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리소스를 코드로 정의하므로, 수동으로 리소스를 생성할 필요가 없습니다.
이는 관리와 변경의 효율성을 높입니다.
템플릿 코드를 Git과 같은 버전 관리 시스템으로 추적할 수 있어 변경 사항을 쉽게 검토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코드 기반으로 인프라를 관리하므로, 변경 사항을 사전에 검토하고 안전하게 배포할 수 있습니다.
CloudFormation은 스택 내 모든 리소스에 고유 식별 태그를 추가하므로, 각 스택의 비용을 쉽게 추적할 수 있습니다.
템플릿을 통해 리소스 비용을 사전에 예측할 수 있습니다.
개발 환경에서는 자동화된 삭제/생성 작업을 설정해, 예를 들어 저녁 5시 이후 리소스를 삭제하고 다음날 아침 8시에 다시 생성하도록 설정해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CloudFormation을 사용하면 필요에 따라 인프라를 빠르게 생성하거나 제거할 수 있어 운영 효율이 높아집니다.
템플릿을 기반으로 인프라 다이어그램을 자동으로 생성해 구조를 쉽게 시각화할 수 있습니다.
리소스 생성 순서와 의존성을 수동으로 설정할 필요 없이, CloudFormation이 이를 자동으로 처리합니다.
애플리케이션, 네트워크, VPC 등 각 역할별로 별도의 스택을 생성하여 관리할 수 있습니다.
예: VPC 스택 / 네트워크 스택 / 애플리케이션 스택
이미 검증된 웹상의 템플릿을 활용하거나 AWS에서 제공하는 템플릿을 참고하여 시간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CloudFormation은 AWS의 풍부한 문서와 가이드를 통해 누구나 쉽게 배울 수 있습니다.
AWS CloudFormation은 템플릿을 활용해 클라우드 인프라를 생성, 업데이트, 삭제하는 과정을 자동화합니다. 아래는 주요 동작 방식입니다.
CloudFormation 템플릿은 S3 버킷에 업로드한 후, 이를 CloudFormation에서 참조해야 합니다.
기존 템플릿은 직접 수정할 수 없으며, 새로운 버전의 템플릿을 다시 업로드해야 합니다.
CloudFormation에서 생성된 모든 리소스는 스택 이름을 기준으로 그룹화되어 관리됩니다.
스택을 삭제하면 CloudFormation이 생성했던 모든 리소스와 아티팩트가 함께 삭제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