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ELB(Elastic Load Balancing)

비전·2024년 9월 19일
0

AWS 실습

목록 보기
10/54
post-thumbnail

1. Load Balancing

단어의 의미만 보았을 때는 무게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다. 즉, 부하 분산이다.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여러개의 서버로 분산 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을 로드 밸런서라고 한다.

ELB는 서버에 대한 요청을 자신이 가진 알고리즘을 통해서 각 서버로 분산시켜 준다.

2. Load Balancing의 목적

  • 성능 향상
    - 클라이언트의 수많은 요청을 여러개의 서버가 담당할 수 있다.
  • 안전성 향상
    - 서버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고, 한개의 서버가 다운되도 다른 서버가 있기 때문에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 서버 장애 예방
    - 클라이언트들의 요청이 대량으로 몰려오거나, 여러 개의 EC2 인스턴스가 중간에 죽더라도, 미리 계획해 둔 백업 플랜에 따라서 EC2 인스턴스를 더 띄워서 서버의 장애를 예방 할 수 있다.
  • 고가용성(HA)
    - 장애가 나지 않고 지속적으로 서버가 잘 작동할 수 있다.
  • 성능 향상 기반 제공
    - EC2 인스턴스를 추가하기 용이하다.

3. ELB의 기본 구조

한개의 리전이 존재한다. 리전 내 복수개의 가용 영역이 존재한다.
그리고 ELB는 리전별로 생성한다.
이렇게 리전에 생성된 ELB는 여러개의 가용 영역이 존재하는 EC2 인스턴스들에 부하를 분산 시켜준다.

대상 그룹은 영어로 Target Group이라고 부르며, 부하를 분산시킬 대상 인스턴스들이 속한 그룹이라고 보면 된다.

4. ELB Laod Balancer 생성

왼쪽 메뉴 로드밸런서 선택 -> 로드 밸런서 생성 -> 로드 밸런서 유형 선택 ALB 생성

로드밸런서 이름(MyFirstELB) → 네트워크 매핑(가용영역 선택, 앞에서 생성한 WordPress 인스턴스가 있는 가용영역을 무조건 포함)

보안 그룹 선택(WordPress 보안그룹, 앞에 AMI 에서 WordPress를 설치할 때 자동으로 설치된 보안그룹)

  • 리스너 및 라우팅
    대상 그룹 생성 → 부하 분산시킬 대상 선택(인스턴스 선택) → 대상그룹 이름 입력(MyTargetGroup3) → 다음 → 대상 인스트턴스를 체크 후 “아래 보류 중인 것으로 포함” 클릭 → 대상 보기에서 확인

=> 로드밸런서 생성 버튼

=> 생성 완료
-> 대상 그룹을 통해서 로드밸런서 체크

  • ELB 하단에 DNS 주소를 통해서 접속
profile
아는 만큼 보인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