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머스]실패율

비얌·2022년 4월 29일
0

알고리즘

목록 보기
12/17

프로그래머스 1단계 문제인 '실패율' 문제를 풀어보았다.

문제

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42889

문제 설명

슈퍼 게임 개발자 오렐리는 큰 고민에 빠졌다. 그녀가 만든 프랜즈 오천성이 대성공을 거뒀지만, 요즘 신규 사용자의 수가 급감한 것이다. 원인은 신규 사용자와 기존 사용자 사이에 스테이지 차이가 너무 큰 것이 문제였다.

이 문제를 어떻게 할까 고민 한 그녀는 동적으로 게임 시간을 늘려서 난이도를 조절하기로 했다. 역시 슈퍼 개발자라 대부분의 로직은 쉽게 구현했지만, 실패율을 구하는 부분에서 위기에 빠지고 말았다. 오렐리를 위해 실패율을 구하는 코드를 완성하라.

실패율은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스테이지에 도달했으나 아직 클리어하지 못한 플레이어의 수 / 스테이지에 도달한 플레이어 수 전체 스테이지의 개수 N, 게임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현재 멈춰있는 스테이지의 번호가 담긴 배열 stage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실패율이 높은 스테이지부터 내림차순으로 스테이지의 번호가 담겨있는 배열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하라.

제한 사항

  • 스테이지의 개수 N은 1 이상 500 이하의 자연수이다.
  • stages의 길이는 1 이상 200,000 이하이다.
  • stages에는 1 이상 N + 1 이하의 자연수가 담겨있다.
  • 각 자연수는 사용자가 현재 도전 중인 스테이지의 번호를 나타낸다.
  • 단, N + 1 은 마지막 스테이지(N 번째 스테이지) 까지 클리어 한 사용자를 나타낸다.
  • 만약 실패율이 같은 스테이지가 있다면 작은 번호의 스테이지가 먼저 오도록 하면 된다.
  • 스테이지에 도달한 유저가 없는 경우 해당 스테이지의 실패율은 0 으로 정의한다.

입출력 예


내 풀이

---> 틀림

stages에 0을 추가하고 정렬한 후 for문으로 stages를 돌며 인덱스 i-1과 i를 비교하여 같으면 나눈 값들끼리 더하고, 아니면 나눈 값을 그냥 두는 식으로 arr를 만들려고 했다.

하지만 여기서 문제점은 만약에 stage가 2면 2들을 같은 값으로 나누어야 하는데 for문을 돌며 분모가 계속 달라졌다. 그래서 틀린 것 같다.

N = 5
stages = [2, 1, 2, 6, 2, 4, 3, 3]

stages.append(0)
stages.sort()
print(stages) # [0, 1, 2, 2, 2, 3, 3, 4, 6]

arr = {}
for i in range(1, len(stages)):
  if stages[i] == stages[i-1]:
    arr[stages[i]] +=  1/(len(stages)-i)
  else:
    arr[stages[i]] =  1/(len(stages)-i)

print(arr)
arr = sorted(arr.items(), reverse=False)
print(arr)

다른 풀이

def solution(N, stages):
    result = {}
	# stage의 길이 = denominator(분모라는 뜻)
    denominator = len(stages)
	# 1부터 N까지 for문을 돌린다
    for stage in range(1, N+1):
		# stages에서 stage의 개수를 세어 count 변수에 저장한다.
		# 이부분을 몰라서 삽질을 했던 거였음
        count = stages.count(stage)
		# 1부터 N까지의 stage로 result[stage]를 만들고 = count / denominator라고 한다.
        result[stage] = count / denominator
		# denominator 에서 count를 빼서(분모를 사람수만큼 빼줘야 하기 때문)
        denominator -= count
	# reslult[x]를 기준으로 내림차순으로 정렬한다
    return sorted(result, key=lambda x : result[x], reverse=True)

새롭게 알게된 것

result = {}
result[0] = 3
result[4] = 7
print(result) # {0: 3, 4: 7}

# 딕셔너리의 value를 기준으로 정렬하기
print(sorted(result, key=lambda x : result[x], reverse=True)) # [4, 0]

딕셔너리[인덱스]를 해주면 딕셔너리 형태로 저장이 되는 것을 새롭게 알게 되었다. (그냥 {3, 7} 이렇게 저장될 줄 알았음 -> 딕셔너리에 익숙해지자!)

그래서 {0: 3, 4: 7}를 sorted(result, key=lambda x : result[x], reverse=True)해주면 딕셔너리 result의 value(키 말고)를 기준으로 정렬이 된다!

profile
🐹강화하고 싶은 기억을 기록하고 공유하자🐹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