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파헤치기

hanbyul.choi·2023년 5월 24일
0

JavaScript 기본

목록 보기
1/3

this

1. 전역 공간에서 this는 전역 객체를 가리킨다.

그러나, 런타임 환경에 따라 this는 브라우저 환경에서는 window객체를
node js 환경에서는 global 객체를 가리키게 된다.

<브라우저 환경>

console.log(this === window);
// true

<Nodejs 환경>

console.log(this === global);
// true

2. 함수로써 this를 호출할 때와 메서드로써 this를 호출할 때는 this의 값이 다르다.

먼저 함수와 메서드의 차이를 알아보자.

함수는 말 그대로function을 선언하여 함수명()에 형식으로 사용하는
독립적인 형태를 이야기 한다.

메소드는 객체 내부의 위치하여 객체.메서드명에 형식으로 사용되는 것을 이야기 한다.

이제 아래 코드를 살펴보면 this의 차이점을 알 수 있다.

// 함수의 this
// 호출 주체를 명시할 수 없기 때문에 this는 전역 객체를 의미
var func = function (x) {
	console.log(this, x);
};
func(1); // Window { ... } 1
// 브라우저 환경일 경우 window가 출력 된다.


// 메서드의 this
// 호출 주체를 명시할 수 있기 때문에 this는 해당 객체(obj)를 의미해요.
// obj는 곧 { method: f }를 의미하죠?
var obj = {
	method: func,
};
obj.method(2); // { method: f } 2
// 런타임 환경 구분 없이 메서드가 불린 주체(객체)의 내용이 출력된다.

메서드로 호출할 때에는 아래와 같이 . [] 를 사용하기 때문에
함수와 구분하기 쉽다.

var obj = {
	methodA: function () { console.log(this) },
	inner: {
		methodB: function() { console.log(this) },
	}
};

obj.methodA();             // this === obj
obj['methodA']();          // this === obj

obj.inner.methodB();       // this === obj.inner
obj.inner['methodB']();    // this === obj.inner
obj['inner'].methodB();    // this === obj.inner
obj['inner']['methodB'](); // this === obj.inner

// 객체 내부에 또 다른 객체 안에 메서드를 생성했을 때에도 그 메서드가 속한 곳을 가리킨다.

중요한 점은 객체내부에서 함수로써 호출된 this는 전역객체를 가리키게 된다. 즉, 객체.메서드명의 형태로 호출되어야 this는 자기가 속한 곳을 가리킨다.
아래 코드 참고.


var obj1 = {
	outer: function() {
		console.log(this); // (1) 출력 : obj1
		var innerFunc = function() {
			console.log(this); // (2) 출력 : 전역객체(window or global)
		}
		innerFunc();

		var obj2 = {
			innerMethod: innerFunc
		};
		obj2.innerMethod(); // (3) 출력 : obj2
	}
};
obj1.outer();

3. 함수에서 this를 우회해서 사용하는 방법

그렇다면 함수에서 this를 전역객체가 아닌, 다른 객체를 가리키게 할 수 없는 것인가에 의문이 생긴다.
그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먼저, 변수를 활용하는 방법과 화살표 함수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1) 변수를 활용하는 방법

내부 스코프에 이미 존재하는 this를 별도의 변수(ex : self)에 할당하는 방법

var obj1 = {
	outer: function() {
		console.log(this); // outer

		// 변수에 할당하는 방법
		var self = this;
		var innerFunc2 = function() {
			console.log(self); // outer
		};
		innerFunc2();
	}
};

// 메서드 호출 부분
obj1.outer();

위 코드처럼 변수를 활용하면 같은 결과를 볼 수 있다.

2) 화살표 함수를 활용하는 방법

ES6에서 처음 도입된 화살표 함수는, 실행 컨텍스트를 생성할 때 this 바인딩 과정 자체가 없다. 따라서, 이전에 this에 적용된 값이 그대로 유지된다.

(ES6에서는 함수 내부에서 this가 전역객체를 바라보는 문제 때문에 화살표함수를 도입)

따라서 일반 함수와 화살표 함수에 가장 큰 차이는 this binding 여부이다.

var obj = {
	outer: function() {
		console.log(this);
		var innerFunc = () => {
			console.log(this); // this가 binding되지 않아 이전 this 유지
		};
		innerFunc();
	}
}

obj.outer();

// 결과 값
// {outer: ƒ}
// {outer: ƒ}

4. 콜백 함수 호출 시 그 함수 내부에서의 this

추가적으로 콜백 함수(매개변수로 들어가는 함수)에서 this도 기본적으로 전역객체이다. 그러나 예외가 있다.

document.body.innerHTML += '<button id="a">클릭</button>';
document.body.querySelector('#a').addEventListener('click', function(e) {
	console.log(this, e);
});

addEventListener사용할 때 콜백함수에 this는 함수 내에서 호출한 주체의 element를 return하도록 설계되었다.
위 코드에 경우 button을 의미한다.


