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산 횟수"를 의미하고 보통 최악의 경우의 연산 횟수인 빅오표기법을 많이 쓴다. 왜냐면 테스트 과정에서 최악 경우 테스트 케이스를 제공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가. 하나의 for문에서 빅 세타 표기법 시간 복잡도는 N/2 이다.
나. 코테에서는 빅오표기법(최악)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다. 파이썬은 1초에 2000만번의 연산
라. 시간복잡도는 상수 무시
예를들어 O(3N)이면 그냥 O(N)이라고 한다. 코테에서는 이를 무시한다고 한다.
마. 버블정렬 O(n ^2)이고 병합정렬은 (nlogn)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