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ml 태그

hanahana·2022년 7월 29일
0
post-thumbnail

일주일만의 갱신이다

지난주에 식중독에 걸려 일주일간 침대에서 거의 못일어났다

매일 한개 이상 깃허브 커밋하기라는 목표를 세우고 있었는데 건강에 이상이 오니 일주일가까이 지킬수 없어서 너무 속상하지만 할수없지 지금이라도 다시 시작할수밖에…

html태그는 약 130개 정도가 존재하고 25개정도 사용되고 있다고 한다

많이 사용되는 기초적인 태그 위주로 강의를 수강하였다.

제목과 단락요소

실행결과 : https://hana78786.github.io/Study_hana/bostcourse_htmlcss/2.html

h1~h6태그

블로그 내에서도 표기할수있는 제목태그이다.

탭 상단에 제목을 표기하는 title과는 다르게 굵기와 간격으로 제목을 표기하고 문서안에서도 태그를 기준으로 제목의 중요도를 파악한다.

p태그

단락을 표현하는 p태그는 문단을 단락으로 나눠주고 문서내에서도 p태그를 기준으로 단락을 파악한다

문단을 시작할때도

닫을때

를 써 단락을 구분해준다.

BR태그

문장을 한줄 띄워주는 태그로 닫는 태그가 필요없다
또는
이라 표기한다

문장을 꾸며주는 태그

실행결과 : https://hana78786.github.io/Study_hana/bostcourse_htmlcss/2-1.html

  • <b> : bold 태그는 글자를 굵게 표현하는 태그입니다.
  • <i> : italic 태그는 글자를 기울여서 표현하는 태그입니다.
    -<u>: underline 태그는 글자의 밑줄을 표현하는 태그입니다.
  • <s> : strike 태그는 글자의 중간선을 표현하는 태그입니다. (예전에 존재했던 strike 태그와는 다른 태그로, strike 태그는 폐기되어 더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외에도 html공식 설명서에 따르면 다양한 태그가 있으니 확인해보는게 좋다

각 태그를 눌러보면 사용했을때의 예시또한 나와있다

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Web/HTML/Element#인라인텍스트시멘틱

앵커요소

앵커는 페이지를 이동시켜준다

<a href="http://www.naver.com/" target="_blank">네이버</a>
  • href는 이동할 주소를 입력받는다
  • target은 이동할 리소스를 어디에 표현할지 입력받는다
    • _self : 현재 화면에서 표시, 기본값
    • _blank : 새로운 탭으로 이동
    • _parent : 특정조건에서만 발생 현재는 잘 사용하지 않는다
    • _top : 특정조건에서만 발생 현재는 잘 사용하지 않는다

의미가 없는 컨테이너 요소

은 아무 의미없이 태그와 문서 내용을 감싸주기 위해 사용하는 태그이다
  • div는 블록형식으로 선택된 요소 내용전체를 감싸는 태그이다
  • 은 라인형식으로 선택된 요소를 각각 감싸는 태그이다

리스트

실행결과 : https://hana78786.github.io/Study_hana/bostcourse_htmlcss/2-2.html

ui

순서가 없는 리스트를 작성할때 를 사용한다

<ui>
			<li> 오렌지
			<li>사과
			<li>포도
</ui>

이런식으로 ui태그안에 li 태그를 감싸 사용한다

출력결과는

  • 오렌지
  • 사과
  • 포도

이다

ol

순사가 있는 리스트를 사용할때는

    태그를 사용한다

    <ol>
          <li>오렌지</li>
          <li>사과</li>
         <li>포도</li>
    </ol>

    ol태그 안에 li태그를 감싸 사용한다

    출력결과는

    1. 오렌지
    2. 사과
    3. 포도

    이다

    dl

    태그는 용어를 정의 : 해설 하는 형태로 표현되는 리스트이다

    정의 할때는

    단어

    해설은

    해설로 표현한다

    <dl>
              <dt>과일은</dt>
              <dd>
                오렌지 포도 사과가 있다 </dd>
                <dt>색깔은</dt>
                <dd>각각 주황 보라 빨강이다</dd>
    </dl>

    출력결과는

    과일은

    오렌지 포도 사과가 있다

    색깔은

    각각 주황 보라 빨강이다

    로 나오게된다.

    img태그

    실행결과 : https://hana78786.github.io/Study_hana/bostcourse_htmlcss/2-3.html

    img태그는 <img src="" alt="" width="" hight=""> 로 구성된다

    • src안에는 이미지의 값
    • alt에는 간단한 이미지의 설명 (시각장애인을 위한 설명)
    • width는 가로값 hight는 세로 값을 입력하면 된다
    • 이미지 값의 경우 가로값, 세로값을 하나만 입력하면 그 값을 기준으로 이미지의 크기를 조절하게 되고

