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man과 같이 http를 테스트파다보면
x-www-form-urlencoded 이나 raw/json을 만나게 된다.둘의 차이는 무엇일 까?
일단 Content-type이란 MessageBody에 들어가는 타입을 Http Header에 명시해줄 수 있는데 이때 명시해줄 수 있도록 해주는 필드
예를 들어 api 요청 시 request에 실어 보내는 데이터(body)의 type정보를 표현
그중에 Text타입으로는 text/css, text/javascript, text/html, text/plain 등
또 file을 실어보내기 위해서는 multipart/form-data가 있고
Application 타입으로는 application/json, application/x-www-urlencoded
application/x-www-form-urlencoded
주로 html form submit에서 주로 사용하는 타입이며 기본적인 content-type으로 불림
클라이언트: 클라이언트는 데이터를 x-www-form-urlencoded 형식으로 인코딩해서 요청을 보내야 합니다. 대부분의 웹 브라우저와 관련 라이브러리는 이 기능을 기본적으로 지원합니다.
서버: 클라이언트로부터 받은 데이터를 올바르게 파싱하고 처리하기 위해 서버 측에서도 x-www-form-urlencoded 형식을 지원해야 합니다. 서버에서 사용하는 프레임워크나 라이브러리가 이 형식의 데이터를 올바르게 해석하고 사용할 수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application/json
아래 참고블로그는 RestAPI를 만들때 Content-Type으로 인해 Exceptio이 발생한 경우이다
그에 따라 contenttype-type을 명시해준다
참고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