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액트의 가상 DOM과 Fiber

Jane·2024년 5월 5일
5

FE_Study_Notes

목록 보기
3/5
post-thumbnail

리액트를 공부하면서 👥 리액트의 특징이 무엇인가요?라고 물어보면 🙋‍♀️ 가상 DOM을 사용하여 렌더링 성능을 향상시킵니다. 라고 대답해왔는데 막상 👥 가상 DOM을 어떻게 사용하는데요? 라는 질문을 받으면

🤔 ... 그러게요..?

정확히 답변을 할 수 없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러한 계기로 공식문서와 아티클들을 이것저것 찾아보면서 생각보다도 훨씬 깊고 심오한 리액트의 세계를 보게 되었고 이를 정리해보고자 이번 포스팅을 작성하게 되었다.

💡 DOM이란?

React 가상 DOM 관련 원문
ReactJS Virtual DOM

  • Document Object Model
  • 웹 페이지 또는 웹 앱에 표시되는 HTML 요소들의 구조화된 표현으로, 애플리케이션의 전체 UI를 나타낸다.
  • DOM은 트리 구조로 표현되며 웹 문서의 각각의 UI가 하나의 노드가 된다.
  • 웹 개발자들로 하여금 JavaScript를 통해 콘텐츠를 수정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구조화된 형식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특정 대상을 선택할 수 있고 모든 코드에 대한 작업을 더욱 수월하게 할 수 있어 유용하다.

🚨 실제 DOM의 단점

  • DOM이 업데이트 될 때마다 페이지의 UI를 업데이트하기 위해 업데이트 된 요소 뿐만 아니라 그 자식 요소들까지 다시 렌더링 되어야 한다.

  •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은 코드가 있다고 가정해보자.

// 간단한 getElementById() 메서드
document.getElementById('some-id').innerValue = '업데이트 된 값';
  • 이 코드로 인해 아래와 같은 상황이 발생한다.
    • 브라우저는 some-id라는 id를 가지는 노드를 찾기 위해 HTML을 파싱한다.
    • 특정 요소에서 자식 요소들을 제거한다.
    • DOM 요소를 '업데이트 된 값'으로 업데이트한다.
    • 부모, 자식 노드에 대한 CSS를 다시 계산한다.
    • 레이아웃을 업데이트한다.
    • 마지막으로, 트리를 가로지르며 화면(브라우저) 디스플레이에 이를 페인트한다.

파싱, 레이아웃, 페인팅 등 브라우저 렌더링 관련 용어가 궁금하다면?
MDN 공식문서: 브라우저는 어떻게 동작하는가

  • CSS를 다시 계산하고 레이아웃을 변경하는 것은 복잡한 알고리즘을 수반하고 이는 성능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 따라서 리액트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가상 DOM으로 알려진 새로운 접근을 시도했다.

💡 가상 DOM이란?

  • Virtual DOM(VDOM): UI의 이상적인 또는 가상 표현을 메모리에 저장하고 ReactDOM과 같은 라이브러리를 통해 실제 DOM과 동기화하는 프로그래밍 개념
  • 원본 DOM에 존재하는 모든 객체들이 리액트 가상 DOM에도 존재한다.
    • 이 객체들은 완전히 동일하지만 문서의 레이아웃을 직접 변경할 수는 없다.
  • DOM을 조작하는 것은 느리지만 가상 DOM을 조작하는 것은 빠르다. 이는 화면에 아무것도 그려지지 않기 때문인데, 이 때문에 애플리케이션의 상태에 변화가 있으면 가상 DOM은 실제 DOM보다 먼저 업데이트 된다.

🧐 가상 DOM은 무엇을 어떻게 빠르게 만들까?

  • 무언가 애플리케이션에 추가되면 가상 DOM이 생성되고 트리 구조로 나타내진다.
    • 각각의 요소들은 트리의 노드로 표현된다.
  • 가상 DOM 트리는 이전의 가상 DOM 트리와 비교되고, 변화를 기록한다. 그리고 나서 이것을 실제 DOM에 반영할 최적의 방법을 찾아낸다.
  • 이제 업데이트 된 요소들만 페이지에 다시 렌더링 된다.

