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AWS CloudFormation 이란? - 2

비전·2025년 1월 9일
0

AWS 실습

목록 보기
42/54
post-thumbnail

1. AWS CloudFormation의 이점들, 왜 사용해야 할까?

1. Infrastructure as Code (IaC)

코드 기반의 인프라 관리

모든 리소스를 코드로 정의하므로, 수동으로 리소스를 생성할 필요가 없습니다.
이는 관리와 변경의 효율성을 높입니다.

버전 관리 기능

템플릿 코드를 Git과 같은 버전 관리 시스템으로 추적할 수 있어 변경 사항을 쉽게 검토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인프라 변경 검토

코드 기반으로 인프라를 관리하므로, 변경 사항을 사전에 검토하고 안전하게 배포할 수 있습니다.

2. 비용관리

태그 기반 비용 추적

CloudFormation은 스택 내 모든 리소스에 고유 식별 태그를 추가하므로, 각 스택의 비용을 쉽게 추적할 수 있습니다.

비용 예측

템플릿을 통해 리소스 비용을 사전에 예측할 수 있습니다.

비용 절감 전략

개발 환경에서는 자동화된 삭제/생성 작업을 설정해, 예를 들어 저녁 5시 이후 리소스를 삭제하고 다음날 아침 8시에 다시 생성하도록 설정해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3. 생산성 향상

빠른 인프라 생성 및 제거

CloudFormation을 사용하면 필요에 따라 인프라를 빠르게 생성하거나 제거할 수 있어 운영 효율이 높아집니다.

자동 다이어그램 생성

템플릿을 기반으로 인프라 다이어그램을 자동으로 생성해 구조를 쉽게 시각화할 수 있습니다.

선언적 프로그래밍

리소스 생성 순서와 의존성을 수동으로 설정할 필요 없이, CloudFormation이 이를 자동으로 처리합니다.

4. 관심사의 분리 (Separation of Concern)

스택별 역할 분리

애플리케이션, 네트워크, VPC 등 각 역할별로 별도의 스택을 생성하여 관리할 수 있습니다.
예: VPC 스택 / 네트워크 스택 / 애플리케이션 스택

5. 기존 리소스 활용

템플릿 재사용

이미 검증된 웹상의 템플릿을 활용하거나 AWS에서 제공하는 템플릿을 참고하여 시간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풍부한 문서 지원

CloudFormation은 AWS의 풍부한 문서와 가이드를 통해 누구나 쉽게 배울 수 있습니다.


2. AWS CloudFormation의 동작 방식

AWS CloudFormation은 템플릿을 활용해 클라우드 인프라를 생성, 업데이트, 삭제하는 과정을 자동화합니다. 아래는 주요 동작 방식입니다.

1. 템플릿과 S3 연동

템플릿 업로드

CloudFormation 템플릿은 S3 버킷에 업로드한 후, 이를 CloudFormation에서 참조해야 합니다.

템플릿 업데이트

기존 템플릿은 직접 수정할 수 없으며, 새로운 버전의 템플릿을 다시 업로드해야 합니다.

2. 스택(Stack)의 개념

스택 이름으로 식별

CloudFormation에서 생성된 모든 리소스는 스택 이름을 기준으로 그룹화되어 관리됩니다.

스택 삭제 시 리소스 제거

스택을 삭제하면 CloudFormation이 생성했던 모든 리소스와 아티팩트가 함께 삭제됩니다.

profile
아는 만큼 보인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