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비트를 하나의 전구 라고 생각하자.
전구의 상태는 ON,OFF 두가지만 존재한다
ON = 1 , OFF = 0 으로 가정하면 1비트(전구 하나)를 통해 표현할수
있는 경우의 수는 2가지 이다
용량이 아닌 표현의 최소 단위이다
4비트 전구가 4개인 상태를 살펴보자
다음과 같은 4개의 전구를 통해 특정한 2진수를 만들었다
2진수 0101을 10진수로 바꾸기 이전에 10진수에 수의 표현 방식을 살펴보자
1비트는 용량의 최소단위로 사용된다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진법은 10진법이다
예를 들어 1232라는 숫자를 통해 10진법을 알아보자
1232는 크게 천의자리,백의자리 십의자리 ,일의 자리로 나뉜다
이것을 수식으로 표현하면
2진수도 똑같이 각각의 자리수에 값을 곱해서 더하는 방식으로 10진수로 변환할 수 있다
그림1 에서 나온 0101을 10진수로 바꿔보자
1바이트는 8개의 비트의 묶음이다
1byte = 8bit
그렇기에 1바이트는 2^8 = 256가지의 경우를 가진다
1바이트는 영문 1글자를 저장할수 있는 메모리 크기이다
(한글은 1글자에 2바이트가 필요한데 한글과 영문의 글자수가 다르기떄문)
1GB(기가 바이트)는 2^30바이트 이다
또한 단위 체계가 2^10을 기준으로 분류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