🧐 가상 DOM은 리액트에게 어떤 식으로 도움이 될까?

  • 리액트에서 모든 것은 컴포넌트로 취급되고, 이는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 컴포넌트의 상태가 변경될 때마다 리액트는 가상 DOM 트리를 업데이트한다.
    • 가상 DOM을 업데이트하는 데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지 않아 비용이 그다지 많이 들지 않고, 비효율적이지 않다.
  • 리액트는 매번 두 개의 가상 DOM을 유지하는데, 하나는 업데이트 된 가상 DOM, 다른 하나는 업데이트 이전의 가상 DOM이다.
    • 두 가상 DOM을 비교해 정확히 DOM에서 무엇이 변경되었는지를 찾아낸다.
    • 아래에서 더 자세히 다루겠지만, 현재의 가상 DOM을 이전의 가상 DOM과 비교하는 이 과정을 diffing이라고 부른다.
    • 리액트는 무엇이 변경되었는지를 정확하게 찾아내어 실제 DOM에서 오직 이 객체들만 업데이트한다.
  • 리액트는 실제 DOM을 업데이트하기 위해 배치 업데이트를 사용한다.
    • 이는 컴포넌트 상태에 대한 모든 변화에 대한 업데이트를 전송하는 대신 실제 DOM에 대한 변경 사항이 배치로 전송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 UI의 리렌더링은 가장 비용이 많이 드는 부분이다.
    • 따라서 리액트는 UI를 리렌더링하기 위해 실제 DOM에 배치 업데이트가 적용되는 것을 보장함으로써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한다.
    • ➡️ 이 과정이 바로 재조정*(Reconciliation) 이다. (아래에서 더 자세히 다룰 예정)

✨ 가상 DOM에 대한 주요 개념

  • 가상 DOM은 실제 DOM을 가상으로 표현한 것이다.
  • 리액트는 가상 DOM의 상태 변경을 먼저 업데이트한 후 실제 DOM과 동기화한다.
  • 가상 DOM은 기계의 청사진과 같아서, 청사진을 변경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이것이 직접 기계에 반영되는 것과 동일하다.
  • 가상 DOM은 ReactDOM과 같은 라이브러리에 의해 "실제 DOM"과 동기화 된 가상의 UI 표현이 메모리에 유지되는 프로그래밍 개념으로, 이 과정을 재조정(Reconciliation) 이라고 부른다.
  • 가상 DOM은 성능을 더 빠르게 만든다. 하지만 이것은 처리 자체의 시간이 짧아지기 때문은 아니고, 정보의 양이 변경되었기 때문이다. 가상 DOM을 통해 전체 페이지를 업데이트하는 데 시간을 낭비하지 않고 작은 요소와 상호작용으로 세분화할 수 있다.

💫 가상 DOM과 실제 DOM의 차이점

가상 DOM실제 DOM
원본 DOM의 경량 복사본HTML 요소들을 트리 구조로 표현한 것
JavaScript 라이브러리에 의해 유지관리된다.HTML 요소들을 파싱한 이후 브라우저에 의해 유지관리된다.
조작 후 변경된 요소들만 리렌더링한다.조작 후 전체 DOM을 리렌더링한다.
가벼운 업데이트무거운 업데이트
빠른 성능과 최적화된 UX느린 성능과 품질이 떨어지는 UX
배치 업데이트를 수행하여 매우 효율적이다.각각의 업데이트 이후 DOM을 리렌더링하여 덜 효율적이다.

재조정 관련 React 공식 문서
Reconciliation

💡 재조정(Reconciliation)이란?

  • 리액트가 브라우저 DOM을 업데이트하는 과정으로, 리액트에서의 DOM 업데이트가 더 빨라지게 한다.
  • 가상 DOM을 먼저 업데이트 한 뒤 diffing 알고리즘을 통해 실제 DOM에 대해 효율적이고 최적화된 업데이트를 수행한다.

