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 문제 설명
ROR 게임은 두 팀으로 나누어서 진행하며, 상대 팀 진영을 먼저 파괴하면 이기는 게임입니다. 따라서, 각 팀은 상대 팀 진영에 최대한 빨리 도착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지금부터 당신은 한 팀의 팀원이 되어 게임을 진행하려고 합니다. 다음은 5 x 5 크기의 맵에, 당신의 캐릭터가 (행: 1, 열: 1) 위치에 있고, 상대 팀 진영은 (행: 5, 열: 5) 위치에 있는 경우의 예시입니다.

위 그림에서 검은색 부분은 벽으로 막혀있어 갈 수 없는 길이며, 흰색 부분은 갈 수 있는 길입니다. 캐릭터가 움직일 때는 동, 서, 남, 북 방향으로 한 칸씩 이동하며, 게임 맵을 벗어난 길은 갈 수 없습니다. 아래 예시는 캐릭터가 상대 팀 진영으로 가는 두 가지 방법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첫 번째 방법은 11개의 칸을 지나서 상대 팀 진영에 도착했습니다.
두 번째 방법은 15개의 칸을 지나서 상대팀 진영에 도착했습니다.
위 예시에서는 첫 번째 방법보다 더 빠르게 상대팀 진영에 도착하는 방법은 없으므로, 이 방법이 상대 팀 진영으로 가는 가장 빠른 방법입니다.
만약, 상대 팀이 자신의 팀 진영 주위에 벽을 세워두었다면 상대 팀 진영에 도착하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경우에 당신의 캐릭터는 상대 팀 진영에 도착할 수 없습니다.
게임 맵의 상태 map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캐릭터가 상대 팀 진영에 도착하기 위해서 지나가야 하는 칸의 개수의 최솟값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단, 상대 팀 진영에 도착할 수 없을 때는 -1을 return 해주세요.
나. 접근 방법
BFS를 사용하여 이동 거리를 누적시킨 후, 다음 이동 좌표에 이전 이동거리 +1 을 해서 최단거리를 갱신해나간다. 만약 원하는 지점에 도착할 경우 그 즉시, 탐색을 종료하고 원하는 지점에 갱신된 이동거리를 return한다.
다. 문제 유형
BFS 탐색
가. 큐에 초기 좌표 넣고, 방문 관련 정보 갱신
나. BFS 사용할 while문 진입
1. 좌표 하나 꺼내고
2. 상하좌우 이동 가능한 좌표 탐색하고
3. 탐색 후, 이동거리 갱신시켜 줌. 즉, 큐에 이동가능한 상하좌우 좌표 넣을 때, 그때 상하좌우 좌표 이동거리 값 갱신 (visited 에 갱신중)
4. 만약 n,m 좌표 탐색에 도달하면, 해당 갱신된 이동거리 값 return (이 과정을 통해 시간 단축 가능)
다. 도달하지 못한 경우 -1 return
도달하지 못했다는 것은 visited[n][m] 이 0인, 갱신되지 못한 것을 의미한다.
import java.util.*;
class Solution {
static int[] dx = new int[]{-1,1,0,0};
static int[] dy = new int[]{0,0,-1,1};
public int solution(int[][] maps) {
Queue<int[]> que = new LinkedList<>();
int[][] visited = new int[maps.length][];
for(int i=0; i<maps.length; i++){
visited[i] = new int[maps[0].length];
}
que.add(new int[]{0,0});
visited[0][0]=1;
while(!que.isEmpty()){
int[] pos = que.poll();
for(int i=0; i<4; i++){
int nx=dx[i]+pos[0];
int ny=dy[i]+pos[1];
if(nx>=0 && ny>=0 && nx<maps.length && ny<maps[0].length){
if(maps[nx][ny]==1 && visited[nx][ny] ==0){
if(nx==maps.length-1 && ny==maps[0].length-1){
return visited[pos[0]][pos[1]]+1;
}
visited[nx][ny]=visited[pos[0]][pos[1]]+1;
que.add(new int[]{nx,ny});
}
}
}
}
if(visited[maps.length-1][maps[0].length-1] == 0){
return -1;
}
else{
return visited[maps.length-1][maps[0].length-1];
}
}
}
가. visited 배열 초기화
나. 방문 체크 배열명 변경 추천
visited -> dist변경된 코드
import java.util.*;
class Solution {
static int[] dx = new int[]{-1,1,0,0};
static int[] dy = new int[]{0,0,-1,1};
public int solution(int[][] maps) {
Queue<int[]> que = new LinkedList<>();
int[][] dist = new int[maps.length][maps[0].length]; // 코드리뷰 (가, 나) 반영
que.add(new int[]{0,0});
dist[0][0]=1;
while(!que.isEmpty()){
int[] pos = que.poll();
for(int i=0; i<4; i++){
int nx=dx[i]+pos[0];
int ny=dy[i]+pos[1];
if(nx>=0 && ny>=0 && nx<maps.length && ny<maps[0].length){
if(maps[nx][ny]==1 && dist[nx][ny] ==0){
if(nx==maps.length-1 && ny==maps[0].length-1){
return dist[pos[0]][pos[1]]+1;
}
dist[nx][ny]=dist[pos[0]][pos[1]]+1;
que.add(new int[]{nx,ny});
}
}
}
}
if(dist[maps.length-1][maps[0].length-1] == 0){
return -1;
}
else{
return dist[maps.length-1][maps[0].length-1];
}
}
}
가. 개선 전

나. 개선 후

다. 결론
작게는 0.9ms 그리고 크게는 1.5ms 까지 단축
DFS로 최단거리를 구하려다가 시간초과가 나서 실패해서 BFS로 구하려 했었지만 "최단거리"를 구하는 법이 기억이 나지 않아 혼자 풀기에 실패한 문제이다. 과거에는 "최단거리를 구하는 방법"을 단순히 외워서 기억이 나지 않았던 것 같다.
이제는 상하좌우 좌표를 탐색할 때, 상하좌우 좌표 이동거리 값에 현재 이동거리 값 +1 을 해주는 방식으로 구한다는 것을 직접 구현하면서 이해하고 외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