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1>
코드를 사용하여 제목을 작성하는 것과, 폰트를 크게 키우고 <div>
사이에 마진을 두어 제목처럼 보이는 글을 작성하는 것은 다르다.<meta charset="UTF-8">
이나, <meta property="og:title" content="아이유 팬명록"/>
등이 바로 검색 엔진이 우리가 작성한 HTML을 읽을 때 이 페이지의 전반적인 언어 형식이라던지, 어떤 제목으로 썸네일이 표시되는지 등을 알 수 있습니다.꼭 자바스크립트가 아닌 다른 스크립트 사용시에도 해당 태그를 사용합니다.
자바스크립트가 아닌 다른 스크립트 사용 시 head 태그 내에 어떤 스크립트를 사용할 지 명시해야 합니다.
해당 태그가 등장하면 해당 태그의 닫힘 태그가 등장할때까지의 모든 언어를 적용된 클라이언트 사이드 스크립트 문법에 따라 해석하라는 일종의 명령어입니다.
이게 바로 “<h1>
코드를 사용하여 제목을 작성하는 것과, 폰트를 크게 키우고 <div>
사이에 마진을 두어 제목처럼 보이는 글을 작성하는 것은 다르다.”의 의미입니다!
제목이 필요하다면 <h1>
코드를, 메뉴를 작성하고자 한다면 <nav>
를 사용하는 등 목적에 따라 태그를 사용해주세요.
<h1 class = "example">아이유 팬명록</h1>
<tr: 테이블 로우>, <tb: 테이블 바디>, <li: 리스트>
같은 태그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Cascading: 물 같은 액체가 위에서 아래로 흐는 폭포의 형태를 의미.
이와 같이 CSS는 큰 줄기가 먼저, 그리고 작은 줄기가 그 다음에 적용됩니다.
다만 헷갈리면 안되는 것이, CSS는 속성이 중첩되어 적용되는 경우가 있는데요, 그럴 경우엔 특정 법칙에 따라 우선순위가 지정됩니다.
!important
를 붙인 속성 ex. .mytitle { color : black !important ; }HTML
에서 [style]을 직접 지정한 속성 ex. <h1 style = “color : white”>(head에 있는 style이 아니라 body에 있는 특정 코드에 style을 직접 적용)#id
로 지정한 속성클래스
, :추상클래스
로 지정한 속성 ex. .mytitle : hover {___}태그이름
으로 지정한 속성 ex. .h1 { color : red ; } 그렇기 때문에 CSS에선 선택자(selector)와 선언부(declaration)를 적절하게 잘 사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Selector: 선택자는 css 스타일을 적용할 요소를 지칭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각 요소를 디자인할 때, 그 요소들은 박스형태로 되어있다.
1. 화면 전체를 먹어버리는 box-level이 있고, 작성된 content 부분만 먹어버리는 inline-level이 있다.
2. border 속성을 통해 테두리를 그리면 조금 더 명확하게 각 요소의 범위를 확인할 수 있다.
let a = 1
let b = 2
a+b // 3
a/b // 0.5
let first = 'Bob'
let last = 'Lee'
first+last // 'BobLee'
first+' '+last // 'Bob Lee'
first+a // Bob1 -> 문자+숫자를 하면, 숫자를 문자로 바꾼 뒤 수행합니다.
const rainbowColors = ['red', 'orange', 'yellow', 'green', 'blue', 'indigo', 'violet']
let a_dict = {}
let b_dict = {'name':'Bob','age':21}
b_dict['name'] // 'Bob'을 출력
b_dict['age'] // 21을 출력
b_dict['height'] = 180 // 딕셔너리에 키:밸류 넣기
b_dict // {name: "Bob", age: 21, height: 180}을 출력
key값
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취급하는 객체]를 의미하기도 합니다.// 함수의 선언
function calculateAvg(price1, price2) {
const sum = price1 + price2 // 매개변수인 price1, price2을 변수처럼 활용!
console.log(`두 상품의 합계는 ${sum}입니다.`)
const avg = sum / 2
return avg // 평균가격을 리턴!
}
const priceA = 1000
const priceB = 2000
// 함수의 호출
const avg1 = calculateAvg(priceA, priceB)
console.log(`두 상품의 평균은 ${avg1}입니다.`)
const shoesPrice = 40000
if (shoesPrice < 50000) { // 여기서 연산자는 [<]이며, 변수로 선언된 신발 가격이 50000보다 작기 때문에, 로직은 True가 되고, 조건문이 실행됩니다.
console.log('신발을 사겠습니다.')
}
const capPrice = 50000
if (capPrice < 50000) {
console.log('모자를 사지 않겠습니다.') // 모자 가격이 50000원보다 작지 않으므로 연산자 [<]를 이용한 로직은 False가 되기 때문에 해당 코드는 실행되지 않습니다.
}
const shoesPrice = 50000
if (shoesPrice < 40000) {
console.log('신발을 사겠습니다.')
} else if (shoesPrice <= 50000) {
console.log('고민을 해볼게요...') // 신발 가격이 50000원보다 작거나 같으므로 않으므로 해당 코드가 실행됨
} else {
console.log('너무 비싸요. 신발을 사지 않겠습니다.')
}
let temperature = 20
while (temperature < 25) {
console.log(`${temperature}도 정도면 적당한 온도입니다.`)
}
let people = ['철수','영희','민수','형준','기남','동희']
for (let i = 0 ; i < people.length ; i++) {
console.log(people[i])
}
function show_gus(index) {
for (let i = 0; i < mise_list.length; i++) {
let mise = mise_list[i];
if (mise["IDEX_MVL"] < index) {
let gu_name = mise["MSRSTE_NM"];
let gu_mise = mise["IDEX_MVL"];
console.log(gu_name, gu_mise);
}
}
}
show_gus(40)
show_gus(35)
앞으로 새로 알게되는 부분은 조금씩 추가하자!
정보의 대부분 출처: 생활코딩, 스파르타웹개발종합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