✨ 가상 DOM과 재조정

  1. 리액트는 브라우저 DOM에 JSX 컴포넌트를 렌더링하지만 실제 DOM의 복사본가상 DOM은 자체적으로 보관한다.
  2. 우리가 데이터를 변경하거나 추가할 때, 리액트는 새로운 가상 DOM을 생성하고 이전의 것과 비교한다.
  3. 비교는 Diffing 알고리즘에 의해 수행된다. 이때 모든 비교는 메모리에서 수행되며 브라우저는 아직 아무것도 변경되지 않는다.
  4. 비교가 끝나면 리액트는 변경 사항이 포함된 새로운 가상 DOM을 생성한다. 이때 1초에 최대 200,000개의 가상 DOM 노드를 생성할 수 있다.
  5. 이후 전체 DOM을 다시 렌더링하는 것이 아니라 가능한 최소한의 변경 사항으로 브라우저 DOM을 업데이트한다. (아래 사진 참조) 이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의 효율성이 엄청나게 향상된다.

  • 가상 DOM이 이전 구조와 새 구조를 비교하여 변경 사항이 없다면 브라우저에 아무것도 렌더링되지 않는다. ➡️ 이러한 방식으로 가상 DOM은 브라우저 성능 향상에 도움을 주는 것!

  • 재조정에 관해서는 리액트 공식 문서에도 잘 정리되어 있으니 추가로 확인해봐도 좋을 것 같다.

💫 재조정 vs. 렌더링

  • DOM은 리엑트가 렌더링할 수 있는 렌더링 환경 중 하나이다. React Native를 통한 네이티브 iOS, Android 뷰 또한 그 대상이 될 수 있다. (이것이 "가상 DOM"이 살작 잘못된 명칭인 이유이다.)
  • 이렇게 여러 종류를 지원할 수 있는 이유는 리액트가 재조정과 렌더링을 별도의 단계로 설계했기 때문이다.
    • 리액트 Reconciler는 트리의 어떤 부분이 변경되었는지 계산하는 작업을 한다.
    • 리액트 Renderer는 이후 해당 정보를 사용하여 실제로 렌더링 된 앱을 업데이트한다.
  • 이 분리는 다시 말해 리액트 DOM과 리액트 네이티브가 리액트 코어에서 제공하는 동일한 Reconciler를 사용하면서 별도로 그들만의 Renderer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 아래에서 다루게 될 리액트 Fiber에서는 이 Reconciler를 다시 구현한다.
    • 이는 렌더링과는 원론적으로 관련이 없지만, Renderer는 새로운 아키텍쳐를 지원(및 활용)하기 위해 변경되어야 한다.

💡 Diffing 알고리즘이란?

Diffing 알고리즘 관련 원문
What is Diffing Algorithm?

🧐 리액트에서의 Diffing 알고리즘이란?

  • Differences Algorithm의 줄임말
  • DOM 트리를 효율적으로 비교하여 업데이트하기 위해 사용된다.
  • 리액트는 Diffing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변경이 이루어진 후 새로 생성 된 가상 DOM과 이전 버전과의 차이점을 식별한다.

🧐 Diffing 알고리즘은 어떻게 동작할까?

  1. 웹페이지에 콘텐츠가 렌더링되고 DOM 트리가 생성된다.
  2. 사용자 상호작용 또는 API에서 전달된 데이터의 변경으로 콘텐츠에 변화가 생기면 리액트는 관측 가능한 패턴에 따라 작동한다. 따라서 상태에 변화가 생기면 가상 DOM의 노드를 업데이트한다.
  3. 재조정 과정에서 이전 트리는 가장 최근의 버전과 비교되고 업데이트가 필요한 변경 사항의 개수를 판별한다.
  4. 변경사항을 결정한 후에 실제 DOM에서 구현할 수 있도록 최적화된 최소한의 명령어 집합이 생성된다.
  5. 이러한 변경사항들이 구현된 후 변경된 콘텐츠들만 웹 페이지에서 리렌더링 된다.