    두가지 값을 모두 입력하면 그 값으로 크기를 조절한다

    절대경로 상대경로

    경로에는 절대경로와 상대 경로가 있다

    ./ → 현제 페이지가 있는 폴더

    ../ → 상위 폴더

    ../../→상위의 상위 폴드

    폴더명/이미지명 → 하위폴더에 갈시에는 하위폴더의 폴더위치를 입력

    절대경로의 경우에는 정확한 이미지의 위치를 입력해야 한다

    table 태그

    표 태그는 셀로 만들어져있다

    실행결과 : https://hana78786.github.io/Study_hana/bostcourse_htmlcss/2-4.html

    • <td>,<th>:데이터 셀
    • <tr> : 행
    • <table> : 표

    표 만들기

    <table>
        <tr>
          <td></td><td></td><td></td><td></td>
        </tr>
        <tr>
          <td></td><td></td><td></td><td></td>
        </tr>
        <tr>
          <td></td><td></td><td></td><td></td>
        </tr>
        <tr>
          <td></td><td></td><td></td><td></td>
        </tr>
        </table>

    먼저 <table> 태그로 감싸고 그 안에

    <tr>태그를 입력하여 한 줄을 만든다

    <tr>태그 안에 입력한 <td> 태그만큼 셀이 생긴다

    위에 입력한 태그대로 표를 만들면 행 4개 열 4개의 표가 생긴다

    테이블의 구조

    • : 표의 제목
    • : 제목 행을 그룹 - 제목 행에서는 td태그를 쓰지 않고 th태그를 써서 첫 행을 구성한다. 자료의 기준이 되기 때문이다
    • : 본문 행을 그룹
    • : 바닥행을 그룹

    위 태그들은 표의 구조를 제목/본문/바닥 으로 구분하여 자료를 출력하거나 색인하기 쉽도록한다.

    각각의 구조를 만든 뒤 구조 안에 똑같이 표의 셀을 태그로 입력해주면 표가 완성된다.

    <table>
          <caption>Monthly Savings</caption> <!--제목이 출력된다-->
          <thead>
            <tr>
              <th>Monthly</th><th>Savings</th> <!--기준이 되는 첫째줄-->
            </tr>
          </thead>
          <tbody> <!--본문 태그-->
            <tr>
              <td> January</td><td>$100</td> <!--내용이 두줄이기에 tr태그가 2개 입력되었다 -->
            </tr>
            <tr>
              <td>Febrary</td><td>$80</td>
            </tr>
          </tbody>
          <tfoot> <!--마지막 줄 내용을 정리하는 부분이 들어간다-->
            <tr>
              <td>Sum</td><td>$180</td>
            </tr>
          </tfoot>
        </table>

    출력값

    Monthly Saving

    MonthlySaving
    January$100
    Febrary$80
    Sum$180

    셀의 병합

    • colspan : 셀을 가로방향으로 병합
    • rowspan : 셀을 세로방향으로 병합
    <table>
          <caption>Monthly Savings</caption>
          <thead>
            <tr>
              <th>Monthly</th><th>Savings</th>
            </tr>
          </thead>
          <tbody>
            <tr>
              <td> January</td><td>$100</td>
            </tr>
            <tr>
              <td>Febrary</td><td rowspan="2">$80</td> <!--아래 셀 2개를 병합한다-->
            </tr>
            <tr>
              <td>March</td>
            </tr>
          </tbody>
          <tfoot>
            <tr>
              <td colspan="2">Sum</td> <!--오른쪽 셀 2개를 병합한다-->
            </tr>
          </tfoot>
        </table>

    출력값

    form

    form의 활용법에 대해 알아보자

    input

    text

    text 박스를 활용하는 방법이다. 이 input박스를 활용하면 텍스트를 입력할수있다

    <input type="text”>로 입력한다

    password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으로 입력하면 입력값이 숨겨진다

    <input type="password”>로 입력된다.

    radio

    여러개의 선택지 중 단 한개의 값만을 선택할수있는 input타입이다

    <input type="radio”> 를 입력하면 된다 다만 묶어야할 그룹값을 동일하게 선언해야 한가지만 선택이 가능함으로

    <input type="radio" name="그룹값”> 반드시 name에 동일 그룹값을 선언해야한다.