5. 생성자 함수 내부에서의 this

생성자(constructor) 메서드는 클래스의 인스턴스 객체를 생성하고 초기화하는 특별한 메서드다.
class 내부에 위치하며 this를 활용하여 인스턴스를 만든다.

class Person {
  constructor() {
    this.name = 'Jay';
  }
}

const newPerson = new Person();

console.log(newPerson.name);
// 출력값 : "Jay"

6. 명시적 this 바인딩

자동으로 부여되는 상황별 this의 규칙을 깨고 this에 별도의 값을 저장하는 방법

크게, call / apply / bind 메서드가 있다.

1) call 메서드

호출 주체인 함수를 즉시 실행하는 명령어.
call명령어를 사용하여, 첫 번째 매개변수에 this로 binding할 객체를 넣어주면 명시적으로 binding 할 수 있다.

var obj = {
	a: 1,
	method: function (x, y) {
		console.log(this.a, x, y);
	}
};

obj.method(2, 3); // 1 2 3
obj.method.call({ a: 4 }, 5, 6); // 4 5 6

위 코드와 같이 사용법은 객체명.method.call(this객체, ...arg)

call의 첫번째 인자로 this를 명시적으로 binding할 객체를 넣어주면 된다.

2) apply 메서드

call 메서드와 완전히 동일하다.
그러나, this에 binding할 객체는 똑같이 넣어주고 나머지 부분만 배열 형태로 넘겨준다.

var func = function (a, b, c) {
	console.log(this, a, b, c);
};
func.apply({ x: 1 }, [4, 5, 6]); // { x: 1 } 4 5 6

var obj = {
	a: 1,
	method: function (x, y) {
		console.log(this.a, x, y);
	}
};

obj.method.apply({ a: 4 }, [5, 6]); // 4 5 6

3) call, apply 메서드의 다른 활용법

잠시 call, apply에 관련된 추가적인 내용을 짚고 넘어가자.

유사배열객체(array-like-object)에 배열 메서드를 적용할 수 있다.(객체지만 배열의 메서드를 사용)

먼저, 유사배열객체의 조건은
1. length가 필요하다. (이 조건은 필수임)
2. key값이 index와 같이 0부터 1씩 증가해야한다. (이 조건은 필수는 아니지만 사용하는데 혼선을 줄 수 있기 때문에 극히 드문 상황을 제외하고는 필수)

// 기본적으로 객체에는 배열 메서드를 직접 적용할 수 없다.
// 유사배열객체에는 call 또는 apply 메서드를 이용해 배열 메서드를 차용할 수 있다.
var obj = {
	0: 'a',
	1: 'b',
	2: 'c',
	length: 3  // length 값을 만들어준다.
};

Array.prototype.push.call(obj, 'd');   // 배열 메서드 push 사용 
console.log(obj); // { 0: 'a', 1: 'b', 2: 'c', 3: 'd', length: 4 }

var arr = Array.prototype.slice.call(obj); // 배열 메서드 slice 사용 
console.log(arr); // [ 'a', 'b', 'c', 'd' ]

4) Array.from 메서드(ES6)

직전의 내용은 사실 call, apply의 사용 의도와는 먼 사용법이다.
그래서 ES6에선 Array.from 메서드가 생겼는데, 사용법은 다음과 같다.

// 유사배열
var obj = {
	0: 'a',
	1: 'b',
	2: 'c',
	length: 3
};

// 객체 -> 배열
var arr = Array.from(obj);

// 찍어보면 배열이 출력됩니다.
console.log(arr);  // 출력 : ['a', 'b', 'c']

유사배열객체가 바로 배열로 형변환이 된다.


5) call과 apply의 this Binding 사용 예시

function Person(name, gender) {
	this.name = name;
	this.gender = gender; // name과 gender 중복
}
function Student(name, gender, school) {
	this.name = name;
	this.gender = gender; // name과 gender 중복
	this.school = school;
}
function Employee(name, gender, company) {
	this.name = name;
	this.gender = gender; // name과 gender 중복
	this.company = company;
}
var kd = new Student('길동', 'male', '서울대');
var ks = new Employee('길순', 'female', '삼성');

위 코드를 살펴보면 반복되는 구문이 많아 비효율적으로 보인다. 이때 this Binding을 사용할 수 있다.

function Person(name, gender) {
	this.name = name; 
	this.gender = gender;
}
function Student(name, gender, school) {
	Person.call(this, name, gender); // 여기서 this는 student 인스턴스
	this.school = school;
}
function Employee(name, gender, company) {
	Person.apply(this, [name, gender]); // 여기서 this는 employee 인스턴스
	this.company = company;
}
var kd = new Student('길동', 'male', '서울대');
var ks = new Employee('길순', 'female', '삼성');

callthis매개변수를 넘겨주면서 Person안에서 Student나 Employee에 대한 정보를 대신 만들어준다.

이렇게 사용하면 훨신 간결한 코드가 된다.

여러 인수를 묶어 하나의 배열로 전달할 때 apply 사용할 수도 있다.