🤓 Diffing 알고리즘에 대한 추정

  • 리액트는 아래의 가정에 기반하여 Diffing 알고리즘이라는 휴리스틱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 다른 타입의 요소들은 다른 트리를 생성한다.
    • 우리는 어떤 요소가 정적이고 확인할 필요가 없는지 설정할 수 있다.
    • 너비 우선 탐색 (BFS) 이 적용된다. 이는 깊이 우선 탐색으로 접근할 경우 변경된 노드에 대해 전체 하위 트리를 리렌더링 하게 되어 최적화된 방식이 아니기 때문이다.
    • 동일한 타입의 두 요소를 비교할 때, 기본 노드를 동일하게 유지하고 속성이나 스타일 같은 변경 사항만 업데이트한다.
    • React는 이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O(N)의 시간 복잡도로 차이 계산을 최적화한다.
  • 리액트는 루트 요소에서만 변경 사항을 확인하고, 업데이트는 루트 요소의 유형에 따라 달라진다.
    • 다른 타입의 요소: 루트에서 요소의 유형이 변경될 때마다 리액트는 이전 트리를 폐기하고 새로운 트리를 빌드한다.
    • 동일한 타입의 요소: 변경된 요소의 타입이 같다면 리액트는 각각의 버전의 속성을 확인하고 트리의 변경 없이 변경이 있는 노드만 업데이트한다. 컴포넌트는 다음 라이프사이클 호출 시에 업데이트 된다.

참고

  • 이것이 우리가 각 요소들에 고유한 키를 사용해야 하는 이유이다.
  • 이를 통해 리액트는 요소의 변경 사항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 Diffing 알고리즘의 장점

  • 효율적인 업데이트를 가능하게 하고 변경 사항을 반영하기 위해 필요한 작업을 줄여준다.
  • 필요한 컴포넌트 / 노드들만 업데이트하여 성능을 향상시킨다.
  • 불필요한 리렌더링을 줄임으로써 변경 사항 발생 시 더 빠르게 대응할 수 있다.

💡 리액트 Scheduling

Scheduling
: 작업을 언제 수행해야 하는지 결정하는 프로세스

Work
: 수행해야 하는 모든 계산. 일반적으로 업데이트(예: setState)의 결과에 해당한다.

✨ Stack Reconciler

  • JavaScript의 실행 컨텍스트는 함수가 호출되면 콜 스택에 쌓이게 된다.
  • 이때 Stack Reconciler는 아래와 같은 과정을 거쳐 리렌더링을 처리한다.
    1. 모든 DOM 트리 상단에서부터 재귀 형식으로 컴포넌트를 만날 때마다 .render( ) 호출
    2. 트리의 변경 사항, 업데이트가 필요한 컴포넌트를 확인하고 해당 컴포넌트 자식들의 업데이트 필요 여부 확인
    3. 각각의 컴포넌트 업데이트
  • 1번에서 중요한 것은 순서이다.
    • 순차적으로 만나는 컴포넌트들을 스택에 담아두고 .render( )을 호출한다. ➡️ Stack(FIFO)

🚨 Stack Reconciler의 문제점

  • UI에서는 모든 업데이트를 즉시 적용하지 않아도 된다.
    • 변경사항이 발생할 때마다 업데이트를 반영하는 것은 리소스 낭비여서 프레임 드랍이 발생할 수 있고, 이는 곧 사용자 경험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
  • 다른 타입의 업데이트는 다른 우선순위를 가진다.
    • 예를 들어 애니메이션 업데이트의 경우 데이터 저장소의 업데이트보다 더 빨리 완료되어야 한다.
  • push 기반 접근 방식에서는 앱(프로그래머)가 이 스케쥴이 어떻게 동작하는지를 결정해야 한다.
    • 반면 pull 기반 접근의 경우 프레임워크(리액트)가 현명하게 이런 결정을 대신 해주는 것을 허용한다.

🧐 프레임 드랍은 어떤 문제가 있을까?

  • 일반적인 모니터는 초당 60FPS 정도로 화면을 재생한다.
    • 1/60(16.67)ms 간격으로 새 프레임이 나타난다.
    • ⚠️ 만약 리액트가 16ms보다 빠르게 리렌더를 하지 않으면 사용자는 버벅거리는 화면을 보게될 수 있다.
  • 단순 텍스트가 아닌 애니메이션의 경우 재조정 알고리즘의 업데이트가 있을 떄마다 리액트 내 트리를 모두 순회하고 렌더링을 하는 데 16ms 이상의 시간이 소요된다면 프레임이 드랍되고 사용자는 버벅거리는 애니메이션을 보게 된다.
👩‍🏫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React Fiber Reconcilation 알고리즘이 탄생했습니다! 