    Checkbox

    중복으로 선택할수 있는 타입이다

    <input type="checkbox”>를 입력하면 된다, 이 경우에도 중복선택을 원하는 그룹값을 동일하게 해야 하기때문에 name에 그룹값을 선언해야 한다

    <input type="checkbox" name="그룹값">

    placeholder

    입력값을 입력하기 전에 기본적으로 보여지는 값이다

    실제 값을 입력하면 사라진다

    태그 안에 <input type="text" placeholder="입력값"> 이렇게 선언해주면 입력값이 보이게 된다

    checked

    기본적으로 체크될수 있게 하는 값이 태그 안에 이 값을 넣으면 기본값으로 체크된다

    <input type="radio" name="gender" value="" checked> 이렇게 마지막에 입력시키기만 하면된다.

    활용법

    <h1>Form 관련 요소</h1>
      아이디 :  <input type="text" name="" value="" placeholder="영문으로만 써주세요">
    <!--placeholder를 입력해두었다-->
      <br>
      비밀번호 : <input type="password" name="" value="" placeholder="">
    <!--인풋타입이 password이기때문에 입력값이 가려진다-->
      <br>
    성별 : 남성 <input type="radio" name="gender" value="" checked> 
    <!--checked가 들어가있기때문에 남성이 기본 체크값이 된다-->
    여성 <input type="radio" name="gender" value=""> 
    기타 <input type="radio" name="gender" value=""><br>
    
    취미 : 영화감상<input type="checkbox" name="hobby" value=""> 
    음악감상<input type="checkbox" name="hobby" value=""> 
    독서<input type="checkbox" name="hobby" value="">

    출력값

    • 출력값이 보기 좋게 하기위해 체크박스와 비밀번호는 일부러 입력했다 초기 상태에는 입력되어있지 않다.

    botton

    다양한 버튼타입에 대해 알아보자

    submit

    데이터를 서버에 제출해주는 버튼이다

    <input type="submit" name="" value="이름값">

    벨류안에 이름값을 적어주면 버튼 위에 그 이름이 출력된다.

    File

    파일을 불러오는 버튼이다

    <input type="file”> 그림이나 문서 파일등을 서버에 업로드 할때 사용한다.

    Button

    일반적인 버튼이다, 특별한 값을 입력해주지 않을시에는 버튼의 형태 외에는 기능이 없다.

    <input type="button" name="" value="이름">

    마찬가지로 벨류값이 이름을 적어줘야 버튼위에 이름이 출력된다

    Reset

    지금까지 입력한 값을 초기화 시키는 버튼이다.

    문서안에 있는 모든 입력값을 초기화시킨다.

    <input type="reset" name="" value="이름"> 밸류값을 입력해야 버튼에 이름이 나타난다.

    Image

    이미지로 버튼을 만든다. 그 외에는 Button과 다를것이 없다.

    <input type="image" src="이미지주소" width="출력할 이미지크기" height="" alt="설명글">

    활용법

    사진등록 : <input type="file" name="" value=""><br>
    <input type="submit" name="" value="전송"> <input type="reset" name="" value="취소">
    <input type="button" name="" value="등록"><br>
    <!--벨류값에 출력될 버튼의 이름을 지정하였다-->
    <input type="image" src="./button.png" width="100px" height="" alt="다운로드" name="" value="">

    출력값

    Select

    select는 여러개의 목록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값이다

    그 안에 option태그를 넣어 목록을 생선한다 option태그 안에 selected값을 넣으면 기본 선택값이 된다.

    <select>
      <option>선택1</option>
      <option>2</option>
      <option>3</option>
      <option selected>4</option>
    </select>

    Textarea

    textarea는 긴 문장을 입력하여 전송할수 있는 텍스트 칸이다.

    text에 비해 많은 문장을 전송하는것이 가능하다

    <textarea name="이름값" rows="표시할 텍스트창의 줄의 길이" cols="한줄에 입력가능한 글자의 길이" placeholder="입력전 기본출력값"></textarea>

    rows와 cols를 사용하여 텍스트칸의 길이를 조절할수있다.

    입력한 칸의 길이보다 더 입력이 가능하다

    Button

    button의 값은 input의 버튼과는 다르게 작동된다

    input은 html안에 있는 버튼의 형식을 빌려오지만 button은 작동은 비슷하게 되나 다른 여러가지 모양으로 출력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button type="submit" name="button">전송</button>

    같은 submit버튼이라도 Button태그는 닫힘 태그안에 버튼에 출력할 값을 입력하여 그대로 출력되게 한다

    활용법

    주소 : <select>
      <option>경기</option>
      <option>서울</option>
      <option>강원</option>
      <option selected>제주</option> <!--이 값이 기본선택된다-->
    </select>  <br><br>
    자기소개 : <textarea name="int" rows="8" cols="80" placeholder="자기소개는 짧게 해주세요"></textarea>
    <!--textarea의 크기는 줄은 8줄이며 한 줄에 80자를 입력할수있는 크기이다 입력전 기본값이 출력된다-->
    <br>
    <button type="submit" name="button">전송</button>
    <button type="reset" name="button">초기화</button>
    <!--전송과 초기화 버튼은 input태그와 기능이 동일하지만 버튼 태그 안에 값으로 형태가 출력된다-->

