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엔드는 웹프로그래밍 수업을 수강하면서 MySQL 사용법 정도만 익힌게 다였다.
개발을 하다보니 나는 너무 프론트 쪽에만 지식이 있고 백에 취약하다는 생각이 들어 꼭 경험해보고 싶어졌다.
Postman은 프론트 개발자로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API 테스트를 위해 필요한 경우가 있었기 때문에 깔려 있다. 프론트 개발자여도 꼭꼭 깔아두는걸 추천
인텔리제이는 깔았다가 노트북 초기화를 하고 다시 안 깔아서 다시 깔고..
데이터그립은 cmd창으로 MySQL에 접속했던 과거를 청산하기 위해 추천받아서 깐당.
개발을 하다 보니 초기 개발 환경 설정이 꽤 중요하다. 아주 꼼꼼히 해야 함..
그래서 이번엔 기록으로 남겨두고 나중에 개발하다가 뭔가 꼬였다 싶으면 되돌아 올 것!
이런 걸 작성하다 보면 클라우드IDE나 클라우드DB 등등 클라우드 기술이 얼마나 혁신적이고 효율적인지 체감이 되는 것 같다.
좀만 더 발전하면..! 사람들이 좀만 더 많이 쓰면..!

코틀린 덕분에 익숙한 Jetbrains의 IDE이다.
CLion을 깔기 위해 인증해뒀던 학생 계정으로 Ultimate 버전 설치!
설치 옵션
환경 설정
자바 빌드 시스템
자바 빌드 시스템은 총 3가지(Maven, Intellij, Gradle)이다. Maven은 전통적인 빌드 툴로 pom.xml 파일을 사용한다. 개발자가 해당 파일에 사용할 라이브러리를 정의해두면 정의된 라이브러리+종속된 라이브러리까지 관리해 자동 다운로드되도록 한다고 한다. pom은 Project Object Model의 약자라고 한다. Gradle은 이전에 안드로이드 개발을 할 때부터 사용한 빌드 툴이다. pom.xml이 아니라 build.gradle 파일을 사용하여 사용할 라이브러리를 정의해둘 수 있고, Maven과 같이 라이브러리 자동 관리와 다운로드 기능이 있다. Intellij는 독자적인 빌드 시스템이라고 한다. 현재 많이 사용되는 것은 Maven이지만 성능 면에서 Gradle이 압도적이기 때문에 Gradle로 마이그레이션하는 추세라고 한다.




플러그인 설치

이것두 역시나 젯브레인스의 Database 관리 툴!(2024년 Top SQL IDE 1위라고 함)
Database IDE라고 검색하면 나오는 MySQL Workbench, SSMS, Dbeaver 등등 많이 나오는데 아무래도 사람들이 많이 쓰고 + 이미 학생 인증한 젯브레인에서 바로 다운로드할 수 있고 + 추천도 받았고! 이걸 선택하게 됐다.
사실 뭘 선택해도 구글링 했을 때 어느정도 레퍼가 있는 툴이라면 뭐든 상관없을 것 같당.
데이터그립은 기본적으로 30일 무료 체험 기간을 제공한다.
학생은 무료!
설치 옵션
환경 설정
참고자료
Intellij IDEA 완벽 가이드
JPA Buddy, JPA 엔티티, 리파지터리를 편리하게 생성 관리해주는 플러그인 소개
IntelliJ - Lombok 설치 방법 & 오류 해결
출처: https://inpa.tistory.com/entry/IntelliJ-💽-Lombok-설치-방법-오류-해결 [Inpa Dev 👨💻:티스토리]
[IntelliJ] Java 빌드 시스템: IntelliJ, Maven, Gradle
Gradle vs Maven Comparis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