💡 Fiber

React Fiber 관련 공식 문서
React Fiber Architecture

  • 개발자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낮은 수준의 추상화이다.
  • 리액트 팀에서 스케줄링의 이점을 취할 수 있도록 설정한 리액트 Fiber의 핵심 목표는 아래와 같다.
    1. 작업을 멈춘 후 나중에 다시 돌아온다.
    2. 각 작업들의 타입 마다 우선순위를 부여한다.
    3. 이전에 완료된 작업을 다시 사용한다.
    4. 더이상 필요로 하지 않는 작업의 경우 중단한다.

🤠 Fiber는 작업의 단위입니다!

  • 위의 목표 작업들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작업을 단위로 세분화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 ➡️ 이것이 바로 FIBER!

더 자세한 이해를 위해 데이터의 함수로서의 리액트 컴포넌트의 개념을 더 자세히 알아보자.

v = f(d)
  • 리액트 앱을 렌더링하는 것은 내부에 다른 함수를 호출하는 로직을 포함하는 것과 비슷하다.
  • 컴퓨터가 일반적으로 프로그램의 실행을 추적하는 방식은 콜스택을 사용하는 것이다.
    • 함수가 실행되면 콜 스택에 새로운 스택 프레임이 추가된다.
    • 스택 프레임: 스택 영역에 차례대로 저장되는 함수의 호출 정보. 해당 함수가 수행한 작업을 나타낸다.
  • UI를 다룰 때 한 번에 너무 많은 작업을 실행하면 애니메이션이 버벅거릴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 또한 최신 업데이트로 인해 일부 작업이 불필요해질 수도 있다.
  • 최신 브라우저(와 React Native)는 이 문제를 해결할 때 도움이 되는 API를 구현한다.
    • requestIdleCallback: 쉬고 있는 기간에 낮은 우선순위의 함수가 호출되도록 예약한다.
    • requestAnimationFrame: 다음 애니메이션 프레임에 높은 우선순위의 함수가 호출되도록 예약한다.
    • ⚠️ 이러한 API를 사용하려면 렌더링 작업을 점진적 단위로 분할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 콜 스택에만 의존할 경우 스택이 비워질 때까지 계속 작업이 수행되기 때문이다.

🤔 UI 렌더링을 최적화할 수 있게 콜 스택을 임의로 중단하고 스택 프레임을 수동으로 조작 가능하게 커스터마이징할 수 없을까?

🤠 이러한 이유로 FIber가 탄생했습니다!

  • Fiber는 React16에서 스택을 재구현한 것으로 리액트 컴포넌트에 특화되어 있다.
  • 하나의 Fiber를 하나의 가상 스택 프레임으로 생각하면 된다.
  • 스택을 재구성하여 스택 프레임을 메모리에 보관하고 언제든 원할 때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 ➡️ 리액트 스케줄링의 목표 달성에 용이하다.
  • 그 외에도 스택 프레임을 수동으로 처리하면 동시성에러 바운더리 등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된다.

🛠️ Fiber의 구조

  • Fiber란 컴포넌트, 입력, 출력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JavaScript 객체이다.
  • Fiber은 스택 프레임이자 컴포넌트의 인스턴스이다.