    출력값

    Label

    라벨요소는 선택하는 체크박스나 텍스트 박스를 그 앞에 소개 하는 값과 연동시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라디오박스로 체크하는 성별의 경우

    성별 : <label for="male">남성</label> <!--남성의 lable값을 male로 지정하였다-->
    <input type="radio" id="male" name="gender" value="" checked>
    <!--라디오박스의 id값을 동일하게 적용하였다-->
     <label for="female">여성</label>
    <input type="radio" name="gender" id="female" value="">
     <label for="other">기타</label>
    <input type="radio" name="gender" id="other" value="">

    라벨값을 <label for="id값">으로 지정한 뒤 그 뒤에 오는 값의 id를 동일하게 하면

    라벨로 지정한 값만 선택하여도 그 뒤에 체크박스, 텍스트 박스 ,라디오 박스의 값이 선택된다

    Filedset/Legend

    이 태그는 폼의 값을 구분지어주는 태그이다.

    사용법은 그다지 어렵지 않지만 설명하기가 복잡해 전체 태그를 사용하여 출력하는 값을 보여둘까 한다.

    반드시

     <fieldset>
    <legend>필드의 이름</legend>
    내용요소
    </fieldset>

    으로 필드셋(부모태그) 안에 레젠드(자식태그)를 입력해야 한다.

    <h1>Form 관련 요소</h1>
        <fieldset> <!--필드셋 태그를 시작한다-->
    
        <legend>필수정보</legend> <!--필드셋태그안에 레젠드 태그를 넣어준다-->
    
      <label for="userid">아이디 : </label> <input type="text" id="userid" value="" placeholder="영문으로만 써주세요">
      <br>
      <label for="pass">비밀번호 :</label> <input type="password" id="pass" value="" placeholder="">
      <br>
    성별 : <label for="male">남성</label><input type="radio" id="male" name="gender" value="" checked> <label for="female">여성</label><input type="radio" name="gender" id="female" value=""> <label for="other">기타</label><input type="radio" name="gender" id="other" value=""><br>
     
     </fieldset>
    <!--필드셋 태그를 종료한다-->
    
    <fieldset> 
    <!--필드셋 태그를 시작한다 위와는 다른 필드이다-->
      <legend>부가정보</legend> <!--레젠드 태그로 필드의 이름을 선언한다-->
    
    취미 : <label for="movie">영화감상</label><input type="checkbox" name="hobby"id="movie" value=""> <label for="music">음악감상</label><input type="checkbox" id="music" name="hobby" value=""> <label for="book">독서</label><input type="checkbox" name="hobby" id="book" value=""><br>
    사진등록 : <input type="file" name="" value=""><br>
    <input type="submit" name="" value="전송"> <input type="reset" name="" value="취소">
    <input type="button" name="" value="등록"><br>
    <input type="image" src="./button.png" width="100px" height="" alt="다운로드" name="" value=""><br>
    주소 : <select>
      <option>경기</option>
      <option>서울</option>
      <option>강원</option>
      <option selected>제주</option>
    </select>  <br><br>
    자기소개 : <textarea name="int" rows="8" cols="80" placeholder="자기소개는 짧게 해주세요"></textarea>
    <br>
    
    </fieldset> <!--필드셋 태그를 종료한다-->
    
    <button type="submit" name="button">전송</button>
    <button type="reset" name="button">초기화</button>

    출력값

    필드셋 태그 안에 레젠드정보가 감싸져 만들어진다.

    Form

    form태그는 입력된 값을 전송하는 태그이다,

    post/get으로 구성되며

    get의 경우 내가 입력한 값이 그대로 파일정보에 노출되기때문에 회원가입등의 정볼르 입력했을때는 반드시 post값으로 전송해야 한다

    <form class="" action="index.html" method="post">
    <!--action은 내가 입력한 값을 전송할 주소이다, method는 post값으로 전송하였다-->
    <!--개인정보 등의 민감한 값이 아닐때는 get으로 바꾸어 전송한다-->
    
          아이디:<input type="text" name="id" value=""><br>
          비밀번호:<input type="password" name="" value=""><br>
          <input type="submit" name="" value="전송">
    
        </form>

    실행결과 :
    https://hana78786.github.io/Study_hana/bostcourse_htmlcss/2-5.html
    https://hana78786.github.io/Study_hana/bostcourse_htmlcss/2-6.html

profile
hello world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