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이터를 다음과 같이 class를 사용하여 원하는 형태로 만드는 것을 말한다.
@RequiredArgsConstructor
class MemberDTO{
@NonNull
public Long id;
@NonNull
public String usrName;
@NonNull
public String displayName;
}
참고로 NonNull 어노테이션이나 final을 사용해야
@RequiredArgsConstructor사용이 가능하다.
(빈 값이 들어있으면 안되기 때문에)
가. Type Check가 용이해진다.
추후, 클래스의 타입을 확인할 때 편해진다.
나. 재사용이 쉬워진다.
나중에 DTO의 멤버변수를 수정하여 원하는 값들을 가진 객체로 만들기 편해진다. 즉, 필요할 때마다 객체에 원하는 데이터를 추가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가. DBeave에서 열 삭제

Properties들어가서 원하는 컬럼명 선택 후, 아래 빨간색 휴지통 버튼 눌러서 삭제해주면 된다.
가. The given id must not be null
null 값을 주면안되는데 줘버려서 생긴 상황이다.
DB의 중복된 컬럼이 존재해서 생긴 상황이였다.
스프링은 HTTP 응답시, 객체를 json 형태로 body에 담아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한다.
| 항목 | Env Info |
|---|---|
| 🖥️ 서버 | Tomcat |
| 🍭 프레임워크 | Spring Boot |
| 📀 데이터베이스 | MySQL with Azure |
| 📝 JPA | Hibernate |
| 🙈 외부 라이브러리 | lombok, thymeleaf, AJAX |
| 📏 디자인 패턴 | MVC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