// 효율적인 코드작성
var numbers = [10, 20, 3, 16, 45];
var max = Math.max.apply(null, numbers);
var min = Math.min.apply(null, numbers);
console.log(max, min);

// 펼치기 연산자(Spread Operation)로 더 간단하게 해결도 가능
const numbers = [10, 20, 3, 16, 45];
const max = Math.max(...numbers);
const min = Math.min(...numbers);
console.log(max min);

6) bind 메서드

bind() 메소드가 호출되면 새로운 함수를 생성한다. 받게되는 첫 인자의 value로는 this 키워드를 설정하고, 이어지는 인자들은 바인드된 함수의 인수에 제공된다.

call과 apply랑 다른 점은 함수에 this를 미리 적용한다는 것과 부분 적용 함수 구현할 때 용이하다는 것이다.

아래 예제를 보면 이해할 수 있다.

var func = function (a, b, c, d) {
	console.log(this, a, b, c, d);
};
func(1, 2, 3, 4); // 출력: 전역객체 1 2 3 4


// 함수에 this 미리 적용
var bindFunc1 = func.bind({ x: 1 }); // func를 base로 한 bindFunc1라는 새로운 함수에 this가 미리 적용된다.
bindFunc1(5, 6, 7, 8); //따라서 미리 적용한 { x: 1 }뒤에 인자를 이어서 넣어준다.
// 출력 : { x: 1 } 5 6 7 8


// 부분 적용 함수 구현
var bindFunc2 = func.bind({ x: 1 }, 4, 5); // 4와 5를 미리 적용
bindFunc2(6, 7); // { x: 1 } 4 5 6 7
bindFunc2(8, 9); // { x: 1 } 4 5 8 9

// 다른 예제

const module = {
  x: 10,
  getX: function() {
    return this.x;
  }
};

const unboundGetX = module.getX;
console.log(unboundGetX()); // this는 전역객체이므로 x값을 찾을 수 없다.
// 출력 : undefined

const boundGetX = unboundGetX.bind(module); // this를 module객체로 바인딩.
console.log(boundGetX()); // this 즉, module객체에서 x를 찾을 수 있다. 
// 출력 : 10

모든 함수에는 name 프로퍼티가 있는데 bind 메서드를 적용해서 새로 만든 함수는 name 프로퍼티에는 ‘bound’ 라는 접두어가 붙는다.

var func = function (a, b, c, d) {
	console.log(this, a, b, c, d);
};
var bindFunc = func.bind({ x:1 }, 4, 5);

// func와 bindFunc의 name 프로퍼티의 차이
console.log(func.name); // func
console.log(bindFunc.name); // bound func

위와 같은 이유로 이 함수가 바인딩된 함수인지 파악하고 추적하기 쉽다.

따라서, 전에 설명한 변수를 활용해 우회하는 방법보단 call bind와 같은 메서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다시 사용법을 정리하자면,

// call 사용하기 

var obj = {
	outer: function() {
		console.log(this); // 출력 : obj
		var innerFunc = function () {
			console.log(this);
		};

		// call을 이용해서 즉시실행하면서 this를 넘겨주기
		innerFunc.call(this); // 출력 : obj
	}
};
obj.outer(); // 메서드로 호출
// bind 사용하기

var obj = {
	outer: function() {
		console.log(this); // 출력 : obj
		var innerFunc = function () {
			console.log(this);
		}.bind(this); // innerFunc에 this를 결합한 새로운 함수를 할당
		innerFunc(); // 출력 : obj
	}
};
obj.outer();

다음은 콜백함수에 binding 하는 방법이다.

var obj = {
	logThis: function () {
		console.log(this);
	},
	logThisLater1: function () {
		// 0.5초를 기다렸다가 this를 출력하는 함수지만 동작하지 않는다.
		setTimeout(this.logThis, 500); // 콜백함수로써 this가 들어왔기 때문에 유효하지 않다.
	},
	logThisLater2: function () {
		// 1초 뒤에 obj를 출력한다.
		setTimeout(this.logThis.bind(this), 1000); // 콜백함수에 this를 bind하기
	}
};

obj.logThisLater1();
obj.logThisLater2();

결론적으로,

  1. 화살표 함수는 실행 컨텍스트 생성 시, this를 바인딩하는 과정이 제외된다.
  2. 이 함수 내부에는 this의 할당과정(바인딩 과정)이 아에 없으며, 접근코자 하면 스코프체인상 가장 가까운 this에 접근하게 된다.
  3. this우회, call, apply, bind보다 편리한 방법이다.
var obj = {
	outer: function () {
		console.log(this);
		var innerFunc = () => {
			console.log(this);
		};
		innerFunc();
	};
};
obj.outer();

이렇게 화살표 함수로 작성하면 this우회, call, apply, bind을 애초에 할 필요가 없다.

그럼에도 우리가 알아야하는 이유는 JS가 발달하기 전에 만들어진 코드를 해석해야하기 때문이다.

0개의 댓글