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nput1 : mirkovC4nizCC44
Input2 : C4
output : mirkovniz
가. stack에 input1의 인덱스값 하나씩 추가한다.
나. 추가하는 도중 끝을 기준으로, Input2 가 발견되면 해당 길이만큼 stack 뒤에서 꺼낸다.
다. stack이 비어있으면 FRULA, 비어있지 않으면 stack안의 원소들을 출력한다.
가. input2의 오른쪽 줄바꿈\n을 strip()로 제거해줘야한다.
나. 리스트 맨 뒤 인덱스 번호 -1 부터 시작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import sys
list_=sys.stdin.readline()
bomb=sys.stdin.readline().strip()
stack=[]
for w in list_:
stack.append(w)
tword="".join(stack[-len(bomb):])
if bomb==tword :
for _ in range(len(bomb)):
stack.pop()
if len(stack)==0:
print("FRULA")
else:
for i in stack:
print(i,end="")
오랜만에 튜플을 써서 새로웠고 -1이 인덱스값으로 맨 뒤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사실 원래 알고 있었지만 까먹고 있었던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