✨ Fiber의 주요 필드

typekey

  • 리액트 요소에서 사용될 때와 동일한 용도로 사용된다.
    • 리액트 요소에서 Fiber가 생성될 때 실제로 두 필드가 직접 복사된다.
  • type
    • Fiber가 해당하는 컴포넌트를 설명한다.
    • 복합 컴포넌트: 함수, 클래스 컴포넌트 자체
    • 호스트 컴포넌트 (div, span 등): 문자열
    • type이란 스택 프레임이 실행을 추적하는 함수(v = f(d)에서처럼)이다.
  • key
    • 재조정 기간 동안 Fiber가 재사용될 수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사용된다.

childsibling

  • 다른 Fiber를 나타내며, Fiber의 재귀적 트리 구조를 설명한다.
  • child Fiber는 컴포넌트의 render( ) 메서드가 반환한 값에 해당한다.
     function Parent( ){
       return <Child/>
     }
  • sibling은 Fiber의 새로운 기능으로, render( ) 메서드가 여러 자식을 반환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function Parent( ){
       return [<Child1/>, <Child2/>]
     }
    • 이 예제에서 <Child1/>child, <Child2/>sibling에 해당한다.
    • 이는 child Fiber가 단일 연결 목록을 형성하기 때문이다.

return

  • return Fiber는 프로그램이 현재 Fiber를 처리한 후 반환해야 하는 Fiber이다. 개념적으로는 스택 프레임의 주소와 동일하며, 부모 Fiber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 만약 Fiber이 다수의 자식 Fiber를 가지고 있다면 각각의 자식 Fiber들은 부모 Fiber를 반환할 것이다.
     function Parent( ){
       return [<Child1/>, <Child2/>]
     }
    • ➡️ 이 예제에서 <Child1/><Child2/>return Fiber는 Parent이다.

pendingPropsmemoizedProps

  • 여기서 props는 개념상 함수의 인자이다.
  • Fiber의 pendingProps는 함수 실행 초반에 설정되고 memoizedProps는 끝에 설정된다.
  • 들어온 pendingPropsmemoizedProps와 동일하다면 Fiber의 이전 산출물이 재사용되었음을 알려주어 불필요한 작업을 방지하게 한다.

pendingWorkPriority

  • Fiber가 나타내는 작업의 우선순위를 보여주는 숫자
  • ReactPriorityLevel 모듈이 다양한 우선 순위 수준과 그들이 나타내는 내용들을 나열한다.
  • 0을 의미하는 NoWork를 제외하면 숫자가 클수록 낮은 우선순위를 의미한다.
    // Fiber의 우선순위가 지정된 수준보다 높은지 확인하는 함수
    // ⚠️ 실제 React 코드 베이스에 포함되는 함수는 아니다!
    function matchesPriority(fiber, priority) {
      return fiber.pendingWorkPriority !== 0 && fiber.pendingWorkPriority <= priority
    }
  • 리액트 스케쥴러는 우선순위 필드를 통해 수행할 다음 작업 단위를 탐색한다.

alternate

  • 컴포넌트 인스턴스는 최대 두 개의 Fiber를 가진다.
    |flush|work-in-progress|
    |:--:|:--:|
    |해당 출력을 화면에 렌더링한다.|아직 완료되지 않은 Fiber
    (아직 반환되지 않은 스택 프레임)|
  • 현재 Fiber와 work-in-progress는 서로 대체된다.
    • Fiber의 대체물은 cloneFiber 함수를 사용해 게으르게 생성된다.
    • 매번 새로운 객체를 생성하는 대신 cloneFiber는 대체물이 이미 존재하는 경우 이를 재사용함으로써 할당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한다.

output

  • 개념적으로 Fiber의 출력은 함수의 반환값이다.

    host component
    - 리액트 애플리케이션의 리프 노드(자식 노드가 없는 노드)
    - 브라우저 앱의 div, span과 같은 렌더링 환경에 특화되어 있다.
    - JSX에서는 소문자 태그명을 사용해 표시된다.
  • 모든 Fiber은 궁극적으로 출력이 있지만, 이는 host component에 의해 리프 노드에서만 생성된다.

    • ➡️ 이후 출력은 트리 위로 전송된다.
  • 출력은 최종적으로 렌더러에게 전달되어 렌더링 환경에서 변화를 flush할 수 있게 한다.

    • 출력이 어떻게 생성되고 업데이트되는지를 정의하는 것은 렌더러의 책임이다.
    • 렌더러: 리액트에서 가상 DOM을 실제 DOM으로 변환하고 업데이트를 처리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브라우저나 모바일 디바이스에 렌더링하는 모듈이나 라이브러리

🔎 References

profile
An investment in knowledge pays the best interest🙃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