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C2 소개
- Elastic Computing Cloud (안전하고 확장성 있는 컴퓨팅 서비스)
- Instances(서버), Container(도커나 쿠버네티스에 사용), Serverless(lambda, 서버없이 동작하는 코드 실행), Hybrid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 초당으로 요금이 계산된다 -> 사용하지 않으면 정지 필수
- ELB, Auto Scaling, S3등 다양한 서비스와 연동 가능
- EC2는 AZ 기반이므로, 고가용성을 위해서는 MultiAZ(둘 이상의 AZ를 이용해 둘 이상의 서버 구축)를 통해 가용성을 확보해야 한다.
- EC2 관련 서비스
- EC2 : 서버, CPU에 해당함
- EBS(Elastic Block Storage) : EC2의 블록 저장장치, SSD, AZ 서비스
- EBS Snapshot : EBS 백업 데이터
- VPC : Virtual Private Cloud : EC2가 연결되는 사설 네트워크 망, 리전 기반 -> MultiAZ를 가능하게 함
- Subnet : VPC의 하위망. AZ 서비스로 EC2는 subnet에 위치함
- ENI : 가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랜카드, AZ 서비스
- security group : EC2의 방화벽, 포트 접근 제어
- Auto scaling : 트래픽에 맞춰 서버를 늘리거나 줄이거나 해주는 서비스
- AMI : EC2의 백업.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에 AMI를 생성하고 이를 통해 그 지점부터 EC2를 시작하는게 가능하다.
- EC2 실습
- 콘솔 EC2-> Amazon linux AMI를 선택 -> 프리티어 -> 이후 기본값들
- 태그 추가 무조건 "Name" 필수
ex) Name inf-demo 꼴로
- 키 페어가 없으면 아무도 ec2에 접근할 수 없다.
- EC2 접속
- 인스턴스 -> 연결 -> EC2 인스터스 연결에서 연결 버튼만 누르기
- 중지 : 컴퓨터를 끈 것과 같은 상태. 요금이 계속 나온다.
- 종료 : 서버를 완전히 삭제하는 것
- Git bash를 이용해 접속하기
- 인스턴스 > 연결 > SSH 클라이언트 이용해서 도움말 참고
- 폴더에 프라이빗 key 파일 이동
- chmod 400 inf-demo.pem
- ssh -i "inf-demo.pem" ec2-user@ec2-3-35-135-234.ap-northeast-2.compute.amazonaws.com
- 인바운드 규칙 위치무관으로 해야 접속 가능
- elastic-ip 연결
- 중지 후 재시작하면 IP가 변경된다. -> 고정 IP가 필요하다면 elastic-ip를 연결해야 한다.
- 탄력적 IP 주소 할당 -> 작업-> 탄력적 IP주소 연결 -> 인스턴스 선택
- elastic-ip 연결해놓은 인스턴스가 중지 상태이면 과금이 된다. 사용하지 않을 시 무조건 반환 해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