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에서 의존성이란?
의존성은 new입니다.
new를 실행하는 Car와 Tire 사이에서 Car가 Tire에 의존합니다.
결론적으로 전체가 부분에 의존한다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전체가 부분에 의존한다는 것과 '프로그래밍에서 의존 관계는 new로 표현된다!'를 기억하시면 됩니다.
더 깊이 들어가면 의존하는 객체(전체)와 의존되는 객체(부분) 사이에
집합 관계(Aggregation) 와 구성 관계(Composition) 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집합 관계: 부분이 전체와 다른 생명 주기를 가질 수 있습니다.
예) 집 vs 냉장고
구성 관계: 부분은 전체와 같은 생명 주기를 갖습니다.
예) 사람 vs 심장
스프링 없이 의존성 주입하기 1 - 생성자를 통한 의존성 주입
[ 의사 코드 ]
운전자가 타이어를 생산합니다.
운전자가 자동차를 생산하면서 타이어를 장착합니다.
[ 자바로 표현 - 생성자 인자 이용 ]
Tire tire = new KoreaTire();
Car car = new Car(tire);
주입이란 말은 외부에서라는 뜻을 내포하고 있는 단어입니다.
결국 자동차 내부에서 타이어를 생산하는 것이 아니라 외부에서 생산된 타이어를 자동차에 장착하는 작업이 주입입니다.
기존 방식이라면 Car는 KoreaTire, AmericaTire에 대해 정확히 알고 있어야만 그에 해당하는 객체를 생성할 수 있었습니다.
의존성 주입을 적용할 경우, Car는 그저 Tire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어떤 객체가 들어오기만 하면 정상적으로 작동하게 됩니다.
의존성 주입을 하면 확장성도 좋아지는데,
ChinaTire, SpainTire 등 새로운 타이어 브랜드가 생겨도 각 타이어 브랜드들이 Tire 인터페이스를 구현한다면 Car.java 코드를 변경할 필요가 없습니다.
현실 세계의 표준 규격 준수 = 프로그래밍 세계의 인터페이스 구현
스프링 없이 의존성 주입하기 2 - 속성을 통한 의존성 주입
[ 의사 코드 ]
운전자가 타이어를 생산합니다.
운전자가 자동차를 생산합니다.
운전자가 자동차를 타이어에 장착합니다.
[ 자바로 표현 - 속성 접근자 메소드 사용 ]
Tire tire = new KoreaTire();
Car car = new Car();
car.setTire(tire);
앞서 생성자를 통해 의존성 주입을 하는 코드를 살펴봤습니다.
하지만, 생성자를 통해 의존성 주입을 하는 것을 현실 세계에 빗대어 생각해보면 자동차를 생산할 때 한번 타이어를 장착하면 더 이상 타이어를 교체할 수 없게 됩니다.
더 이상적인 방법은 운전자가 원할 때 Car의 Tire를 교체하는 것입니다.
자바에서 이를 구현하려면 생성자가 아닌 속성을 통한 의존성 주입이 필요합니다.
스프링에서 @ Annotation을 사용하는 경우 주로 속성 주입 방식을 사용하게 됩니다.
스프링을 통한 의존성 주입 - XML 파일 사용
[ 의사 코드 ]
운전자가 종합 쇼핑몰에서 타이어를 구매합니다.
운전자가 종합 쇼핑몰에서 자동차를 구매합니다.
운전자가 자동차에 타이어를 장착합니다.
[ 자바로 표현 - 속성 메소드 사용 ]
ApplicationContext context = new ClassPathXmlApplicationContext("exampleSpringDI.xml", Driver.class);
Tire tire = (Tire)context.getBean("tire");
Car car = (Car)context.getBean("Car");
car.setTire(tire);
package exampleSpringDI;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pplicationContext;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support.ClassPathXmlApplicationContext;
public class Driver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ApplicationContext context = new ClassPathXmlApplicationContext("exampleSpringDI/exampleSpringDI.xml");
Car car = context.getBean("car", Car.class);
Tire tire = context.getBean("tire", Tire.class);
car.setTire(tire);
System.out.println(car.getTireBrand());
}
}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pplicationContext;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support.ClassPathXmlApplicationContext;
<?xml version="1.0" encoding="UTF-8"?>
<beans xmlns="http://www.springframework.org/schema/beans"
xmlns:xsi="http://www.w3.org/2001/XMLSchema-instance"
xsi:schemaLocation="http://www.springframework.org/schema/beans
http://www.springframework.org/schema/beans/spring-beans.xsd">
<bean id="tire" class="exampleSpringDI.KoreaTire"></bean>
<bean id="americaTire" class="exampleSpringDI.AmericaTire"></bean>
<bean id="car" class="exampleSpringDI.Car"></bean>
</beans>
스프링을 도입해서 얻는 이득은 무엇일까?
가장 큰 이득은 자동차의 타이어 브랜드를 변경할 때,
그 무엇도 재컴파일/재배포하지 않아도 XML파일만 수정하면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를 바꿀 수 있다는 것입니다.
참고
https://pks424.tistory.com/entry/IoC-DI%EB%9E%80
https://github.com/MinGOODdev/LearnKit/blob/master/Spring%20Framework/DI/2.%20IoC%20%26%20DI%20(%40Autowired%20%26%20%40Resource).m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