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가 컨테이너를 빌드, 배포, 실행, 업데이트, 관리할 수 있는 오픈소스 플랫폼입니다.
컨테이너를 활용했을 때 분산형 애플리케이션을 간편하게 개발하고 제공할 수 있습니다.
컨테이너 생성 자동화: Docker에서는 애플리케이션 소스코드를 기반으로 컨테이너를 자동으로 빌드할 수 있습니다.
컨테이너 버전 관리 : Docker에서는 컨테이너 이미지의 여러 버전을 관리하고, 이전 버전으로 롤백하고, 버전을 빌드한 사용자와 그 방법 까지 추적이 가능합니다. 부분 업데이트도 가능합니다.
컨테이너 재사용 : 기존 컨테이너를 기본 이미지로, 특히 새 컨테이너를 빌드할 때 템플릿처럼 사용이 가능합니다.
공유 컨테이너 라이브러리 : 개발자는 사용자들이 제공한 수천개의 컨테이너가 있는 오픈 소스 레지스트리에 엑세스할 수 있습니다.

작업관리자 CPU-가상화 [사용]

설치된 도커를 실행해준다.
만약, WSL 오류메세지가 나오면 메세지 내의 링크 https://aka.ma/wsl2kernel 로 이동해 패키지를 다운

도커 정상 실행시 회원가입(플랜 무료 0$ 선택) 또는 로그인
인증이 완료되면 "Get started with Docker Desktop"을 클릭하여 마무리
CMD에서 docker -v을 입력하면 정상 설치 확인 가능

도커를 GUI 환경으로 쉽게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는 툴 들이 여러개 있다. 사용자가 원하는 환경을 선택해서 사용하기를 추천 (ex. Kitematic, portainer)
DockerFile : 이미지를 만들기 위한 명령어 세트가 포함된 텍스트 파일. DockerFile로 이미지 생성 프로세스 자동화 함.
Docker image : 컨테이너를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불변의 템플릿. Docker image에는 실행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소스 코드, 코드가 컨테이너 형태로 실행되는데 필요한 모든 툴, 라이브러리 및 종속 항목이 포함 됨. 이미지를 실행하면 컨테이너의 인스턴스가 된다.
Docker Container : Docker 이미지의 현재 실행중인 라이브 인스턴스를 의미. 이미지는 읽기 전용이라고 할 수 있고, 컨테이너는 현재 활성 상태이며 수명이 짧은 실행 가능 콘텐츠라고 할 수 있다. 관리자는 Docker 명령을 사용해 설정과 조건을 조정 가능.
Docker Hub : 공용 이미지 저장소로 다양한 컨테이너 이미지를 포함하며, 오픈 소스에 엑세스 가능. like, GitHub.
Docker Volume : 컨테이너의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공간
Docker Compose : 멀티 컨테이너를 정의하고 실행하기 위한 도구. 멀티 컨테이너: 모든 컨테이너가 같은 Docker 호스트에서 실행되는 경우 Docker Compose는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될 서비스를 지정하는 YAML 파일을 생성, 그리고 하나의 명령어로 컨테이너를 배포하고 실행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