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입사원 무지는 게시판 불량 이용자를 신고하고 처리 결과를 메일로 발송하는 시스템을 개발하려 합니다. 무지가 개발하려는 시스템은 다음과 같습니다.
다음은 전체 유저 목록이 ["muzi", "frodo", "apeach", "neo"]이고, k = 2(즉, 2번 이상 신고당하면 이용 정지)인 경우의 예시입니다.
유저 ID | 유저가 신고한 ID | 설명 |
---|---|---|
"muzi" | "frodo" | "muzi"가 "frodo"를 신고했습니다. |
"apeach" | "frodo" | "apeach"가 "frodo"를 신고했습니다. |
"frodo" | "neo" | "frodo"가 "neo"를 신고했습니다. |
"muzi" | "neo" | "muzi"가 "neo"를 신고했습니다. |
"apeach" | "muzi" | "apeach"가 "muzi"를 신고했습니다. |
각 유저별로 신고당한 횟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유저 ID | 신고당한 횟수 |
---|---|
"muzi" | 1 |
"frodo" | 2 |
"apeach" | 0 |
"neo" | 2 |
위 예시에서는 2번 이상 신고당한 "frodo"와 "neo"의 게시판 이용이 정지됩니다. 이때, 각 유저별로 신고한 아이디와 정지된 아이디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유저 ID | 유저가 신고한 ID | 정지된 ID |
---|---|---|
"muzi" | ["frodo", "neo"] | ["frodo", "neo"] |
"frodo" | ["neo"] | ["neo"] |
"apeach" | ["muzi", "frodo"] | ["frodo"] |
"neo" | 없음 | 없음 |
따라서 "muzi"는 처리 결과 메일을 2회, "frodo"와 "apeach"는 각각 처리 결과 메일을 1회 받게 됩니다.
이용자의 ID가 담긴 문자열 배열 id_list
, 각 이용자가 신고한 이용자의 ID 정보가 담긴 문자열 배열 report
, 정지 기준이 되는 신고 횟수 k
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각 유저별로 처리 결과 메일을 받은 횟수를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id_list | report | k | result |
---|---|---|---|
["muzi", "frodo", "apeach", "neo"] | ["muzi frodo","apeach frodo","frodo neo","muzi neo","apeach muzi"] | 2 | [2,1,1,0] |
["con", "ryan"] | ["ryan con", "ryan con", "ryan con", "ryan con"] | 3 | [0,0] |
function solution(id_list, report, k) {
//1. answer 배열을 id_list 크기만큼 할당하고 fill 함수를 사용해 0으로 초기화한다.
const answer = new Array(id_list.length);
answer.fill(0);
//2. 리포트 결과를 담을 변수를 선언하고 빈 객체를 할당한다.
const report_list = {};
//3. report_list 객체에 key: 신고 당한 id / value : [신고한 id]을 담기 위한 빈 배열을 추가한다.
id_list.map((user) => {
report_list[user] = [] //key가 userid이고 value로 빈 배열을 가지는 객체
});
//4. map을 통해 report 안의 요소들을 돌면서
report.map((user) => {
//4-1. 신고 id와 신고 당한 id가 띄여쓰기로 구분되므로 -> split을 통해 자르고 구조분해할당으로 값을 받아온다.
const [user_id, report_id] = user.split(' ');
//4-2. 신고당한 id(key)에 대해 신고한 id가 배열에 없다면(value)
if(!report_list[report_id].includes(user_id)){
//4-3. 해당 신고한 id를 배열에 추가해준다.
report_list[report_id].push(user_id);
}
})
//5. 신고 결과를 담은 report_list를 돌면서
for(const key in report_list){
//5-1. 해당 키의 value length가 k와 같거나 크다면
if(report_list[key].length >= k){ //이용정지 유저
//5-2. 0로 채운 answer의 각 인덱스에 +1해준다. 이유는 인덱스가 0부터 시작하기 때문이다.
report_list[key].map((user) => {
answer[id_list.indexOf(user)] +=1;
})
}
}
return answer;
}
/*
* 참고로 report_list의 내용은 아래와 같다.
{"muzi":["apeach"],"frodo":["muzi","apeach"],"apeach":[],"neo":["frodo","muzi"]}
*/
function solution(id_list, report, k) {
let reports = [...new Set(report)].map(a=>{return a.split(' ')});
let counts = new Map();
for (const bad of reports){
counts.set(bad[1],counts.get(bad[1])+1||1)
}
let good = new Map();
for(const report of reports){
if(counts.get(report[1])>=k){
good.set(report[0],good.get(report[0])+1||1)
}
}
let answer = id_list.map(a=>good.get(a)||0)
return answ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