성 메모리이며, 데이터 읽기 쓰기 모두 가능
DRAM SRAM 차이점 - 데이터 저장 방식의 차이
- DRAM : 용량이 크고 가격이 저렴하다.
ㄴ 캐패시터에 전하 충전하는 방식으로 데이터 저장(시간이 지나면 방전되기때문에 주기적으로 리프레쉬해줘야됨)

- SRAM : 리프레쉬 필요없고, DRAM보다 빠르지만 더 비싸고 용량이 작음
ㄴ 플립플롭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기 때문이다.(2개의 안정상태를 가지기에 전원공급만 하면됨)

SRAM DRAM 비교

- ROM : 읽기 전용 메모리, 데이터를 저장한 후 일반적인 사용 중에는 수정할 수 없는 비휘발성 메모리임 (용도 : 펌웨어 , 시스템부팅같이 고정된데이터에 사용)
- 비휘발성
- 읽기 전용 : 일반적으로 수정 불가, 초기제작단계에서만 데이터를 기록
- 속도 : 데이터를 읽는 속도가 빠르며, 주로 시스템 초기화나 부팅 시 중요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데 사용
- 기본구조 : ROM은 AND게이트와 OR게이트로 구성된 조합논리회로
- ***퓨즈를 통해 연결된 입력은 프로램으로 절단 가능


ROM의 종류

플래시 메모리
- 플래시 메모리 : 비휘발성 메모리의 한 종류로, 데이터를 전기적으로 읽고 쓰거나 삭제할 수 있는 반도체 기반 저장 장치
특징
-
비휘발성
-
전기적 데이터 삭제 및 기록 가능: 데이터를 전기적으로 지우고 재작성할 수 있어 편리함
-
높은 저장 밀도와 낮은 비용: 한 번에 많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고, 소형화 및 대량 생산에 유리합니다.
-
속도: 읽기와 쓰기 속도가 빠르며, 특히 읽기 속도가 매우 우수합니다.
-
제한된 쓰기 횟수: 셀당 쓰기/삭제 횟수는 제한적(수천~수백만 번)이며, 사용량이 많으면 수명이 줄어듬
-
NAND 플래시 : 대용량화에유리,쓰기및지우기속도가빠름
-
NOR플래시 : 읽기속도가빠른장점
종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