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mazon EC2 (Amazon Elastic Compute Cloud) 는 클라우드상에서 확장이 가능한 컴퓨팅 용량을 제공합니다, EC2를 사용하면 물리적으로 서버를 따로 구매할 필요가 없고 간단하게 세팅만 해주면 기존에 물리적으로 세팅한다면 OS설치부터 기본 네트워크 설정, 인바운드 및 아웃바운드 규칙을 설정해야하지만 EC2로 서버를 세팅하면 모든 작업을 길어야 1시간 내외로 끝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지금부터 EC2를 세팅하는 방법을 설명하는데 아래의 조건으로 설명하겠다.
AWS 상단 메뉴의 검색창에 EC2라고 입력 한 후 EC2에 들어가면 이렇게 메뉴가 나오면 인스턴스 시작 버튼 클릭
버튼을 클릭하면 하단의 화면이 나오고 입력 폼들이 나오는데 하나하나 설명해 주겠다.
인스턴스의 이름을 본인이 원하는 이름으로 입력
인스턴스에서 실행 할 리눅스 선택
Amazon Linux로 선택하고 Amazon Machine Image를 선택한다.
메뉴를 보면 딥려닝이 가능한 모델부터 .NET을 쓸 수 있는등 여러가지 있는데 프리 티어가 가능한 것 중에서 Amazon Linux 2023 AMI 아니면 Amazon Linux 2 AMI (HVM) - Kernel 5.10, SSD Volume Type을 선택한다. 두 OS의 차이는 2023 AMI는 최신 소프트웨어를 제공하고 2 AMI는 버전이 낮은 소프트웨어를 지원한다.
아키텍처는 64비트(x86)으로 하는데 이유는 Arm으로 세팅하면 인스턴스 유형에서 프리티어를 사용할 수 없기 떄문에 선택한다. Arm과 64비트(x86)의 차이점을 확인하고 싶으면 아래의 글을 참조하기 바란다.
https://umanking.github.io/2023/03/05/processor-architecture-x86-arm/
인스턴스 유형은 t2.micro로 선택한다.
인스턴스의 성능을 비교하고 싶으면 "인스턴스 유형 비교"를 클릭하여 확인하면 된다.
키 페어(로그인) 에서 키 페어가 없으면 새로운 키를 생성해 준다.
(필자는 ssh접속을 Putty로 해왔기 때문에 .ppk 확장자 키로 선택했다, 키 페어 생성 버튼을 클릭하면 설정한 키가 다운로드가 되는데 키는 잘 간수해야 한다.)
네트워크 설정은 기본으로 세팅되어 있는대로 하고 보안 그룹은 새로 생성하고 차 후 인바운드 규칙에서 수정해준다.
인스턴스의 스토리지 용량을 정해준다.
루트 볼륨을 보면 프로시저닝된 SSD를 제외하고 gp2 와 gp3이 있는데 두 개의 차이점이 궁금해서 하단의 표를 넣었다.
인스턴스 시작 버튼을 클릭하면 세팅한대로 인스턴스가 생성되고 콘솔에 실행되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렇게 실행되고 있는 모습이 보이는데 여기서 퍼블릭 IPv4주소는 인스턴스를 재부팅 할 때마다 새로 지정되는데 만약 새로지정 되는 것이 불만이면 VPC (Virtual Private Cloud) 의 탄력적 IP 메뉴에서 IP를 할당받아 사용해주면 된다.
(원래는 AWS에서 제공하는 IPv4는 요금을 지불하지 않았지만 IPv4는 한정된 자원이여서 그런지 2024년 부터는 사용한 만큼 요금을 지불해줘야 한다. 고정IP를 쓰고싶으면 돈내고 써야한다.)
https://docs.aws.amazon.com/ko_kr/AWSEC2/latest/UserGuide/concepts.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